한반도 전체 덮을 힌남노, 상륙 통영으로…우리지역 최근접 시점은? '초강력' 태풍 힌남노, 9월1일부터 국내 영향…5일 제주 먼바다 도달,,,
한반도 전체 덮을 힌남노, 상륙 통영으로…우리지역 최근접 시점은?
초강력 태풍 힌남노, 또 경로 변경…한반도 상륙 가능성↑
한반도 전체 덮을 힌남노, 상륙 통영으로…우리지역 최근접 시점은?
광주 6시·대전 9시·대구 10시·서울 11시·춘천 12시 가장 가까워,
4일 기상청 태풍 최근접 예상 정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힌남노에 가장 먼저 다다를 곳은 제주 이어도다.
제주 서귀포는 6일 오전 2시에 태풍 중심과 가장 가깝겠다. 중심과의 거리는 30㎞다.
통영엔 6일 오전 8시쯤 도달했다.
힌남노는 울산에 오전 10시쯤 도달하겠다.
주요도시 최근접 시각으론 6일 오전 △광주 오전 6시 △대전 9시 △대구·세종 10시 △서울 11시 △춘천 12시 △강릉 오후 1시 △울릉도 2시다.

내륙에 들어설 때 힌남노 중심기압은 950h㎩, 최대풍속은 초속 43m(시속 154.8㎞)다.
'최악의 태풍'으로 꼽히는 1959년 사라, 2003년 매미의 중심기압 951.5h㎩, 954h㎩과 비슷하다.
기상청은 5일 오후부터 6일까지 힌남노의 직접 영향으로 제주와 전남 남해안, 경남권 해안에 울릉도·독도에 순간최대풍속 40~60㎧(시속 144~216㎞) 바람이 불 것으로 내다봤다.
이밖에 경북 동해안과 강원 영동, 전남 서해안엔 30~40㎧(시속 108~144㎞), 그밖의 남부지방과 충청권엔 20~30㎧(시속 72~108㎞), 수도권과 강원 영서에선 15~20㎧(시속 54~72㎞) 바람이 불겠다.
태풍 간접 영향으로 오던 비는 6일까지 누적 최대 600㎜ 이상 퍼붓겠다.
태풍 북상에 따라 시간당 100㎜ 넘는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파고는 최대 10m가 넘겠다.
초강력 태풍 힌남노, 또 경로 변경…한반도 상륙 가능성↑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 기준 힌남노는 일본 오키나와 동쪽 약 390㎞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다.

중심기압은 915h㎩, 최대풍속은 초속 55m(시속 198㎞)다.
힌남노는 9월1일 오후까지 남서진하며 30도 안팎의 고수온역에서 에너지를 쌓는다.

중요한 건 북상 각도다.
그러나 이날(31일) 기상청 예보에는 태풍이 9월5일께 북위 30도에 근접하며 우리 서해 부근과 더 가까운 걸로 표시됐다. 태풍은 왼쪽으로 치우치며 일본보다 우리나라에 가깝게 북상할 경우 직간접 영향이 커질 수 있다.
다만 기상청은 태풍이 우리 내륙에 상륙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초강력' 태풍 힌남노, 9월1일부터 국내 영향…5일 제주 먼바다 도달,
최고 강도인 '초강력'으로 성장한 제11호 태풍 '힌남노'(Hinnamnor)가 북상을 위한 준비를 계속하고 있다.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오후 3시 기준 힌남노는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약 170㎞ 부근 해상에서 시속 21㎞로 서남서진 중이다.
최대풍속이 1일 오전 3시쯤에는 시속 200㎞도 뛰어넘을 전망이다.
현재 힌남노의 강도는 기상 관측사상 최악의 태풍으로 꼽히는 1959년 '사라'보다 강한 상태다.
중요한 것은 이 태풍의 중심 최대풍속이 북상하면서도 좀처럼 약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이 태풍은 9월5일 오후 3시 제주 서귀포 남남서쪽 약 370㎞ 부근까지 진출할 전망이다.

이때 중심기압은 2003년 태풍 매미의 954h㎩보다 낮다.
힌남노의 국내 상륙 가능성에 대해 기상청은 여전히 신중론을 펼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