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道德經.
노자"
무위자연의 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 나라와 관련해서는 '삼국사기'에 처음 관련 기록이 보인다. 규장각도서.
후대에 오면서 내용이 추가된 것으로 판명되어 저자가 노자 한사람으로만 받아들이기 어렵다.
선진시대(先秦時代)에 원본 《노자》가 있었던 모양이나, 현행본의 성립은 한초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그 후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상편 37장, 하편 44장, 합계 81장으로 정착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도(道)를 도라고 말로 표현하면, 그 도는 항구 불변한 본연의 도가 아니고, 이름지어 부를 수 있는 이름은 참다운 실재의 이름이 아니다.(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도가도 비상도(道可道 非常道)’ : 앞의 ‘도’는 명사로, 노자 철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우주의 본원, 즉 우주의 천지만물을 창조하고 운행하고 발전시키는 실체이자, 원리이고 원동력이다. 뒤의 ‘도’는 동사로, ‘말하다.’의 뜻을 지닌다. ‘상’은 “영원히 변하지 않고 항상 같다.”는 뜻이다. ‘상도’는 항구 불변의 본체를 의미한다.
‘도가도 비상도(道可道 非常道)’ : 앞의 ‘도’는 명사로, 노자 철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우주의 본원, 즉 우주의 천지만물을 창조하고 운행하고 발전시키는 실체이자, 원리이고 원동력이다. 뒤의 ‘도’는 동사로, ‘말하다.’의 뜻을 지닌다. ‘상’은 “영원히 변하지 않고 항상 같다.”는 뜻이다. ‘상도’는 항구 불변의 본체를 의미한다.
우리 나라 자료에는 『삼국사기』 권24 백제본기 2 근구수왕 즉위년조에 근구수왕이 태자로 있을 때 침입해 온 고구려군을 패퇴시키고 계속 추격하려 하는 순간, 휘하의 장수 막고해(莫古解)가 다음과 같이 간언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정의
중국 도가철학의 시조인 노자(老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책.
『노자』 또는 『노자도덕경』이라고도 한다. 약 5,000자, 81장으로 되어 있으며, 상편 37장의 내용을 「도경(道經)」, 하편 44장의 내용을 「덕경(德經)」이라고 한다.
노자가 지었다고 하나 한 사람이 쓴 것이라고는 볼 수 없고, 여러 차례에 걸쳐 편집된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랜 기간 동안 많은 변형 과정을 거쳐 기원전 4세기경 지금과 같은 형태로 고정되었다고 여겨진다.
여러 가지 판본이 전해 오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漢)나라 문제(文帝) 때 하상공(河上公)이 주석한 것으로 알려진 하상공본과, 위(魏)나라 왕필(王弼)이 주석하였다는 왕필본의 두 가지가 있다.
전문이 남아 있는 것은 아니지만, 둔황(敦煌)에서 발견된 당사본(唐寫本)과 육조인사본(六朝人寫本)이 있고, 여러 곳에 도덕경비(道德經碑)가 아직도 흩어져 있어 노자의 경문을 살펴보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근년에 후난성(湖南省)창사(長沙)의 한묘(漢墓)에서 출토된 백서노자(帛書老子)와 색담사본도덕경(索紞寫本道德經)은 『도덕경』의 옛 형태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원래 『도덕경』은 상·하로만 나누어졌을 뿐이지만, 장구지학(章句之學)이 성행한 한대(漢代)에 들어와서 장·절로 나누어졌다고 보인다.
대자연의 영위(營爲)를 지탱하게 하는 것이 도이며, 그 도의 작용을 덕(德)이라 하였다.이런 의미에서 도와 덕을 설파하는 데서, 《노자》의 가르침은 도덕(오늘날의 도덕과는 다름)으로 불리어 《도덕경》이라는 별명이 생기게 되었다.
노자 사상의 특색은 형이상적(形而上的)인 도(道)의 존재를 설파하는 데 있다. ‘무위(無爲)함이 무위함이 아니다’라는 도가의 근본교의, 겸퇴(謙退)의 실제적 교훈, 포화적(飽和的) 자연관조 등 도가사상의 강령이 거의 담겨 있어 후세에 끼친 영향이 크다. 《노자》는 흔히 말하는 도(道)가 일면적 ·상대적인 도에 불과함을 논파하고, 항구 불변적이고 절대적인 새로운 도를 제창한다.
노자가 말하는 도는 인간의 감각이나 인식을 초월한 형이상적(形而上的)인 것이므로, 인간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도는 만물의 근원이자 시간과 공간 밖에 있는 것이므로, 피조물의 유한한 말로 규제될 수가 없다. 그러나 사람들이 알 수 있게 하는 방편으로 이름지어 도라고 하는 것이다.
노자사상의 중심은 오히려 정치 ·처세의 술(術)로서의 무위를 설파함에 있고, 형이상적인 도의 논설은 그 근거로서의 의미를 지님에 불과하다. 노자는 하는 일만 많으면 도리어 혼란을 초래하고, 공을 서두르면 도리어 파멸에 빠지는 일이 흔한 세상에 비추어, 오히려 무위함이 대성(大成)을 얻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명가명 비상명(名可名 非常名)’ : 앞의 ‘명’은 명사로 실재나 실상을 의미하고, 뒤의 ‘명’은 동사로 “말로 나타내다.”, “일컫다.”의 뜻이다.
개설
『도덕경』의 구성 체재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학자들간에 의견이 분분하였고, 성립 연대 및 실질 저자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았는데, 한 사람이 한꺼번에 저술하였다는 관점과 도가학파의 손에 의하여 오랜 기간에 걸쳐 당시의 여러 사상을 융합시켜 만들어진 것이라는 관점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한 사람의 전작물임을 주장하는 관점은 노자를 공자(孔子)와 같은 시대의 실존인물로 보아 『도덕경』을 그의 작품으로 인정하는 것이고, 부정하는 관점은 노자가 가공인물이라는 점과, 또한 비록 실존인물이라 하여도 『도덕경』과는 상관이 없다는 관점에서 현존하는 『도덕경』은 여러 사람에 의하여 오랜 기간 동안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도덕경』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많은 문제점과 상반된 처지에도 불구하고, 『도덕경』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기본 사상이 변함없이 계속해서 일관성을 유지해 오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모두가 동의하고 있다. 『도덕경』의 사상은 한마디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무위는 ‘도는 언제나 무위이지만 하지 않는 일이 없다(道常無爲而無不爲).’의 무위이고, 자연은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天法道道法自然).’의 자연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국 『도덕경』의 사상은 모든 거짓됨과 인위적인 것에서 벗어나려는 사상이다.
좋다·나쁘다, 크다·작다, 높다·낮다 등의 판단들은 인간들이 인위적으로 비교하여 만들어낸 상대적 개념이며, 이런 개념들로는 도(道)를 밝혀낼 수 없다는 것이다. 언어라는 것은 상대적 개념들의 집합체이므로 『도덕경』에서는 언어에 대한 부정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 점에서 유가사상과 현격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유가사상에서는 인위적 설정이 강조되는 예학(禮學)이 중요한 위치에 놓여 있으며 언어에 의한 규정이 강력하게 요청되기 때문이다.
『도덕경』에서는 규정성의 파기와 언어에 대한 부정을 강조하는데, 유가사상이 중국 북방의 황하유역에서 형성된 것인 반면, 이런 무위자연의 사상은 중국 남방의 양쯔강유역에서 형성되었다는 기질적인 차이로 설명되기도 한다.
북방은 생존조건이 열악하기 때문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현실적이고 투쟁적이어야 하지만, 남방은 날씨가 온화하고 자연 조건이 순조로워 평화적이고 낭만적이었는데, 이런 분위기의 차이가 사상 형성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는 것이다.
유가사상이 인(仁)·의(義)·예(禮)·지(智)의 덕목을 설정하여 예교(禮敎)를 강조하면서 현실적인 상쟁대립이 전제된 반면, 『도덕경』의 사상은 상쟁의 대립이 인위적인 것으로 말미암아 생긴다고 보고, 무(無)와 자연의 불상쟁(不相爭) 논리를 펴나간 것이다.
유가가 말하는 인의예악(仁義禮樂)이나 번잡한 법제금령(法制禁令)은 말세의 것으로 배척하고, 태고(太古)의 소박한 세상을 이상으로 삼는다.
‘그 몸을 뒤로 하여 몸을 앞세운다’와 같이 역설(逆說)이 많은 점이 두드러진다.
도를 본으로 하여 무위함에서 대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파하며, 이 점에서 형이상의 도와 실천적인 가르침이 관련된다. 무위의 술(術)이란 구체적으로는 유약 ·겸손의 가르침이 되고, 무지 ·무욕의 권장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징으로서는 물[水] ·영아(嬰兒). 여성에의 예찬이 된다.
내용의 『도덕경』의 사상은 학문적인 진리 탐구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지만, 위·진, 남북조시대처럼 사회가 혼란과 역경에 빠져 있을 때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삶의 지혜를 밝혀 주는 수양서로서도 받아 들여졌으며, 민간신앙과 융합되면서 피지배계급에게 호소력을 지닌 사상 및 세계관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듣기로는 도가의 말에, 족함을 알면 치욕을 당하지 않고, 멈출 줄 알면 위태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제 얻은 것이 많은데 더 욕심을 내어서 무엇합니까?” 이 말을 듣고 추격이 중지되었다고 하는데, 이 구절은 『도덕경』 제44장에 나오는 말이다.
『도덕경』의 구절이 장수의 입에까지 오를 정도였다면 당시 사회에서는 상당히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졌던 것임에 틀림이 없고, 나중의 일이지만 고구려의 명장 을지문덕(乙支文德)도 비슷한 내용의 시를 수나라 장수에게 보낸 것이 『삼국사기』에 나타나 있다.
『삼국유사』 보장봉로조(寶藏奉老條)에는 당나라 고조(高祖)가 고구려인의 오두미교 신봉 이야기를 듣고 624년 천존상과 함께 도사를 보내어 『도덕경』을 강론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영류왕은 당나라로 사신을 보내어 불(佛)·노(老)를 배우고자 하였고, 고조는 이를 허락하였다는 것이다.
계속해서 보장왕이 연개소문(淵蓋蘇文)의 건의에 따라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도교를 배우도록 하였는데, 당나라 태종(太宗)이 도사 8명과 『도덕경』을 보내 주자 왕은 기뻐하며 승사(僧寺)를 지어 도사를 거처하도록 하였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신라에서는 575년 화랑도를 만들고 그 정신을 현묘지도(玄妙之道)라 칭하였는데, ‘현묘’라는 말은 『도덕경』 제1장에 나오는 ‘현지우현 중묘지문(玄之又玄衆妙之門)’을 연상시키는 용어로 도가의 영향을 받지 않았는가 생각된다.
통일신라 말기의 혼란한 상황에서 도술연구에 골몰하였던 김가기(金可紀)에 대해서는 홍만종(洪萬宗)의 『해동이적(海東異蹟)』에 나타나 있는데, 그는 『도덕경』을 비롯하여 여러 선경(仙經)을 계속해서 낭송하고 수련을 계속한 끝에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고려 때는 왕 중에서도 도교신앙이 제일 돈독하고 재위 당시 도교가 융성하였던 예종이 청연각(淸燕閣)에서 한안인(韓安仁)에게 명하여 『도덕경』을 강론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보인다.
유교경전과 대등하게 다루어서 강론시켰을 정도이므로, 당시 『도덕경』을 연구하던 사람의 숫자도 많았고 수준도 높았으리라 짐작된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엄격한 주자학적 사상(朱子學的思想)과 그 배타적 성격 때문에 『도덕경』에 대한 연구가 위축되었지만, 유학자들 가운데서 주석서를 펴내어 끊임없는 관심을 보여 주던 사람들이 있었다.
박세당(朴世堂)은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을 저술하였고, 이이(李珥)는 『도덕경』 81장을 40여 장으로 줄여 『순언(醇言)』이라는 주석서를 냈다.
『도덕경』에 관한 관심은 희박하였는데, 그 이유는 자신 이외는 모든 사상을 이단으로 보는 성리학의 성격 때문이었다.
『도덕경』의 기본 흐름은 일찍부터 도교신앙과 접합되어 오면서 민중의식 속에 깊이 뿌리박혀 기층의 민간에 많은 영향경이 중요하다.(性無善惡說)
체험을 중시한 장자의 사상
세상에서 도를 귀히 여겨 찾는 데는 책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책은 말을 기록해 놓은 데 불과하고, 말이 귀히 여기는 력을 행사하였다.
여 개조시킬 수 있다. 즉 후천적 환것은 뜻이다.
뜻은 추구하는 바가 있는데, 그 뜻이 추구하는 바는 말로써는 전할 수가 없다.
"衆人皆有餘而我獨若遺 我愚人之心也哉純純兮, 衆人昭昭 我獨若昏, 衆人察察, 我獨悶悶 <道德經 第20章> (세상 사람들은 다 남아돌 듯 넉넉히 살아가는데 나만 홀로 팽개쳐진 듯하다. 나는 어리석은 이의 마음 같아 아는 것이 없어 순진할 뿐이다. 세상 사람들은 시비 분별에 밝지만 나만 홀로 멍청하고, 세상 사람들은 꼼꼼 치밀하지만 나만 홀로 모자란다.)"
세상 사람들은 말을 귀히 여겨 책을 전한다. 세상 사람들이 비록 그것을 귀히 여기나 오히려 귀히 여길 것이 못 된다.
보아서 볼 수 있는 것은 모양과 빛이요. 들어서 들을 수 있는 것은 이름과 소리이다. 슬프다. 세상 사람들은 모양 과 빛, 이름과 소리로써 저 도의 진실을 알 수가 없다.
대저 양과 빛, 이름과 소리로써 저 도의 진실을 알 수 없다면,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하는 사람이니, 세상 사람들이 어찌 그것을 알까?
제환공이 대청 위에서 책을 읽고 있을 때, 윤편은 대청 아래에서 수레바퀴를 깎고 있었다. 윤편은 망치와 끌을 놓고서 제환공에게 물었다.
“대왕께서 읽으시는 것은 무슨 책입니까?” “성인의 말씀이시니라.” “그 성인은 지금 살아 계십니까?” “이미 돌아가셨느니라.” “그렇다면 대왕께서 읽으시는 것은 옛 사람의 찌꺼기입니다.”
제환공이 대청 위에서 책을 읽고 있을 때, 윤편은 대청 아래에서 수레바퀴를 깎고 있었다. 윤편은 망치와 끌을 놓고서 제환공에게 물었다.
“대왕께서 읽으시는 것은 무슨 책입니까?” “성인의 말씀이시니라.” “그 성인은 지금 살아 계십니까?” “이미 돌아가셨느니라.” “그렇다면 대왕께서 읽으시는 것은 옛 사람의 찌꺼기입니다.”
“과인이 책을 읽는데 수레바퀴나 깎는 네 놈이 무슨 참견이냐? 네 변명할 구실이 있으면 좋거니와 변명을 못하면 죽이리라.”
“저는 제가 하는 일의 경험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수레바퀴를 깎을 때 느리게 깎으면 헐렁해서 꼭 끼이지 못하고, 빨리 깎으면 빡빡해서 들어가지 않습니다. 느리지도 않고 빠르지도 않는 것은 손에 익숙하여 마음에 응하는 것이나 입으로는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저는 제가 하는 일의 경험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수레바퀴를 깎을 때 느리게 깎으면 헐렁해서 꼭 끼이지 못하고, 빨리 깎으면 빡빡해서 들어가지 않습니다. 느리지도 않고 빠르지도 않는 것은 손에 익숙하여 마음에 응하는 것이나 입으로는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당시에는 익숙한 기술이 있는 것이나, 저는 그것을 제 자식에게 가르칠 수가 없고, 제 자식도 그것을 저에게서 배워할 수가 없어서, 이렇게 제 나이 70이 되도록 늙게까지 수레바퀴를 깎고 있습니다.
옛날의 성인도 마찬가지로 깨달은 바를 전하지 못하고 죽었을 것입니다. 그러니 대왕께서 읽으시는 것도 옛사람의 찌꺼기일 뿐입니다.”
중국에는 예부터 “글은 말을 다할 수 없고, 말은 뜻을 다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곧 말로는 추상적인 생각이나 영상을 정확히 표현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이는 마치 불교의 불립문자(不立文字)나 이심전심(以心傳心)의 경지와 같다고 하겠다.
중국에는 예부터 “글은 말을 다할 수 없고, 말은 뜻을 다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곧 말로는 추상적인 생각이나 영상을 정확히 표현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이는 마치 불교의 불립문자(不立文字)나 이심전심(以心傳心)의 경지와 같다고 하겠다.
장자는 인식보다는 체험을, 이론보다는 실제를 중시하여 도의 본체는 말로 표현할 길이 없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다. 이런 표현은 노자가 도의 개념을 말한 「도덕경」 제14장이나 제35장에서도 볼 수 있다.
도의 진상은 언어와 문자로써는 표현할 수 없다는 전제를 내세워 놓고, 제환공과 윤편의 유명한 대화로써 실증을 보이는 것이다.
"장자는 현실적 체험과 소통을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겼다.
"장자는 현실적 체험과 소통을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겼다.
"인간의 내면을 구성하는 본질적 구조로서의 인간 본성에 관한 논의. 여기서는 우선 인간 본성의 선악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장 주축을 이루는 문제가 되지만 그 외에도 자연의 법칙과 인간의 본성과의 관계
에 대한 문제, 인간 본성의 현실적인 발현 모습 및 그로부터 추출된 실천 당위의 문제 등이 포함된다.
도덕경의 한 구절은 오늘도 나를 산으로 오르라 한다. 꽃이며 나무를 보고, 새소리며 바람소리를 들으라 한다. 그 말씀 녘을 따라 쌍지팡이 가볍게 짚고 해거름 산을 향해 걸음을 옮겨 나간다.
- 노자 道德經도덕경 全文 제 9장
제 9장
持而盈之 不如其已 揣而銳之
지이영지 불여기이 췌이예지
不可長保 金玉滿堂 莫之能守
불가장보 금옥만당 막지능수
富貴而驕 自遺其咎
부귀이교 자유기구
功成名遂 身退 天之道
공성명수 신퇴 천지도
지속적으로 이를 채우려 하면
이를 그만두는 것보다 못하며,
갈아서 이를 날카롭게 하면
오래 보전하지 못한다.
금과 옥이 집에 가득하여도
이를 지키지 못하며,
부귀하여 교만하면 스스로 그 허물을 남긴다.
공을 세우고 스스로 물러나는 것은 하늘의 도리다.
노자 道德經도덕경 제79번
- 和大怨必有餘怨 安可以爲善
화대원필유여원 안가이위선
是以聖人執左契 而不責於人
시이성인집좌계 이불책어인
有德司契 無德司徹 天道無親常與善人
유덕사계 무덕사철 천도무친상여선인
큰 원한은 화해해도
반드시 남게 되는 원한이 있으니,
그렇다면 원한을 어찌
깨끗이 마무리했다고 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성인은 빚 갚을 채무만 있고
사람들에게 빚을 갚으라고 다그치지 않으니,
덕이 있는 사람은 채무만 있고
덕이 없는 사람은 빚을 갚으라고 독촉한다.
하늘의 도는 편애하는 일이 없이
언제나 착한 사람을 도와준다
圓佛敎 法語원불교 법어
須彌山巖上 老僧坐無言
수미산암상 노승좌무언
白雲任去來 望草言自明
백운임거래 망초언자명
봄 언덕에 법우가 내리니
법종자의 꽃잎이 무성하네
종자 없는 둥근 무지개 드러나니
아름다운 열매 자연히 이루어지리라
도연명陶淵明 시
春水滿四澤 夏雲多寄峯
춘수만사택 하운다기봉
秋月揚明輝 冬嶺秀孤松 (冬嶺靑松秀)
추월양명휘 동령수고송
봄물은 사택에 가득히 차고 / 春水滿四澤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가 많도다 / 夏雲多奇峰
가을 달은 밝은 빛을 드날리고 / 秋月揚明輝
겨울 산마루엔 높은 소나무 빼어났다 / 冬嶺秀孤松
大宗師 대종사 회답 시
성리품 9장
絶頂天眞秀 大海天眞波
절정천진수 대해천진파
復覺回身路 高露石頭家
복각회신로 고로석두가
- 높은 산도 천진 그대로 빼어남이요
큰 바다도 천진 그대로 파도로다
다시 몸 돌이킬 것을 생각하니
높이 돌 머리집이 들어났도다
一圓法身字 宙萬有本源諸
일원법신자 주만유본원제
佛諸聖心卽 一切象生本性
불제성심즉 일절상생본성
송강松江 정철鄭澈
秋日作 (추일작)
山雨夜鳴竹 草虫秋近床
산우야명죽 초충추근상
流年那可駐 白髮不禁長
류년나가주 백발불금장
산에서 내린 비가 한 줌 댓잎 울려대고
풀벌레 가을 알고 침상 근처 서성일 때
세월을 붙잡지 못해 어찌 하리 백발을.
李舜臣 水國 詩
閑山島歌
- 閑山島月明夜上戍樓
한산도월명야상술루
撫大刀深愁時何處
무대도심수시하처
一聲羌笛更添愁
일성강적갱첨수
한산 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올라
큰칼 어루만지며 깊은 시름 하던 차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다시 시름을 더하네.
대종사 법문 소요편 18장
滄海萬里虛 無我無人天
창해만리허 무아무인천
巖上一化身 眼前十方現
암상일화신 아전십방현
넓고 큰 바다 수만 리 텅 비었으니,
나도 없고 사람도 없고 하늘도 없더라.
바위 위에 한 화신이 되니,
눈앞에 시방세계 드러나더라
宗 法 師 法語 종법사 법어
- 此處一圓珠 含萬理萬能
차처일원주 함만리만능
轉處智憲出 無迹絶名相
전처지헌출 무적절명상
此處一圓珠 여기에 한 둥근 구슬 있으니
含萬理萬能 만 가지 이치와 만 가지 능력을 갖추었네
轉處智惠出 굴릴 적마다 지혜와 은혜가 나타나는데
無迹絶名相 그 흔적이 없고 또한 이름도 모양도 없더라
서산대사의 선시
踏雪野中去 不須胡亂行
답설야중거 부수호란행
今日我行跡 遂作後人程
금일아행적 수작후인정
눈 덮인 들길 걸어갈 제
함부로 흐트러지게 걷지 마라
오늘 남긴 내 발자국이
마침내 뒷사람의 길이 되리니
高峯 奇大承 고봉 기대승
淸風動萬松 白雲滿幽谷
청풍동만송 백운만유곡
山人獨夜步 溪水鳴寒玉
산인독야보 계수명한옥
맑은 바람에 소나무들 물결 치고
흰 구름은 그윽한 골짜기를 가득하구나.
산에 사는 사람 혼자 밤에 걷노라니
계울 물은 찬 옥구슬 구르듯이 소리 내며 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