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 朴正熙 ]
본관은 고령(高靈). 1917년 11월 14일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 117번지[현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 171]에서 아버지 박성빈과 어머니 백남의의 5남 2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대구의 저명한 항일 운동가인 박상희(朴相熙)는 박정희(朴正熙)의 형이다. 5·16 군사 정변을 함께 감행한 김종필(金鍾泌)은 박상희의 사위로, 박정희의 처조카이다. 부인은 육영수(陸英修)이고, 자녀는 딸 박근혜(朴槿惠), 박서영[본명 박근영(朴槿令)]과 아들 박지만(朴志晩)이 있다.
출생 - 사망 직업,
1917년 ~ 1979년 |
대통령, 정치가, 군인 |
이칭/ 별칭/ 유형/ 시대/ 출생 - 사망/ 성격/ 출신지/ 성별/ 본관/ 관련/ 사건/ 대표/ 관직(경력)
호 중수(中樹) |
인물 |
현대 |
1917년 ~ 1979년 |
군인, 정치인 |
경상북도 구미 |
남 |
고령(高靈) |
4·19혁명, 2·27선언, 6·3사태 |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제5·6·7·8·9대 대통령
해방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제5, 6, 7, 8, 9대 대통령 등을 역임한 군인. 정치가.
|
본관은 고령(高靈). 창씨개명한 이름은 다카키마사오[高木正雄], 호는 중수(中樹). 경상북도 구미 출생. 빈농인 아버지 박성빈(朴成彬)과 어머니 백남의(白南義) 사이에서 5남2녀의 막내로 태어났다.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 문경소학교에서 3년간 교직생활을 한 다음, 1940년 만주의 신경군관학교(新京軍官學校) 제2기생으로 입학, 군문에 들어갔다. 당시 군관학교에 지원하기 위하여 혈서를 썼으며, 일본인으로서 개와 말의 충성[犬馬の忠]을 다하겠다고 지원서에 썼다. 이 일은 크게 회자되어 『만주신문(滿洲新聞)』(1939. 3. 31. 7면)에 실렸다. 이 군관학교를 최우등생으로 수료한 뒤 일본육군사관학교로 전학, 1944년 졸업과 함께 만주군 소위로 임관되어 관동군(關東軍)에 배치되었다.
광복 때까지 만주와 화북지방에서 일본군 장교로 전쟁에 가담했다가, 1946년 귀국하여 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가 제2기로 졸업하고 육군대위로 임관되었다. 6·25전쟁 동안 주로 육군본부 정보국에서 근무하다 1953년 장군이 되었다.
1954년 제2군단 포병사령관, 1955년 제1군참모장, 1960년 육군군수기지사령관, 제1관구사령관,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을 거쳐, 1961년 제2군부사령관으로 재직중, 군부쿠데타를 주도하여 정권을 장악하였다. 육군본부 정보국에 근무하고 있던 1949년, 사상관련사건에 연루되어 군법회의에 회부된 적이 있었다.
당시의 신문보도에 의하면 여순반란사건 관련 공산주의 혐의자로 되어 있는데, 군법회의에서 무기징역을 언도받았으나 육군본부의 동료·상사들의 구명운동으로 복역은 면제되었다. 이 때문에 한때 군인의 신분을 박탈당하였다가 6·25전쟁이 일어난 뒤 현역으로 복적되었다.
1950년 육영수(陸英修)와 결혼하였다. 군부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는 18년5개월간을 집권하였는데, 그의 통치시대는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4·19혁명으로 성립된 민주당정부를 무능·부패 정부로 규정하고 쿠데타에 의해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와 그를 따르는 일단의 장교들은 쿠데타 성공 후 곧바로 계엄령을 선포, 삼권을 장악하였다. 이른바 혁명주체세력은 국가재건최고회의를 설치, 이를 통해 입법·행정권과 사법권의 일부를 행사하였다.
그 의장은 박정희였다. 이로부터 2년 7개월간 군정이 실시되는데, 최고통치권자인 최고회의의장 박정희는 먼저 구질서의 전면적인 개혁이라는 목표 아래 모든 정당·사회단체의 해체를 포고하는 한편, 용공분자와 폭력배의 검거에 착수하였다. 정권을 장악한 그 해 말까지 3,000여 명의 용공분자와 4,000여 명의 폭력배를 체포하였다.
군사정부는 <농어촌고리채정리령>을 발표하였으며 부정축재자에 대한 가차없는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기풍을 바로잡기 위하여 댄스홀·고급요정 등 모든 환락가의 문을 폐쇄하게 하였으며, 비밀댄스홀에서 춤을 즐기던 남녀를 군사재판에 회부하여 최고 1년 6월의 징역을 선고하였다.
쿠데타 1개월이 못 되어 전국적으로 보안관계 범법혐의자의 검거수만도 3만 5,000여 건에 달하였다는 사실은 군정 초기에 얼마나 철저한 구악일소작업과 강력정치가 진행되었던가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군사정부는 국민운동본부를 설치, 생활간소화·가족계획·문맹퇴치사업을 벌이는 한편, 친선방문외교·초청외교 등 적극외교의 자세를 보였다. 획기적인 경제조치의 하나로 단행된 통화개혁은 실패로 끝났다.
군정 초기의 집권세력 내부에는 주류파와 비주류파 사이에 주도권쟁탈전이 벌어져 일련의 반혁명사건이 꼬리를 이었다. 이 과정에서 비주류파는 완전히 거세되고 박정희 중심의 주류세력이 실권파로 정권장악의 기반을 확고히 하였다. 군정 후반은 민정이양을 둘러싼 공방으로 전국이 소란하였다.
박정희는 처음에는 2년 후에 정권을 민간에 이양하겠다는 민정이양일정을 발표하였으나 1963년 1월부터 시작된 정치활동재개 이후 야당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고서는 이른바 ‘2·27선언’을 통하여 자신의 원대복귀를 약속하였다.
그러나 ‘4·8조치’로 군정연장을 계획하였다가 여론의 반대에 부딪혀 철회하는 등 번의를 거듭하였다. 그 사이 군정은 이른바 ‘4대 의혹사건’을 저질러 국민들로부터 ‘구악을 뺨치는 신악’이라는 비판을 듣기도 하였다.
박정희는 1963년의 대통령선거에서 야당의 단일후보인 윤보선(尹潽善)을 근소한 표차로 누르고 당선됨으로써 제3공화국의 통치권자가 되었다. 대통령취임사를 통해 박정희는 “정치적 자주와 경제적 자립, 사회적 융화·안정을 목표로 대혁신운동을 추진함에 있어서 우리는 먼저 개개인의 정신적 혁명을 전개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제3공화국의 박정희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한 작업은 경제발전과 한·일국교정상화였다. 박정희는 이미 군정기간인 1962년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수립, 추진하였다.
사회경제적인 악순환을 지양하고 자립경제확립을 위한 기반구축을 목표로 한 제1차 5개년계획은 당시 후진국 가운데서는 가장 높은 국민총생산(GNP) 성장률인 연평균 7.1%를 책정하였다. 그러나 계획 자체의 졸속과 무엇보다도 경제발전에 필요한 자본 부족으로 제1차 5개년계획은 전반적으로 실적미달이었다.
한·일국교정상화는 경제발전에 필요한 자본확보와 미국의 압력이라는 복합적인 이유로 추진되었다. 박정희는 집권하자마자 대일협상에 강한 의욕을 보였으며, 이미 군정기간인 1961년 10월에 일본 동경에서 제1차 한·일회의가 열렸다.
이와 함께 실무교섭이 활발히 진행되었고, 박정희는 국가원수로서는 최초로 일본수상과 회담하는 등 한·일문제 타결에 열의를 보였다. 이같은 대일자세는 ‘친일외교’·‘흑막외교’라는 비난을 받았다. 박정희정부의 대일저자세시비는 제3공화국 의회 벽두에 대통령국회출석결의안 등으로 논란될 만큼 국민의 대일감정을 자극하였다.
특히 한국어민의 생명선이라 할 수 있는 어업 및 평화선문제와 이른바 ‘김·오히라메모(金·大平memo)’로 결정된 6억 달러의 대일청구권자금은 여론의 강력한 반대를 받았다.
한·일문제를 둘러싼 여야와 정부·국민간의 공방은 ‘6·3사태’ 등 한때 정국의 위기까지 불러일으켰으나 박정희정부는 반대의견을 물리치고 일을 성사시켜 결국 1965년 6월 22일 한일협정이 정식으로 조인되었다.
한·일국교정상화에 따른 일본으로부터의 자금도입과 기타 차관 등을 통하여 제3공화국 후반부터는 급속도로 경제성장이 이루어졌다. 박정희는 고성장·수출드라이브·산업기지건설 등을 통하여 국정에 자신감을 가졌으며, 이와 함께 점차 독재성향을 띠어가기 시작하였다.
한일회담 타결, 월남파병 등으로 미국으로부터도 신임을 얻은 박정희는 강한 권력욕을 드러냈는데, 그 결과는 1968년 3선개헌으로 나타났다.
1972년 10월 박정희는 헌법효력의 일부 정지, 국회해산, 정당활동금지의 담화를 발표하고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하였다. 정부는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하여 대통령을 선출하는 ‘유신헌법’을 제정, 국민투표를 거쳐 확정한 후, 이 헌법에 따라 제8대 대통령에 박정희를 선출하였다. 이로써 제4공화국이 시작되었다.
유신체제는 사실상 박정희의 영구집권을 가능하게 하는 체제였다. 뿐만 아니라 대통령의 권한을 막강한 것으로 보장해줌으로써 박정희에게 독재체제의 길을 열어주었다. 이 체제 아래서 민주주의는 크게 후퇴하였다.
유신헌법의 개정을 요구하는 주장이 야당과 재야세력에서 광범위하게 대두하였으나, 박정희는 이를 ‘대통령긴급조치’로써 탄압하였다. 유신체제 7년간 수많은 정치인·종교인·지식인·학생들이 긴급조치에 걸려 투옥당하였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여론도 한국의 강압정치를 비난하였으나 박정희는 굽히지 않았다. 독재적인 통치에 의해 박정희정부는 이 기간 기록적인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연간 10%를 넘나드는 고도성장이었고 국민소득도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빈부격차를 가속화시켰고, 황금만능사상으로 사회갈등과 함께 국민정신문화를 크게 황폐화시키는 결과를 빚었다. 한편, 경제발전을 배경으로 국가안보면에서 빈틈없는 태세를 구축한 것은 박정희의 업적으로 평가된다.
박정희는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남북대화에 힘써 한동안 남북적십자회담·남북조절위원회회담 등을 열었고, 남북간 밀사교환을 이루었으나 대화는 결국 실패로 끝났다.
박정희는 1979년 유신체제에 항거하는 ‘부마사태(釜馬事態)’가 절정을 이루던 때, 10월 26일 궁정동 만찬석상에서 측근의 한 사람인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가 쏜 총탄을 맞고 서거하였다. 그와 함께 유신체제도 끝났다.
대한민국의 제5 · 6 · 7 · 8 · 9대 대통령, 정치가, 군인. 1961년에 육군 소장으로 5 · 16 군사정변을 주도하여 최고 권력 기관인 국가 재건 최고 회의 의장이 되었으며, 1963년에 예편하여 민주 공화당 총재로 제5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72년에 10월 유신(維新)을 단행하였고, 1979년 제9대 대통령 재임 중에 중앙정보부장의 총격으로 사망하였다.
1917∼1979. 군인·정치인. 국가재건최고회의 2대 의장. 대한민국 제5·6·7·8·9대 대통령. 1961년 5·16 군사정변 주도 및 1972년 10월 유신헌법 선언 등을 통해 18년 5개월간 장기집권하다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저격으로 사망하였다. 한편, 대통령으로 임기 중 경제개발5개년계획 및 새마을운동 등을 통해 조국근대화 및 경제발전을 기록적으로 이룩했다는 것이 대표적인 업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1917년 경상북도 선산(善山)에서 출생하였다. 부친 박성빈(朴成彬)과 모친 백남의(白南義) 사이에서 5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26년 구미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32년 졸업하였고 그해 4월 대구사범학교에 입학하여 1937년 졸업하였다. 사범학교 졸업후 경상북도 문경에 소재한 문경공립보통학교에서 3년간 교사로 부임하여 1940년 2월까지 근무하였다.
교사를 그만두고 만주의 무단장시[牡丹江市]에 소재한 제6군관구 사령부 초급장교 양성학교인 신경(新京:지금의長春)군관학교를 지원하여 합격하였다. 이때 그는 나이 제한에 걸려 1차에서 낙방하였으나 장교가 되겠다는 자신의 간곡한 편지를 보내 합격하게 되었다.
2년간의 군사교육을 마치고 우등생으로 선발되어 1942년 일본육군사관학교 3학년에 편입하였다. 1944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제57기로 졸업하였으며, 8·15광복 이전까지 주로 관동군에 배속되어 일본군 중위로 복무하였으며 팔로군을 공격하는 작전에 부관으로 참가하였다.
일본이 패망하자 베이징을 거쳐 천진항에서 부산항으로 귀국하였다. 귀국후 1946년 9월 조선경비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 전신)에 입학하여 3개월간 교육을 마치고 조선국방경비대 육군 소위가 되었다. 그 당시 1946년 9월 대구에서 좌익에 의한 시위가 일어났는데 박정희의 형인 박상희가 시위를 주도하였다. 10월 1일 대구시민들과 경찰간의 충돌이 발생하였고 박상희가 경찰의 총격에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형의 영향을 받았던 박정희는 군부에 비밀리에 조직된 남로당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1947년 육군소령이 되어 육군사관학교 중대장이 되었다.
일본이 패망하자 베이징을 거쳐 천진항에서 부산항으로 귀국하였다. 귀국후 1946년 9월 조선경비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 전신)에 입학하여 3개월간 교육을 마치고 조선국방경비대 육군 소위가 되었다. 그 당시 1946년 9월 대구에서 좌익에 의한 시위가 일어났는데 박정희의 형인 박상희가 시위를 주도하였다. 10월 1일 대구시민들과 경찰간의 충돌이 발생하였고 박상희가 경찰의 총격에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형의 영향을 받았던 박정희는 군부에 비밀리에 조직된 남로당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1947년 육군소령이 되어 육군사관학교 중대장이 되었다.
1948년 10월 국방군 내 좌익계열의 군인들이 제주4.3사건 진압을 거부하고 일으킨 여수·순천사건이 일어나자 육군 정보사령부 작전참모로 배속되었다. 그해 박정희는 당시 국군 내부 남로당원을 색출하자 발각되어 체포되었으며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만주군 선배들의 구명운동과 군부 내 남로당원 존재를 실토한 대가로 무기징역을 언도 받았다. 이후 15년으로 감형되어 군에서 파면되었다.
군에서 파면 되었지만 육군본부에서 비공식 무급 문관으로 계속 근무하다가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소령으로 군에 복귀하였다. 1953년 11월 준장이 되었고, 미국으로 건너가 육군포병학교에서 고등군사교육을 받았다. 1954년 제2군단 포병 사령관, 1955년 제5사단 사단장, 1957년 제6군단 부군단장과 제7사단 사단장을 거쳐 1958년 3월 소장으로 진급한 뒤 제1군 참모장으로 임명되으며, 1959년 6관구 사령관이 되었다. 1960년에 군수기지 사령관, 제1관구 사령관,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을 거쳐 제2군 부사령관으로 전보되었다.
1961년 5월 16일 제2군 부사령관으로 재임중에 5·16군사정변을 주도하여 7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되었고, 1962년 대통령권한대행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육군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이어 민주공화당 총재에 추대되었고, 그해 12월 제5대 대통령에 취임하여 1967년 재선된 후 장기집권을 위하여 1969년 3선개헌을 통과시켰다.
1961년 5월 16일 제2군 부사령관으로 재임중에 5·16군사정변을 주도하여 7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되었고, 1962년 대통령권한대행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육군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이어 민주공화당 총재에 추대되었고, 그해 12월 제5대 대통령에 취임하여 1967년 재선된 후 장기집권을 위하여 1969년 3선개헌을 통과시켰다.
제3공화국 재임동안 '한·일국교정상화'와 '월남파병문제'를 강행하였다. 1972년 국회 및 정당해산을 발표하고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한 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로써 유신정권인 제4공화국이 출범하였다.
유신 초기에는 새마을운동의 전국민적 전개로 농어촌의 근대화에 박차를 가하였고, 제5차 경제개발계획의 성공적 완성으로 국민들의 절대적 빈곤을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상대적 빈곤의 심화와 장기집권에 따른 부작용, 국민들의 반유신 민주화운동으로 그에 대한 지지도가 약화되자 긴급조치를 발동하여 정권을 유지하려 하였다. 이런 가운데서 내치(內治)의 어려움을 통일문제로 돌파하고자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을 민족통일의 3대원칙으로 규정한 1972년 7·4남북공동성명과 1973년 6·23선언이라 불리는 '평화통일외교정책'(할슈타인원칙의 폐기)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그 내용의 획기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정책면에서는 북한의 비협조와 당시의 국제정세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1974년 8월에는 영부인 육영수가 북한의 지령을 받은 조총련계 문세광(文世光)에게 저격당했다. 이러한 정권의 위기는 결국 '부마민주항쟁(釜馬民主抗爭)'을 야기시켰으며, 1979년 10월 26일 궁정동 안가(安家) 만찬석상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의 저격으로 서거(逝去)하였다.
저서로 《우리 민족이 나아갈 길》, 《민족의 저력》, 《민족중흥의 길》, 《국가와 혁명과 나》, 《지도자의 길》, 《연설문집》 등이 있다.
1974년 8월에는 영부인 육영수가 북한의 지령을 받은 조총련계 문세광(文世光)에게 저격당했다. 이러한 정권의 위기는 결국 '부마민주항쟁(釜馬民主抗爭)'을 야기시켰으며, 1979년 10월 26일 궁정동 안가(安家) 만찬석상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의 저격으로 서거(逝去)하였다.
저서로 《우리 민족이 나아갈 길》, 《민족의 저력》, 《민족중흥의 길》, 《국가와 혁명과 나》, 《지도자의 길》, 《연설문집》 등이 있다.
박정희 연보출생 1917.11.14~ 사망 1979.10.26
1917
|
11월 14일 경북 구미면에서 출생.
|
1932
|
구미공립보통학교 졸업.
|
1937
|
대구사범학교 졸업. 문경공립보통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
1944
|
일본육군사관학교 졸업.
|
1950
|
육영수와 결혼.
|
1957
|
육군대학 졸업.
|
1961
|
7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역임.
|
1962
|
대통령권한대행 역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1963
|
12월. 제5대 대통령으로 취임.
|
1967
|
12월. 제6대 대통령으로 취임.
|
1969
|
9월. 대통령의 3기 연임을 허용하는 주요 내용을 담은 제6차 개헌(3선개헌) 실시.
|
1970
|
새마을운동 추진.
|
1971
|
12월. 제7대 대통령으로 취임.
|
1972
|
계엄령 선포 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됨.
유신정권 단행. |
1974
|
부인 육영수 서거.
|
1979
|
<한국의 역대 대통령>
이 름
|
재임기간
| |
제1~3대 대통령
|
1948.07 ~ 1960.04
| |
제 4대 대통령
|
1960.08 ~ 1962.03
| |
제5~9대 대통령
|
1963.12 ~ 1979.10
| |
제10대 대통령
|
1979.12 ~ 1980.08
| |
제11~12대 대통령
|
1980.09 ~ 1988.02
| |
제13대 대통령
|
1988.02 ~ 1993.02
| |
제14대 대통령
|
1993.02 ~ 1998.02
| |
제15대 대통령
|
1998.02 ~ 2003.02
| |
제16대 대통령
|
2003.02 ~ 2008.02
| |
제17대 대통령
|
2008.02 ~ 2013.02
| |
제18대 대통령
|
2013.02 ~ 2017.03
| |
제19대 대통령
|
2017.05 ~ .
|
부산군수기지사령부 사령관을 지낸 군인이자 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활동 사항
1. 군사 쿠데타 이전의 전력
박정희는 1932년 3월 25일 구미공립보통학교[현 구미초등학교], 1937년 3월 25일 대구사범학교[현 대구교육대학교], 1942년 3월 25일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1944년 4월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박정희는 1937~1939년까지 문경공립보통학교[현 문경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다가, 만주국 육군군관학교에 진학하여 졸업하고 만주군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듬해인 1945년 7월에는 만주군 중위로 승진하였다.
1945년 8·15 해방을 맞아 박정희는 중국으로 가서 1945년 8월 29일 광복군 제3지대 소속으로 귀국하였다. 1946년 9월 24일 조선경비사관학교 제2기생으로 입교하여, 12월 국방경비대 소위로 임관하였다. 1948년 11월 남로당 관련 혐의로 체포되었지만, 무기 징역에서 감형되고 다시 형 집행 정지로 풀려났다. 1950년 6월 25일 소령으로 복귀했으며, 1958년 3월 1일 소장으로 진급하였다.
2. 쿠데타의 단행
박정희는 자유당 말기인 1960년 1월 21일 군수기지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부산으로 오면서 쿠데타 모의를 구체화하였다. 그는 동래 온천장 별관 등에서 김동하, 이주일, 홍종철, 전두열 등의 군인들과 모의를 거듭하였다. 부산을 방문한 장도영 2군 사령관에게 쿠데타 계획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는데, 이때 장도영은 원칙적으로는 찬동하면서도 시기와 방법은 더 연구하자고 하였다.
박정희는 송요찬(宋堯讚) 육군참모총장이 미국으로 건너가는 1960년 5월 8일을 거사일로 결정하였다. 또 박정희는 부산에서 『부산 일보』의 주필로 있던 황용주(黃龍珠)와 자주 만났다. 황용주는 박정희의 쿠데타 모의에 깊숙이 관여하며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박정희의 쿠데타 계획은 3·15 부정 선거로 촉발된 학생과 시민들의 4·19 혁명이 폭발하면서 무산되고 말았다. 4·19 혁명이 발발하자 이승만 정부는 전국 주요 도시에 비상계엄을 선포하였고, 박정희는 부산지구 계엄사무소장을 맡게 되었다.
4월 26일 이승만의 하야 성명이 나오자 부산 전역이 데모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분노한 군중들은 몽둥이와 사이다 병으로 경찰서, 파출소, 자유당 의원 집, 자유당 사무실, 구청, 소방서, 반공 청년단 사무실 등을 모조리 파괴하였다. 일부 학생들이 시민에게 자제를 요청했으나 민중의 분노를 막을 수 없었다. 박정희는 도청 앞으로 나와 “군은 데모를 보호하기 위해 나왔다.”, “이성을 잃지 말고 폭행과 파괴를 말자.”고 외쳤으나 시위는 더욱 강하게 번졌다. 시위가 격화되면서 군중들은 원정 시위대를 조직하여 경상남도의 농촌 지역과 마산까지 휩쓸었다.
이로부터 1년여가 지난 1961년 5월 16일 새벽 박정희는 5·16 군사 정변을 감행하였으며, 1961년 7월 3일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취임하였다. 1963년 12월 17일 박정희는 제5대 대통령 취임하였으며, 1967년 7월 1일 제6대 대통령 취임, 1971년 7월 1일 제7대 대통령 취임, 1972년 10월 17일 제8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3. 부산과의 관계
박정희와 부산과의 관련을 보면, 1962년 3월 27일 군사 정부는 부산의 대표적 기업가이자 2~3대 국회 의원을 지냈던 김지태(金智泰)를 부정 축재 처리법과 재산 해외 도피 혐의로 입건하였다. 이후 중앙정보부는 김지태에게 부일장학회를 강제로 국가에 헌납하도록 하였다. 부일장학회는 (주)삼화와 『부산 일보』, 한국문화방송 등을 창업한 김지태가 1958년에 설립한 재단이었다. 이때 김지태는 부일장학회의 땅 약 33만㎡[10만 평]와 『부산 일보』 주식 100%, 한국문화방송 주식 100%, 부산문화방송 주식 100%를 군사 정부에 넘겼다. 이 부일장학회는 이후 5·16장학회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82년 박정희와 부인 육영수의 이름을 한 자씩 따서 만든 재단 법인 ‘정수장학회(正修獎學會)’로 바뀌었고 박정희의 큰딸 박근혜가 이사장을 맡고 있다가 정치적 쟁점이 되자 공식 사퇴하였다.
박정희가 부산과 관련되는 또 다른 사안은 김영삼(金永三)의 제명과 부마 항쟁이었다. 1970년대 내내 박정희는 신민당 총재 김영삼과 대립 관계에 있었는데, 김영삼은 부산광역시 서구에 지역구를 가진 부산의 대표적인 정치인이었다. 1972년 10월 박정희가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유신 헌법을 선포했을 때 김영삼은 미국에 가 있다가 소식을 듣고 10월 21일 귀국하였고, 곧바로 군인들에게 가택 연금을 당하였다. 이때 김영삼의 오른팔이라고 불리던 부산의 국회 의원 최형우(崔炯宇)는 헌병대로 끌려가 무자비한 고문을 당하면서 김영삼의 정치 자금 출처 등을 추궁 받았다. 1978년 12월 27일 박정희는 제9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박정희와 김영삼이 최고도로 격돌한 것은 1979년 5월 김영삼이 신민당 총재로 재선된 이후였다. 김영삼은 정면으로 유신 헌법의 철폐를 요구하였고, 박정희 정권은 정치 공작을 통해 그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YH 사건과 총재 직무 정지 가처분 등의 사태를 거쳐 마침내 김영삼의 국회 의원직 제명 사태까지 이르게 되었을 때 독재에 대한 국민의 분노는 부산에서 먼저 분출되었다.
1979년 10월 16일과 17일 양일에 걸친 분노한 시민들의 항쟁을 직접 시찰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는 부마 항쟁을 ‘민란’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로부터 열흘 후 궁정동 안가에서 김재규에 의한 10·26 정변이 발생하여 박정희의 처참한 죽음과 함께 유신 체제는 종말을 고하게 되었다.
박정희는 1932년 3월 25일 구미공립보통학교[현 구미초등학교], 1937년 3월 25일 대구사범학교[현 대구교육대학교], 1942년 3월 25일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1944년 4월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박정희는 1937~1939년까지 문경공립보통학교[현 문경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다가, 만주국 육군군관학교에 진학하여 졸업하고 만주군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듬해인 1945년 7월에는 만주군 중위로 승진하였다.
1945년 8·15 해방을 맞아 박정희는 중국으로 가서 1945년 8월 29일 광복군 제3지대 소속으로 귀국하였다. 1946년 9월 24일 조선경비사관학교 제2기생으로 입교하여, 12월 국방경비대 소위로 임관하였다. 1948년 11월 남로당 관련 혐의로 체포되었지만, 무기 징역에서 감형되고 다시 형 집행 정지로 풀려났다. 1950년 6월 25일 소령으로 복귀했으며, 1958년 3월 1일 소장으로 진급하였다.
2. 쿠데타의 단행
박정희는 자유당 말기인 1960년 1월 21일 군수기지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부산으로 오면서 쿠데타 모의를 구체화하였다. 그는 동래 온천장 별관 등에서 김동하, 이주일, 홍종철, 전두열 등의 군인들과 모의를 거듭하였다. 부산을 방문한 장도영 2군 사령관에게 쿠데타 계획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는데, 이때 장도영은 원칙적으로는 찬동하면서도 시기와 방법은 더 연구하자고 하였다.
박정희는 송요찬(宋堯讚) 육군참모총장이 미국으로 건너가는 1960년 5월 8일을 거사일로 결정하였다. 또 박정희는 부산에서 『부산 일보』의 주필로 있던 황용주(黃龍珠)와 자주 만났다. 황용주는 박정희의 쿠데타 모의에 깊숙이 관여하며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박정희의 쿠데타 계획은 3·15 부정 선거로 촉발된 학생과 시민들의 4·19 혁명이 폭발하면서 무산되고 말았다. 4·19 혁명이 발발하자 이승만 정부는 전국 주요 도시에 비상계엄을 선포하였고, 박정희는 부산지구 계엄사무소장을 맡게 되었다.
4월 26일 이승만의 하야 성명이 나오자 부산 전역이 데모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분노한 군중들은 몽둥이와 사이다 병으로 경찰서, 파출소, 자유당 의원 집, 자유당 사무실, 구청, 소방서, 반공 청년단 사무실 등을 모조리 파괴하였다. 일부 학생들이 시민에게 자제를 요청했으나 민중의 분노를 막을 수 없었다. 박정희는 도청 앞으로 나와 “군은 데모를 보호하기 위해 나왔다.”, “이성을 잃지 말고 폭행과 파괴를 말자.”고 외쳤으나 시위는 더욱 강하게 번졌다. 시위가 격화되면서 군중들은 원정 시위대를 조직하여 경상남도의 농촌 지역과 마산까지 휩쓸었다.
이로부터 1년여가 지난 1961년 5월 16일 새벽 박정희는 5·16 군사 정변을 감행하였으며, 1961년 7월 3일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취임하였다. 1963년 12월 17일 박정희는 제5대 대통령 취임하였으며, 1967년 7월 1일 제6대 대통령 취임, 1971년 7월 1일 제7대 대통령 취임, 1972년 10월 17일 제8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3. 부산과의 관계
박정희와 부산과의 관련을 보면, 1962년 3월 27일 군사 정부는 부산의 대표적 기업가이자 2~3대 국회 의원을 지냈던 김지태(金智泰)를 부정 축재 처리법과 재산 해외 도피 혐의로 입건하였다. 이후 중앙정보부는 김지태에게 부일장학회를 강제로 국가에 헌납하도록 하였다. 부일장학회는 (주)삼화와 『부산 일보』, 한국문화방송 등을 창업한 김지태가 1958년에 설립한 재단이었다. 이때 김지태는 부일장학회의 땅 약 33만㎡[10만 평]와 『부산 일보』 주식 100%, 한국문화방송 주식 100%, 부산문화방송 주식 100%를 군사 정부에 넘겼다. 이 부일장학회는 이후 5·16장학회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82년 박정희와 부인 육영수의 이름을 한 자씩 따서 만든 재단 법인 ‘정수장학회(正修獎學會)’로 바뀌었고 박정희의 큰딸 박근혜가 이사장을 맡고 있다가 정치적 쟁점이 되자 공식 사퇴하였다.
박정희가 부산과 관련되는 또 다른 사안은 김영삼(金永三)의 제명과 부마 항쟁이었다. 1970년대 내내 박정희는 신민당 총재 김영삼과 대립 관계에 있었는데, 김영삼은 부산광역시 서구에 지역구를 가진 부산의 대표적인 정치인이었다. 1972년 10월 박정희가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유신 헌법을 선포했을 때 김영삼은 미국에 가 있다가 소식을 듣고 10월 21일 귀국하였고, 곧바로 군인들에게 가택 연금을 당하였다. 이때 김영삼의 오른팔이라고 불리던 부산의 국회 의원 최형우(崔炯宇)는 헌병대로 끌려가 무자비한 고문을 당하면서 김영삼의 정치 자금 출처 등을 추궁 받았다. 1978년 12월 27일 박정희는 제9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박정희와 김영삼이 최고도로 격돌한 것은 1979년 5월 김영삼이 신민당 총재로 재선된 이후였다. 김영삼은 정면으로 유신 헌법의 철폐를 요구하였고, 박정희 정권은 정치 공작을 통해 그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YH 사건과 총재 직무 정지 가처분 등의 사태를 거쳐 마침내 김영삼의 국회 의원직 제명 사태까지 이르게 되었을 때 독재에 대한 국민의 분노는 부산에서 먼저 분출되었다.
1979년 10월 16일과 17일 양일에 걸친 분노한 시민들의 항쟁을 직접 시찰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는 부마 항쟁을 ‘민란’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로부터 열흘 후 궁정동 안가에서 김재규에 의한 10·26 정변이 발생하여 박정희의 처참한 죽음과 함께 유신 체제는 종말을 고하게 되었다.
저술 및 작품,
저서로 『지도자도-혁명 과정에 처하여』[1961], 『국가와 혁명과 나』[1963], 『조국 근대화의 지표』[1967], 『우리 민족의 나갈 길』[1969], 『민족의 저력』[1971], 『민족 중흥의 길』[1978] 등이 있다.
묘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의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원수묘역에 안장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1979년 10월 26일 서거한 후 국장이 치러졌으며 매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다. 1999년 7월 26일에는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가 설립되었고, 기념관 설립을 비롯한 여러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부마항쟁,[ 釜馬抗爭 ]
1979년 10월에 부산과 마산에서 일어난 박정희의 유신체제에 반대한 민주화운동.
박정희의 유신체제는 1979년 들어서도 각종 시국사건에 대해 강압적으로 반정부 인사들에 대해 체포ㆍ연금ㆍ구금한다. 같은 해 5월 3일 ‘민주회복’을 목표로 한 김영삼(金泳三)이 신민당 총재로 당선되자 박정희는 김영삼 의원직 제명(除名) 안을 변칙으로 국회를 통과시켜 김영삼의 의원직 박탈 등의 일련의 사건으로 유신체제에 대한 야당과 국민의 불만이 극에 달한다. 그리하여 10월 15일 부산에서, 부산대학에서는 민주선언문이 배포되고, 16일 5, 000여 명의 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하고, 시민들이 합세하여 대규모 반정부시위를 벌인다. 시위대는 16일과 17일에도 ‘유신체제타도’와 ‘정치탄압중단’ 등의 구호를 외치며 파출소ㆍ경찰서ㆍ도청ㆍ방송국 등을 공격하고, 18일과 19일에는 마산과 창원으로 시위가 확산된다.
10월 20일 정부는 마산과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발동하여 505명을 연행하고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한다. 10월 26일에는 부마사태의 수습책을 둘러싼 대통령경호실장 차지철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는 격렬한 언쟁을 벌이고 도중 김재규는 차지철과 박정희를 권총으로 살해하여 박정희의 유신체제는 종말을 맞는다.
12·12군사반란,[ 十二十二軍事叛亂 ]
유형/ 시대/ 성격/ 발생/ 시작/ 일시/ 관련/ 인물/ 단체/
사건 |
현대 |
군사충돌, |
1979년 12월 12일 |
전두환, 노태우 |
1979년 12월 12일 군부의 실세였던 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 등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군사반란 사건.
이들이 이끌던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세력이 당시 대통령이었던 최규하(崔圭夏)의 재가도 없이 휘하 부대 병력을 동원하여 정승화(鄭昇和) 육군참모총장을 강제로 연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군사반란 사건이다. 유혈충돌이 수반된 하극상 사건이었다.
12·12군사반란·12·12하극상·12·12쿠데타·12·12쿠데타적사건 등이라고도 한다. 신군부 세력은 이 사건으로 군 내부의 주도권을 장악한 뒤 1980년의 5·17사건을 일으켜 새로운 권력을 획득하였다.
5·17사건은 명백한 정치적 쿠데타로 간주될 수 있지만 12·12사건 당시에는 신군부의 정권장악 목표가 아직 명백하게 표출되지 않았으므로 12·12군사반란은 예비 쿠데타로 간주되기도 한다.
역사적 배경,
1979년 10·26사태로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이 살해된 뒤 최규하 과도정부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정승화 육군참모총장(대장)을 계엄사령관에 임명하였다.
정승화는 군 장악을 위해 윤성민(尹誠敏, 참모차장), 장태완(張泰玩. 수경사령관), 정병주(鄭炳周, 특전사령관) 등을 중용하여 지휘계통을 개편하였으며, 10·26사태에 직접 연루되었던 중앙정보부와 대통령 경호실을 축소 개편하였다.
이로써 정승화는 군에 대한 지휘체계를 확보하고 자신이 정치 일정을 이끌어 가는 데 핵심역할을 담당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군부 내 사조직이었던 하나회가 4년제 육군사관학교 최초의 기수인 11기의 지도 아래 하나의 배타적인 파벌집단을 형성하면서 군부내 세력갈등이 표면화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보안사령관의 자격으로 10·26사태에 대한 수사를 전담하는 계엄사 합동수사본부장을 맡고 있던 전두환 소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군부세력(신군부)이 기존의 육군지도부였던 정승화 세력과 갈등하게 되었던 것이다. 갈등을 일으키게 한 대립의 쟁점은 사건수사와 군의 인사문제였다.
전두환이 이끄는 신군부세력은 군부 내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정승화가 김재규(金載圭)의 내란에 방조한 혐의가 있다고 주장하고, 10·26사태 수사에 소극적이고 비협조적임을 내세워 정승화를 강제 연행하기로 계획하였다.
10·26사태 당시 정승화는 궁정동 안가의 대통령 시해현장 부근에 대기하였으며 사건 이후 김재규를 구속할 때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그 수사를 지연시킨다는 의혹을 불러 일으켰다(물론 정승화가 10·26사태에 직접 개입하지 않았다는 것은 후일 명백히 밝혀졌다).
정승화의 연행을 실행하기 위해 11월 중순 국방부군수차관보 유학성(兪學聖), 1군단장 황영시(黃永時), 수도군단장 차규헌(車圭憲), 9사단장 노태우 등과 함께 모의한 뒤 12월 12일을 거사일로 결정하고 20사단장 박준병(朴俊炳), 1공수여단장 박희도(朴熙道), 3공수여단장 최세창(崔世昌), 5공수여단장 장기오(張基梧) 등과 사전 접촉하였다.
그리고 12월 초순 전두환은 보안사 대공처장 이학봉(李鶴捧)과 보안사 인사처장 허삼수(許三守), 육군본부 범죄수사단장 우경윤에게 정승화 연행계획을 수립하도록 지시하였다.
전두환 합수부장의 지시에 따라 12일 저녁 허삼수·우경윤 등 보안사 수사관과 수도경비사령부 제33헌병대 병력 65명은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에 난입하여 경비원들에게 총격을 가하여 제압한 뒤 정승화를 보안사 서빙고 분실로 강제로 연행하였다.
윤성민 육군참모차장 지휘하의 육군 수뇌부는 이 사실을 확인하여 전군(全軍)에 비상을 발동하고 합동수사본부측에 정승화의 원상회복을 명령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이미 1공수여단과 5공수여단 병력이 육군본부와 국방부를 점령하였으며 9사단 병력 등은 중앙청으로 진입하였던 것이다. 이에 진압군 병력 출동을 추진하였던 육군수뇌부(장태완 수경사령관과 정병주 특전사령관, 李建榮 3군사령관, 윤석민 참모차장, 文洪球 합참본부장)는 모두 서빙고 분실로 불법 연행되었다.
이와 같은 반란군의 정승화 연행과 병력이동은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 없이 이루어졌다. 사후 승인을 받기 위하여 신군부세력은 최규하에게 압력을 가하여 총장연행 재가를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전두환 합수부장은 최규하 대통령에게 정승화가 김재규와 연루된 새로운 사실(돈을 받는 등)을 발견하였으니 정승화를 연행 조사토록 승인해 달라고 요청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승화는 후일 김재규에게 받은 돈 300만 원은 단순한 추석 촌지로서 당시 전두환도 500만 원 수령 사실을 인정했었다고 주장하였다. 대통령의 재가를 얻는 데 실패한 신군부세력은 국방장관 노재현(盧載鉉)을 체포하여 그를 통하여 대통령이 총장연행을 재가하도록 설득하였다.
결국 최규하는 13일 새벽정승화의 연행을 재가할 수밖에 없었다. 13일 오전 9시 9사단장 노태우와 50사단장 정호용(鄭鎬溶)은 각각 수경사령관과 특전사령관에 취임함으로써 당시의 군부가 반란의 주도세력에 의해 장악되었다.
결국 신군부세력은 1980년 5·17쿠데타까지 주도해 제5공화국의 중심세력으로 등장하였다. 미국은 12·12사태를 사전에 알지 못했으며, 한미연합사의 작전통제권 하에 있는 부대들을 적절한 통고없이 사용한 데 대하여 한국 군부에 항의하였다.
12·12사건의 주도세력인 전두환과 노태우가 대통령으로 재임한 1993년 초까지 12·12사건은 집권세력에 의하여 정당화되었으나, 김영삼(金泳三)정부가 출범한 이후 잘못된 과거를 청산하자는 국민들의 요구가 있었으므로 김영삼정부는 하극상에 의한 쿠데타적 사건이라고 규정하였다.
1993년 7월 19일 정승화 등 22명은 전두환·노태우 전임 대통령을 비롯한 38명을 12·12 군사반란 혐의로 고소하였으며, 1994년 5월 13일 정동년(鄭東年) 등 5·18광주민주화운동의 관련자들은 전두환·노태우 등 35명을 내란 및 내란목적살인 혐의로 고소하였다.
이에 같은 해 10월 29일 검찰은 12·12 사건에 대해 기소유예 결정을 내렸으나 1995년 1월 19일에 헌법재판소에서는 12·12 사건에 대한 공소시효가 끝나지 않았다는 결정을 내려 논쟁이 계속되었다.
같은 해 7월 18일 검찰은 5·18 관련자들에 공소권이 없으므로 불기소 처분을 내린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5·18특별법을 제정하라는 요구가 있고 노태우 전 대통령이 11월 16일 비자금관련사건으로 구속되면서 11월 24일 김영삼 대통령은 민주자유당에 5·18특별법을 제정하라고 전격적으로 지시를 내렸다.
이 과정에서 김영삼은 국민들의 요구에 ‘역사 바로 세우기’라는 구호로 부응하였던 것이다. 11월 30일 검찰은 12·12사건과 5·18사건 특별수사본부를 구성하고 재수사에 착수하였으며, 전두환 전 대통령도 반란수괴 등의 혐의로 12월 3일 구속, 수감되었다. 12월 19일 5·18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였으며 1996년 1년 내내 전두환·노태우 피고인에 대한 12·12사건 및 5·18사건, 비자금 사건 관련 공판이 진행되었다.
재판의 과정에서 전두환은 제5공화국 정부는 합헌정부이며, 내란정부로 단죄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노태우는 이 사건이 사법처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이에 재판부가 1997년 4월 17일 12·12사건은 명백한 군사반란이며 5·17사건과 5·18사건은 내란·내란목적살인 행위였다고 단정함으로써 폭력으로 군권이나 정권을 장악하는 쿠데타는 성공하더라도 사법심판의 대상이며 형사책임은 배척할 수 없다는 판례를 남겼다.
1996년 12월 16일 항소심에서 전두환은 무기징역, 벌금 2205억 원 추징을, 노태우는 징역 15년, 벌금 2626억 원 추징이 선고되었고, 1997년 4월 17일의 상고심에서 위 형량이 확정되었으나 김대중 후보의 대통령 당선에 즈음해 1997년 12월 22일 특별사면으로 양인 등은 석방되었다. → 십이륙사태, 오일팔광주민주화운동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출처 &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박정희 [朴正熙] (Basic 고교생을 위한 정치경제 용어사전, 2002..,)
[박정희 [朴正熙]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정권18년 그 권력의 내막』(이상우, 동아일보사, 1986)
[국가와 혁명과 나』(박정희, 향문사, 1963)
[오·일육군사혁명사』(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 1962)
[박정희 [朴正熙] (두산백과)
[(주)연합뉴스
[doopedia.co.kr
[박정희 [朴正熙]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부산 민주 운동사』(부산민주운동사편찬위원회, 1998)
[자명김지태전기간행위원회, 『문항라 저고리는 비에 젖지 않았다』(석필, 2003)
[박정희 평전』(이학사 2006)
[박정희 평전』(효민, 2007)
[부마항쟁 [釜馬抗爭]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네이버 지식백과] 12·12군사반란 [十二十二軍事叛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사 #대한민국 #박정희 [朴正熙] #국가 #혁명 #오·일육군사혁명 #군사혁명 #국가재건최고회의, #민주공화당, #유신정우회, #박정희 대통령 생가 #국민의 당 #긴급조치 #김재규 #부마민주항쟁 #비상국무회의 #3선개헌 #새마을운동 #인물 #군사 #한국군사 #역사 #아시아사 #한국 #경상북도 #12·12군사반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