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14일 토요일

하드웨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대비되는 용어. 일반적인 용어로 쓰일 때는 건물, 도로, 교량, 전자장비 등 인간이 만들어 낸 모든 물질적 창조물을 뜻함. 대개 컴퓨터와 관련하여 쓰이며 이때에는 컴퓨터와 관련된 모든 전자 장비를 일컫는다. 즉, 컴퓨터 본체, 모니터, 키보드,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우스 등은 모두 하드웨어이다. 드물게는 순 한글로 「단단한 모」라고 하기도 한다. 교육에서는 교수에 활용될 수 있는 모든 매체들을 하드웨어라고 칭할 수 있으며 컴퓨터를 비롯하여 OHP슬라이드 프로젝터, 영사기, 비디오 기기, 다중매체 기기 등이 그것이다. 
① 소프트웨어에 반대되는 말로,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물리적인 기기를 가리켜 부르는 말. 
② 드럼 세트에 있어서 드럼 본체를 제외한 파트를 가리킨다. 스탠드, 홀더, 어댑터, 랙, 페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스탠드에는 스네어 스탠드, 심벌 스탠드, 트윈(더블) 덤 스탠드, 하이해트 스탠드 등이 있다. 심벌 스탠드는 붐과 스트레이트의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누며 전자는 시각적으로 우수하고 복잡한 세팅에 쓰이며, 후자는 안정성이 뛰어나다. 또 하이해트 스탠드는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좋으며 스프링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타입도 있다. 또는 와이어로 개폐를 조절하는 하이해트도 있다. 홀더에는 탐 홀더, 심벌 홀더 등이 있으며, 어댑터는 이들의 홀더를 심벌이나 탐 스탠드에 설치하기 위한 부품이다. 또 스탠드 대신 드럼 세트 주변에 랙을 두어 그곳에 탐이나 심벌을 고정시켜 세트하는 방법도 있다(드럼 랙). 이때 소프트웨어라 함은 이러한 기기들을 합목적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그 기기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이 되는 자료를 뜻하게 된다. 드물게는 학교의 건물이나 교실과 같은 모든 물리적 시설 및 설비를 하드웨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드웨어는 GIS를 구동시키는 컴퓨터 체계의 물리적 장치를 가리키는 말로, 눈으로 볼 수 있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GIS에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중앙 처리 장치와 주변 장치로 나눌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CPU)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감독하고 실행하는 GIS의 핵심 하드웨어로 일반적으로 PC와 워크스테이션의 2가지 플랫 홈으로 구성되며 자료 관리 및 분석에 사용된다. 
주변 장치는 보조 기억장치,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와 통신 지원 장치 등을 말한다. 입력장치는 CD, 디스크,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을 이용해서 수치 자료를 읽어 들이거나 디지타이저나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해석도화기, 디지털 도화기, 비디오 사진기 체계 등을 이용해 입력할 수 있는 장치들을 말한다. 출력장치는 GIS의 다양한 산출물을 만들 수 있으며, 이것을 모니터 디스플레이, 플로터나 프린터를 이용한 지도 또는 테이프나 디스크, 네트워크를 이용해 출력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여러 가지 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드웨어는 그 중에서 컴퓨터의 눈에 보이고, 만질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합니다. '하드(hard)'란 '딱딱하다'는 의미로, 하드웨어는 눈에 보이는 컴퓨터의 기계 장치를 말합니다. 사람에 비유하자면 사람의 몸에 해당되는 것이지요. 우리나라의 하드웨어 산업은 재벌 기업들이 외국의 소형컴퓨터를 국내에 판매하는 대리점의 역할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1976년에는 삼성전자가, 1978년에 금성사가 각각 휴렛팩커드(Hewlett-Packard Company), 허니웰인터내셔널(Honeywell International Inc.)과 소형컴퓨터 대리점 계약을 맺었고, 이후 많은 대기업들이 외국 기업의 컴퓨터를 도입하고 판매하는 데 뛰어들었다. 이러한 대기업들은 그동안 축적해 온 가전 기술을 바탕으로 터미널이나 모니터를 제작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개인용 컴퓨터를 만든 것은 대기업이 아니라 전문 중소기업이었다. 삼보와 큐닉스가 대표적인 예로, 그들은 1981년에 애플 Ⅱ를 복제하여 국내 최초로 개인용 컴퓨터를 제조하였다. 
이에 자극을 받아 대기업들도 개인용 컴퓨터 분야에 도전하였는데, 금성사는 1982년에, 삼성전자와 대우전자는 1983년에 개인용 컴퓨터를 제조하기 시작했다. 당시의 컴퓨터 산업은 외국 기종을 그대로 복제하여 보드를 제작하고 부품을 들여다가 조립하는 수준에 불과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소형컴퓨터의 국산화를 위한 공동연구개발사업이 추진되기도 했다. 1981∼1983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금성사, 삼성전자, 동양나일론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8비트 컴퓨터의 국산화가 이루어졌다. 
1984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소와 삼성반도체통신이 ‘SSM-16’이라는 16비트 컴퓨터를 개발했는데, 그것은 명실상부한 국산 컴퓨터 1호로 평가되고 있다. 이어 1986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소와 삼성반도체통신이 32비트 컴퓨터를 상용화하여 2000대 이상이 각급 학교와 연구기관에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하드웨어는 크게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본체로 구성됩니다. 본체 안에는 컴퓨터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중앙처리장치(CPU)를 비롯해 그림,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부품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키보드와 마우스는 입력 장치에 해당됩니다. 우리가 눈, 코, 귀 등의 감각기관을 이용해서 정보를 받아들이고, 뇌를 통해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처럼 입력 장치를 사용하면 컴퓨터에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는 출력장치에 해당됩니다. 우리가 손, 발 등으로 의사표현을 하는 것처럼 출력 장치를 사용하면 중앙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정보 처리의 결과물이 모니터를 통해 나옵니다. 이외에도 정보 입력과 출력을 위해 스캐너나 프린터와 같은 보조 장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시스템 버스는 이런 장치들을 연결하는 일을 하는데,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로 나뉜다. 주소 버스를 통해서는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억장치로부터 읽을 데이터가 저장된 주기억장치의 주소나 데이터를 쓸 주기억장치의 주소가 전달되고, 데이터 버스를 통해서는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억장치로부터 읽거나 쓸 데이터가 전달된다. 그리고 제어 버스를 통해서는 읽을지 쓸지에 대한 제어 정보가 전달된다. 

하드웨어"[hardware] 

원래는 쇠붙이라는 뜻인데, 컴퓨터의 중앙처리장 (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억장치(memory unit) ·입출력장치와 같은 전자 ·기계장치의 몸체 그 자체를 가리킬 때에 사용한다. 이에 대하여 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체계()를 소프트웨어(software)라고 한다. 하드웨어는 주로 전자부품과 기계부품으로 나눈다. 전자부품은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중앙처리장치의 연산 ·제어회로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의 제어 ·판독 ·쓰기회로 등에 사용되는데, 점차 회로의 집적화(IC)가 진척되어서 크게 변혁하고 있다. 기계부품은 대용량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에서 특히 중요하며, 고정밀도이고 강고()한 것이 요구된다.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같은 기억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로 나뉜다. 이들 장치간의 데이터와 제어 신호의 흐름은 [그림 1-3]과 같으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다른 장치들이 동작을 하게 된다. 하나의 칩으로 된 중앙처리장치를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라 하는데, 대표적인 제품으로 인텔의 펜티엄과 코어2듀오가 있다. 

레지스터" 
중앙처리장치에 명령어나 데이터 그리고 연산한 결과 등을 저장하는 기억장소가 있는데, 이를 레지스터라 한다. 레지스터는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는 동안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억장치로, 레지스터의 크기와 개수는 중앙처리장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연산장치" 
연산장치(ALU : Arithmetic Logic Unit)는 단어의 뜻 그대로 연산을 하는 장치로,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산술연산과 ANDORNOT 등의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제어장치" 
제어장치(Control Unit)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일을 한다.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하고, 해석된 명령의 의미에 따라 다른 장치들에게 동작을 지시한다. [그림 1-3]의 제어 신호를 보내는 장치가 제어장치다. 

기억장치" 
기억장치는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을 한다. 컴퓨터 설계자들은 이런 기억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가격은 최소화하면서도 용량이 크고 접근 시간이 빠른 기억장치 제조 기술을 원한다. 그러나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기억장치는 있을 수 없다. 빠른 속도와 큰 용량을 만족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고, 비용을 최소화하려면 속도와 용량이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 만한 방법은 [그림 1-7]과 같이 용량은 작고 고가지만, 빠른 속도의 기억장치와 저속이나 큰 용량의 저가 기억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기억장치를 계층화하여 중앙처리장치가 지금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빠른 속도의 레지스터, 캐시기억장치, 주기억장치에 저장해놓고 이용하고, 중앙처리장치가 현재 필요로 하지 않는 많은 양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는 빠른 속도의 기억장치를 사용하면서도 큰 용량의 기억장치도 사용하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주기억장치" 
주기억장치는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 RAM과 ROM으로 구분할 수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주기억장치인데,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다. RAM은 전원을 차단하면 모든 내용이 지워지는 휘발성 기억장치다. ROM(Read Only Memory)은 부팅할 때 동작하는 바이오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장치로, 전원을 차단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기억장치다. 보조기억장치" 가장 낮은 계층에 있는 보조기억장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영구히 저장하는 장치로, 중앙처리장치의 필요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주기억장치로 전송된다. 그리고 보조기억장치는 가상 메모리 개념에 의해 주기억장치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보조기억장치로는 하드디스크,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디스크 등이 있다.    

입력장치"
입력장치는 문자, 그림, 소리, 동영상 등과 같은 외부의 데이터를 컴퓨터로 읽어들이는 일을 한다. 대표적인 입력장치로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조이스틱 등이 있다.

출력장치"
출력장치는 컴퓨터에서 처리한 결과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일을 한다. 대표적인 출력장치로 모니터, 프린터, 플로터 등이 있다.캐시기억장치 캐시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의 접근 시간과 중앙처리장치와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빠른 속도의 캐시기억장치는 현재 중앙처리장치가 자주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일부와 데이터를 저장하여 동작하는데,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캐시기억장치는 RAM과 마찬가지로 휘발성이다. 운전중인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행하는 모니터링 수법의 하나. 프로브(probe)에 의해 피측정 시스템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관측함으로써 평균 명령 실행 시간, 명령 출현 빈도, 장치 사용률, 프로그램 모듈 주행 스텝 수 등을 측정한다. 
① 실()가동 상태에서의 동적 측정이 가능하다. 
② 외란()을 주지 않는다. 
③ 프로그램의 세공()이 불필요하다 등의 특징을 가지며, 각종 하드웨어 자원의 사용률 등 여러 가지 사상()을 관측한다. 시스템 동작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지만 프로그램에 관계하는 데이터의 수집은 곤란하다.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드웨어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고, 모습도 다양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본체 안에 들어가 있던 중앙처리장치가 모니터에 포함된 컴퓨터가 개발되는가 하면,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피씨와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 장치가 한 곳에 모인 단순한 생김새의 하드웨어가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제법 큰 공간을 차지했던 과거의 하드웨어와 비교하면 그 이용이 매우 편리해진 것이랍니다.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 기능을 대상으로 하는 장치 그 자체. 
(1) 데이터 처리 시스템(data processing system)을 구성하는 유형의 전기·전자·기계 등의 기구나 장치. 예를 들면, 주기억 장치(main storage), 연산 제어 장치(arithmetic and control unit), 입출력 장치 (input/output unit) 등의 총칭이다. 혹은 이들 개개의 장치나 기기를 가리킨다. 무형의 소프트웨어(software)와 대비된다. 판독 전용 메모리인 ROM은 그 자체는 소프트웨어이지만 내부는 하드웨어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는 특히 펌웨어(firmware)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2) 하드웨어는 원래 「금속물」이라든가 금속제 제품을 말한다. 이런 의미에서는 자동차, 공작 기계, TV 등도 모두 하드웨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하드웨어 산업에 전환점이 된 것은 1983년부터 시작된 국가기간전산망 구축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기간전산망 구축사업은 행정전산망, 금융전산망, 교육연구전산망, 국방전산망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전산망별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체제를 갖추었다. 그중 행정전산망의 경우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소의 주관 하에 금성사, 대우통신, 삼성전자, 현대전자산업 등이 참여하여 주전산기를 개발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1980년대 말부터는 컴퓨터 본체의 생산이 침체되면서 주변기기에 대한 진출이 모색되었다. 
1988년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국내에서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비슷한 시기에 도트프린트 헤드의 국산화가 이루어졌다. 
1992년에는 레이저프린터 엔진이 국산화되었고, 1995년부터는 CD롬 드라이브도 국산화되었다. 이와 함께 1994년에 멀티미디어 워크스테이션이 개발되는 등 상위 기종에 대한 도전도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 결과 1989년에는 개량 기종인 주전산기 Ⅰ(일명 타이컴 Ⅰ)이, 1991년에는 자체개발 기종인 주전산기 Ⅱ(타이컴 Ⅱ)가 개발되었다. 
1994년에는 고속 중형컴퓨터인 주전산기 Ⅲ(타이컴 Ⅲ)가, 1998년에는 고속 병렬컴퓨터인 주전산기 Ⅳ(타이컴 Ⅳ)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주전산기 개발사업은 조립생산 위주였던 컴퓨터 기술수준을 독자적인 설계와 개발로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컴퓨터와 관련된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인터넷의 대중화를 매개로 서버기술의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006년에는 차세대 인터넷서버가 개발되어 코아브리드와 같은 전문기업을 매개로 각종 케이블 TV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다. 이어 2007년에는 네이버, 다음, 엠파스, 싸이월드 등 포털업체들과 공동으로 동영상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개소프트웨어 기반의 글로벌 인터넷서비스 플랫폼 개발이 추진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하드웨어[hardware] (천재학습백과 초등 소프트웨어 용어사전, 천재교육)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란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을 총칭하는 말이다.
컴퓨터 사용자가 손쉽게 컴퓨터를 쓸 수 있게 도와주는 동시에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해주는 기능을 갖춘 프로그램의 집단.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제작 회사에 의해 제공되며 흔히 운영 체제(OS)로 불린다. 소프트웨어란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을 총칭하며 크게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의 각 장치를 통제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검사하고 제어하는 등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며, 응용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목적이 되는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최근에는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을 선택할 때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의 역할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소프트웨어와 관련한 양식으로는 소프트웨어 관리대장, 소프트웨어 구매 계약서, 소프트웨어 사용 계약서, 소프트웨어 발주서, 소프트웨어 사용승인서, 소프트웨어 위탁 계약서, 소프트웨어 견적서 등이 있다.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가장 근본적으로 필요한 소프트웨어이다. 이 소프트웨어에는 운영체제, 컴파일러, 어셈블러,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텍스트 에디터 등이 있다. 

컴퓨터 하드웨어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모든 기술로서, 컴퓨터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절차, 이에 관계되는 모든 문서들, 그리고 전산화된 데이터와 정보 등을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사용 중인 프로그램의 집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효과적으로 컴퓨터를 운전하기 위하여 개발된 모든 프로그램의 집합체를 ‘소프트웨어’라고 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산업이란 복잡한 업무를 전산화시키기 위해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기술 산업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는 인간의 자율 신경계와 비슷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와 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감시와 보조로 어떤 특정한 요구에 맞추어서 문제를 해결해주는 ‘응용 소프트웨어’ 로 분류된다. 예전에는 롬(ROM)에 들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플로피 디스크나 시디롬(CD-ROM)에 담겨 있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는 오퍼레이팅시스템(운영체제), 각종 언어의 컴파일러, 어셈블러,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텍스트 에디터 등이 포함된다. 

컴퓨터를 동작시키고 컴퓨터에 어떤 일을 처리할 순서와 방법을 지시하는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수행에 필요한 절차, 규칙, 관련 문서 등의 총칭. 보통 프로그램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형체를 갖고 있는 하드웨어를 제외한 보이지 않는 무형의 부분을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지식 창조 사회의 핵심 자원으로 새로운 지식 산업을 창출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동맥과 같은 역할을 한다. 더욱이 투명하고 깨끗한 사회, 소통하는 신뢰 사회를 만들어 내는 인프라이기도 하다. 

인력 양성, 시장 확대,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 소프트웨어 혁신 전략의 실현은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과제다. 소프트웨어 중심의 혁신으로 경제·사회 혁신의 인프라를 갖추어야 한다. 컴퓨터를 동작시키고 컴퓨터에 어떤 일을 처리할 순서와 방법을 지시하는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수행에 필요한 절차, 규칙, 관련 문서 등의 총칭. 보통 프로그램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컴퓨터 시스템"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형체를 갖고 있는 하드웨어를 제외한 보이지 않는 무형의 부분을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기능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디스크 운영 체계(DOS)나 윈도즈와 같이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일을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고, 다른 하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시킨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응용 소프트웨어이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운영 체계(OS)와 동의어라고 할 수 있는데, 컴퓨터 시스템의 각 장치를 통제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검사하고 제어하는 등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DOS, 윈도 및 유닉스(UNIX) 등이 있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목적이 되는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데이터베이스 등이 있다. 

2014년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박람회인 세계가전박람회 에서 가장 커다란 주목을 받았던 제품은 스마트 자동차였다. 즉, 자동차가 소프트웨어와 결합해 거의 전자제품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구글에서 개발 중인 무인 자동차 기술은 이제 실용화 단계에 이르렀다. 50만 마일의 무사고 운전을 기록하여 전문 기사보다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차세대 전투기인 F35 전투기 기능의 90% 이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2400만 줄의 코드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영화 제작에서는 컴퓨터그래픽의 사용이 일상화한 지 이미 오래다. <아바타(Avata)> 영화 제작에 3만 5000대의 리눅스(Linux) 컴퓨터가 사용되었다. 

3D 프린터의 확산으로 3D 모델 설계도의 인터넷 장터가 활성화되고 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이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세계 여러 나라의 극장에서 상영되어 현지 오페라 극장에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재현해 낸다. 이렇게 소프트웨어는 사회 변화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사용자들이 자신이 필요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의 기초가 되며 그 위에서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시스템소프트웨어가 들어 있는 플로피 디스크를 시스템 디스크라고 하며, 이 디스크가 있으면 컴퓨터를 가동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공식적인 관심은 1967년에 과학기술처가 전자계산조직개발조정위원회를 설치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위원회는 국가행정 업무의 효율화, 일반 기업 경영의 합리화, 과학기술 연구업무의 과학화를 위해 전산처리 목적의 소프트웨어 개발 작업을 추진하였다. 당시에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로 ‘전자정보처리시스템’ 이 널리 사용되었다. 

1970년대 초에는 한글입출력단말기·한글자동인쇄기·광학문자 판독기 처리 기술 등이 개발되어, 예비고사 채점, 금융 및 세무행정 전산화, 경영정보시스템 마련 등에 활용되기 시작했다. 당시에 전자정보처리시스템을 개발하는 작업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산하 시스템 공학연구소 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것은 1998년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으로 통합되었다. 

1976∼1985년에는 외국 기업과의 기술제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당시의 기술개발 사례로는 한글처리용 단말기인 한글터미널의 개발, 지리정보시스템의 기본 기술인 원격탐사기술의 개발, 워드프로세싱 시스템의 기본 기술인 한글입력시스템의 개발, 병원관리 종합시스템의 구축, 일본어를 대상으로 한 자동번역시스템의 개발, 전국체전 전자시스템의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이 잇달아 개발되면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별개의 것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행정전산망용 주전산기 개발사업이나 전전자교환기 개발사업과 같은 대형 국책사업을 매개로 소프트웨어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기 시작했다. 전전자교환기용 실시간 운영체제 개발, 주전산기 타이컴 시리즈에 탑재한 UNIX 운영체제 개발, 다수의 사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의 개발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함께 1983년에 개발된 전국체전 전자시스템은 1986년 아시안게임 경기정보시스템, 1988년 올림픽게임 경기정보시스템, 1993년 대전 엑스포 전산시스템 등으로 진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시스템공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솔루션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당시의 주요 기술로는 차량번호판 인식시스템, 문화재 복원 소프트웨어, 저가형 가상현실 저작도구, 분산처리 진단 및 교정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등을 꼽을 수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국가지리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 작업도 추진되었다. 

제1단계인 1995∼1998년에는 국가표준에 부합하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고, 

제2단계인 1999∼2003년에는 국제경쟁력을 갖춘 독자적인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이와 함께 1993∼2000년에는 분산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술개발이 국책과제로 선정되어 한우리 시리즈가 개발되기도 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나 응용 소프트웨어는 아니지만 이 2가지 요소를 다 포함하고 있는 망 소프트웨어 와 언어 소프트웨어의 2가지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망 소프트웨어는 복수의 컴퓨터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며, 언어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작성자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필요한 도구(tool)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작성 언어이다. 이와 같은 기능에 의한 분류 이외에 소프트웨어의 배포 방법에 따라 패키지 소프트웨어, 공용 소프트웨어, 프리웨어공유웨어베이퍼웨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도 데이터(정보)라는 그릇된 인식을 갖고 있는데, 소프트웨어는 데이터가 아니며 하드웨어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순서와 방법을 지시한다. 
소프트웨어는 실행되고 데이터는 처리된다.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와 관련된 문서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기계장치부를 말하는 하드웨어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크게 운영체제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나뉘며 하드웨어가 발달하여 가격이 저렴해지고 교체가 잦아짐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제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풀어주는 프로그램들이며 사무자동화· 수치연산· 게임 등 다양하다. 

1960년대는 하드웨어만을 중요시하고 소프트웨어는 무료로 공급했으나 이제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과 독립성이 널리 인식되어 소프트웨어의 가격이 하드웨어와 별도로 책정되는 경향이 뚜렷해졌고, 소프트웨어 가격이 하드웨어 가격보다 높은 경우도 많다. 하드웨어 가격이 계속 저렴해지고 또 자주 교체됨에 따라 이제는 컴퓨터시스템을 선택할 때 과거와는 반대로 소프트웨어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할 때가 많다. 소프트웨어가 생산성을 얼마나 높여주는가의 여부, 하드웨어가 바뀌더라도 거기에 적응할 수있는 소프트웨어인가의 여부, 유지보수를 하는 것이 효율적인가의 여부 등이 중요한 요구조건이 되고 있고, 또한 중요한 연구개발 대상이 되고 있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면서 또 다른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도움을 제공하며,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운영체제로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등이 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나 응용 소프트웨어는 아니지만 이 2가지 요소를 다 포함하고 있는 망 소프트웨어와 언어 소프트웨어 의 2가지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망 소프트웨어는 복수의 컴퓨터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며, 언어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작성자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필요한 도구(tool)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작성 언어이다. 이와 같은 기능에 의한 분류 이외에 소프트웨어의 배포 방법에 따라 패키지 소프트웨어, 공용 소프트웨어, 프리웨어공유웨어베이퍼웨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도 데이터(정보)라는 그릇된 인식을 갖고 있는데, 소프트웨어는 데이터가 아니며 하드웨어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순서와 방법을 지시한다. 소프트웨어는 실행되고 데이터는 처리된다. 소프트웨어는 창조경제의 핵심 중 하나로 주목받는 분야다. 소프트웨어는 지식 창조 사회의 핵심 자원으로 새로운 지식 산업을 창출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중요한 요소다. 

소프트웨어는 지식을 창출하고 유통의 도구로 제조업·서비스업 등 모든 산업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다. 소프트웨어는 기존의 경제와 사회의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다. 소프트웨어의 역할은 광범위하다. 

첫째, 소프트웨어는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는 기제다. 정보 시스템은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세스 혁신의 도구로 기능한다. 

둘째, 소프트웨어는 제품을 혁신한다. 내장형 소프트웨어는 제품의 스마트화와 다기능화를 가져온다. 

셋째, 소프트웨어는 소통 방식을 혁신한다. 
인터넷 서비스 소프트웨어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이미 인류의 소통 방식을 완전히 뒤바꾸어 놓고 있다. 

넷째, 소프트웨어는 문화예술의 유통을 혁신한다. 
디지털 콘텐츠 소프트웨어는 언제 어디서나 양질의 문화 공연을 향유할 수 있게 한다. 

GIS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공간 정보의 입력 · 편집 · 검색 · 추출 · 분석 등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집합체를 나타낸다. GIS 소프트웨어의 주요구성은 자료 입 · 출력 및 검색, 자료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관리, 자료의 출력과 도식, 자료의 변환, 사용자와의 연계 등으로 구분된다. 

GIS를 구성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는 단계별로 규정할 수 있다. 하위 레벨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인 시스템 운용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이고, 상위 레벨 소프트웨어나 응용소프트웨어는 지도 제작이나 지리 분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간단히 말하면, 소프트웨어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하드웨어에게 내려지는 명령어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의 기본 운영 절차와 분배를 제공하는 시스템 메모리에 프로그램이 저장됨으로써, 컴퓨터 내부에서 작동된다. GIS 소프트웨어는 GIS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GIS를 위해 개발된 응용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인 지도 제작과 자료 관리를 위한 핵심패키지 와 지리 분석이나 지도 제작 수행을 위해 통합된 개별 응용 패키지의 두 부분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핵심 패키지의 일부로 제공되거나 또는 특수 응용 소프트웨어의 일부로 제공되는 특수 형태의 기능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별로 다양하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핵심 패키지는 그래픽 처리기능,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능, 기본적인 지도 제작 기능과 지형분석 유틸리티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 

지도제작을 위해 설계된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원칙적으로 그래픽처리 기능을 강조하고, 제한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능과 지형 분석 유틸리티를 갖는다. 소프트웨어업체에 의해 공급되는 GIS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도형 자료와 비도형 속성 사이를 강하게 연결함으로써 동시에 도형 및 비도형 자료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네트워크 추적, 지형 분석, 주제도 제작 등과 같은 응용패키지는 특정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핵심 패키지와 통합될 수 있다. 지식 산업을 창출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동맥과 같은 역할을 한다. 더욱이 투명하고 깨끗한 사회, 소통하는 신뢰 사회를 만들어 내는 인프라이기도 하다. 

인력 양성, 시장 확대,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 소프트웨어 혁신 전략의 실현은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