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2월 19일 화요일

숭례문.(남대문) 1

숭례문.(남대문) 
조선의 도읍지였던 한양에는 도성을 둘러싼 4개의 문이 있었다. 남쪽의 숭례문, 북쪽의 숙청문, 동쪽의 흥인지문, 서쪽의 돈의문 등이다. 각각의 성문은 조선 태조 때인 1396년에 지었는데, 네 개의 문 가운데 정문은 남쪽의 숭례문이다. 숭례문의 ‘숭례’는 예를 숭상한다는 뜻이다. 문의 위쪽에 걸린 현판은 조선의 제4대 임금 세종의 형인 양녕 대군이 썼다고 알려져 있다.
서울 남대문에는 ‘남대문 문턱이 대추나무라고 한다’는 말이 있다. 문턱도 없는데 그 문턱이 대추나무라고 하듯이 터무니없는 말로 우김질을 한다는 뜻이다. 남대문은 국보 제1호로 지정되어 빌딩숲에 갇혀 외롭게 서 있다가 2008년 방화로 인해 소실되고 말았다.

남대문은 도성의 4대문과 4소문 중 남쪽으로 난 정문이다. 조선 태조 7년에 창건된 숭례문은 1448년(세종 30)에 재건되었다. 당시 재건하려던 이유가 『세종실록』 15년 조에 실려 있다.

숭례문은 여러 번 고쳐 지은 것이다. 1398년에 창건한 이후 세종 때인 1448년, 성종 때인 1479년에 크게 고쳐 지었다. 여러 번 고쳐 지은 것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경복궁과 도성을 보호하기 위해서였다. 1962년에도 대대적인 보수 공사가 있었고, 2008년에 방화 사건으로 건물의 대부분이 불타 없어져 지금은 옛 모습으로 복원하여 다시 지었다.
숭례문은 거대한 석축 기단과 2층의 다포집, 그리고 우진각 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포집은 기둥 위에 여러 개의 공포(나무쪽)를 올려 짓는 집을 뜻하고, 우진각 지붕은 앞에서 보면 사다리꼴이고 옆에서 보면 삼각형인 지붕을 가리킨다. 석축 기단 가운데에는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문이 있는데, 무지개 모양을 하고 있어서 ‘홍예문’이라고 부른다.

풀이

우리나라 성문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클 뿐 아니라 웅장하고 아름다운 목조 건축물의 대명사로 통하는 숭례문
숭례문의 현판은 다른 문과 달리 세로로 걸려 있다.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서울 남쪽에 있는 관악산은 불의 기운이 강한 곳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숭례문의 현판을 세로로 걸어 불의 기운을 막고자 한 것이다.

심화

숭례문 방화 사건은 2008년 2월 10일 저녁에 일어났다. 숭례문 2층 누각에서 불길이 일어나자 소방대가 출동하여 진화 작업을 벌였으나 화재를 막지 못해 결국 누각을 받치고 있는 석축과 현판, 홍예문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불에 타 버리고 말았다. 개인적인 불만 때문이었다는 범인의 어처구니없는 방화로 인해 국보 제1호의 문화재가 불길 속에 사라진 것이다. 숭례문 방화 사건은 범인뿐 아니라 서울특별시와 문화재청, 중구청, 소방 당국 등의 관리 소홀과 잘못된 진화 작업이 비판받았다.



숭례문(남대문)숭례문(남대문)
출처: 공유마당_사진
조선시대 서울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남쪽에 있다고 해서 남대문이라고도 불렀다. 태조 4년(1395)에 짓기 시작하여 태조 7년(1398)에 완성하였다.
경복궁의 오른팔이 대체로 산세가 낮고 미약하여 멀리 헤벌어지게 트여서 품으로 껴안은 형국이 없으므로 남대문밖에 연못을 파고 문안에 지천사()를 둔 것은 바로 그 때문이었다. “남대문 터가 지금같이 낮고 평평한 것은 필시 당초에 그 땅을 낮추어서 평평하게 한 것으로 여겨지는 만큼 이제 그 땅을 다시 돋워서 양편의 산맥과 잇닿게 한 다음 그 위에 문을 세우는 것이 어떻겠는가?” 또 “청파역()에서부터 남산으로 잇닿은 여러 산맥의 봉우리와 흥천사() 북쪽의 봉우리에도 소나무를 심어 무성하게 가꾸는 것이 어떻겠는가?” 하고 임금께서 말씀하시니 여러 신하들이 좋다고 하였다.

이수광은 『지봉유설』에서 숭례문의 현판 글씨를 세종대왕의 큰형인 양녕대군이 썼다고 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이곳 남대문의 현판 글씨를 좋아했는데, 특별히 좋아했던 사람이 바로 천하의 명필이라고 알려진 추사 김정희였다고 한다. 추사가 과천에서 오갈 때면 항상 이 문 앞에서 황홀해하다가 해가 저무는 줄도 모르고 현판의 글씨를 쳐다보고 또 쳐다보았다는 것이다.

화재로 소실되기 전까지는 남대문이 밤낮으로 항상 열려 있었지만 조선시대에는 밤이 되면 대문을 닫고 통행을 막았기 때문에 아무리 고관대작이라 할지라도 밤에는 성안에 들어갈 수가 없었다. 1796년 1월 24일, 정조가 화성에 능행을 갔다가 조금 늦게 돌아왔는데 숭례문이 열리지 않아 길에 어가를 세우는 변고가 일어났다. 그때의 일이 『정조실록』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임금이 돌아오다 만천()에 이르러 날이 이미 저물었는데, 성문이 먼저 닫혀 어가가 노차()에 머물게 되었으므로 수궁승지() 신기, 이경운, 병조참의 이우진을 파직하였다. 그런데 옥당의 여러 신하들이 차자()를 올려 그들을 찬배()하기를 청하니, 따랐다. 그로 인하여 유도대신 영돈녕부사 김이소를 파직하였다. (······) 우의정 윤시동이 차자로 청하기를 “병방승지 이익운, 병조판서 이득신, 선상대장 서용보는 아울러 삭출하고, 수궁대장 정호인을 파직하소서”라고 하니, 그대로 따랐다.
일반 평민들은 대부분 한강을 건넌 뒤에 밤이 늦으면 용산구에 있던 이태원이나 성동구 사근동에 있던 살곶이원 또는 청파역 근처에서 하룻밤을 묵었다고 한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다. 현존하는 서울의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로, 2008년 2월 10일에 발생한 화재로 2층 문루가 소실되고 1층 문루 일부가 불에 탔다. 홍예문과 석축은 남았다.
복구 작업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전통 방식을 그대로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기존의 것에서 살릴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살리고, 그 위에 불탄 부분을 재현하였다. 전통 기와를 올리고, 일제 시대에 일본에 의해 변형된 부분들을 다시 되돌려 놓는 데 주력했다. 이로써 숭례문은 약 3년의 복구 공사를 거친 뒤 2013년 5월 4일 복구 기념식을 거행하고 시민에게 공개되었다.


숭례문.(남대문’)

숭례문"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4가에 있는 도성의 남쪽 정문. 조선시대 한양에는 4대문()과 4소문()이 있었다. 4대문의 동쪽 문은 흥인지문(), 서쪽 문은 돈의문(), 남쪽 문은 숭례문(), 북쪽 문은 숙정문()이다. 이 중 숭례문과 흥인지문은 남대문, 동대문으로도 불렸다. 그렇다고 호적이 바뀌는 건 아니다. 공식 이름은 여전히 현판에 표기돼 있는 것처럼 숭례문, 흥인지문이다. 

숭례문은 한양 도성의 정문으로 4대문 중 최고다. 1395년(태조 4) 착공해 1398년(태조 7) 완공됐고, 1447년(세종 29)과 1479년(성종 10)에 크게 고쳤다. 숭례문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도 꿋꿋이 버텼다. 하지만 1899년 서울시내 전차 노선 공사로 동대문과 서대문이 헐리면서 성벽이 훼손됐다. 

서울의 정문, 국보 1호 숭례문이다. 한양 도성의 남쪽문이자 정문의 역할을 했던 문으로 한양 성곽과 함께 1396년에 만들어졌다. 조선에서 가장 큰 문으로 서울 사람들에게는 자부심의 대상이었으며, 지방 사람들에게는 한 번 보고 가면 큰 자랑거리가 되는 그런 문이었다. 만들어지고 나서 몇 번을 고치게 되는데, 특히 세종 때 기록에 표현된 대로 ‘신작’, 즉 새로 지어지는 것과 마찬가지인 대규모의 중수를 거치게 된다. 

숭례문이 위치한 자리가 낮아 정문으로서 품위가 없을뿐더러 남쪽 목멱산과 서쪽 인왕산을 연결하는 이곳의 지대를 높여 경복궁이 아늑한 지세 안에 있게 하자는 풍수지리상의 이유에서이다. 숭례문은 임진왜란이라는 큰 난리에도 불구하고 온전하게 보존되어 오다 일제 때에 이르러 문의 양끝으로 이어져 있던 성곽이 허물어지고 그 옆으로 전차와 차들이 다니게 되면서 600년 조선 왕조의 정문 역할을 마감하게 된다.

일제는 1907년 일본 왕세자 요시히토()가 방한하자 “대일본의 황태자가 약소국 조선의 정문으로 머리를 숙이고 들어가는 것은 치욕”이라며 숭례문 좌우의 성벽을 헐어냈다. 대신 그 자리에 도로와 전찻길을 내고 숭례문 둘레에 화강암으로 일본식 석축을 쌓았다. 일제는 강점기 동안 도시계획이라는 미명 아래 숭례문 파괴를 계속했다.

4대문 중 숭례문과 흥인지문이 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하나는 국보이고, 또 하나는 보물이다. 왜 다를까. 건축물이라는 공통점은 있지만, 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숭례문은 조선 초(1398)에 건립돼 현존하는 도성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됐다. 

제작 연대가 흥인지문(1869)보다 무려 470여 년이나 앞선다. 건축미도 한 수 위다. 숭례문의 절제미와 균형미는 조선 건축의 전형적인 미학을 담고 있다. 건축사적 가치도 숭례문이 더 크다.

국보와 보물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국보()는 말 그대로 국가의 보물이다. 즉 보물 중의 보물이다. 현행 문화재보호법 제23조(보물 및 국보의 지정)에 따르면 “1) 문화재청장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지정할 수 있다. 2) 문화재청장은 제1항의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보로 지정할 수 있다. 3)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보물과 국보의 지정 기준과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라고 돼 있다.

현재까지 국보가 해제된 사례는 두 차례 있었다. 국보로 지정됐던 274호 귀함별황자총통(, 1596)과 278호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이 바로 그것이다. 귀함별황자총통은 1996년 위작으로 밝혀져 국보 지위를 박탈당했다. 이 사건은 한국 국보 역사에서 전무후무한 충격적인 사기극으로 기록돼 있다. 

1992년 8월 한산도 앞바다에서 발굴된 총통이 가짜 유물임이 뒤늦게 밝혀졌기 때문이다. 해군 충무공해저유물발굴단은 총통을 거북선에서 사용한 대포로 둔갑시켰다.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도 2010년 보물(1657호)로 강등돼 국보 자격을 잃었다. 국보나 보물에서 해제되면 해당 번호는 영구 결번이 된다. 현재 우리나라 국보는 316호까지 지정돼 있다. 숭례문(1호)부터 완주 화암사 극락전(316호)까지다. 지정이 해제된 2종을 빼면 모두 314종.

2008년 2월 10일. 나라의 자존심이 무너졌다. 이날 오후 8시 45분경, 610년 동안 대한민국 한복판을 지켜온 국보 1호 숭례문이 한 개인의 ‘묻지 마’식 방화로 불과 몇 시간 만에 폐허가 됐다. 이 참담한 모습을 지켜본 국민들은 안타까움과 슬픔에 가슴을 쳤다. 문화재위원회는 불에 타 무너진 숭례문의 국보 1호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화재로 붕괴된 지 2년 후인 2010년 2월 10일. 화마로 제 모습을 잃었던 숭례문을 복원하기 위한 착공식이 열렸다. 복원 프로젝트는 5년 3개월 만인 2013년 5월 4일 완료됐다. 국보 1호 숭례문은 이날 오후 '숭례문 복구 준공식'과 함께 다시 국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숭례문은 처음부터 국보 1호였다? 그렇지는 않다. 일제에 의해 보물 1호로 지정됐다가 우리 정부가 국보, 보물을 새로 지정하면서 국보 1호가 됐다. 일제는 1933년 처음으로 국보 지정 제도를 도입했다. 국보 명칭은 일본 문화재에만 적용했다. 우리 문화재에는 국보 대신 보물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주권을 잃은 식민지 조선이 국가가 아니라는 이유로 국보를 지정하지 않았다. 일제는 1934년 8월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 보존령으로 문화재 581건을 지정하면서 숭례문(당시는 경성 남대문)에 보물 1호를, 동대문에 보물 2호를, 원각사지10층석탑에 보물 3호를, 보신각종에 보물 4호의 번호를 각각 부여했다. 보물 1호 숭례문은 당시 일제가 숭례문의 가치를 그만큼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저 편의상 붙인 번호였다.

정부는 1955년 국보 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를 발족시켰다. 보존회는 그해 일제가 지정한 보물 중 북한에 있는 것을 빼고 모두 국보로 승격시켰다. 이어 1962년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면서 이를 국보와 보물로 나누었다. 숭례문을 국보 1호(1962. 12. 20 지정), 원각사지10층석탑을 국보 2호, 동대문을 보물 1호, 보신각종을 보물 2호로 각각 지정했다. 이렇게 해서 숭례문이 대한민국의 국보 1호가 됐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일본이 수탈해 보관하고 있는 우리 문화재는 무려 6만 1400여 점에 달한다. 2011년 12월, 일제강점기에 강제로 빼앗겼던 조선왕실의궤를 포함한 조선왕실 도서 1200권이 90년 만에 환국했다.

정면 5칸, 측면 2칸, 중층()의 우진각지붕 다포()집이다. 서울 도성의 남쪽 정문이라서 통칭 남대문()이라고 불린다. 1395년(태조 4)에 짓기 시작하여 1398년(태조 7)에 완성되었고, 1447년(세종 29)에 개축하였다. 그러나 1961∼1963년에 있었던 해체, 수리에 의한 조사에서 1479년(성종 10)에도 비교적 대규모의 보수공사가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이 문은 중앙부에 홍예문()을 낸 거대한 석축기단 위에 섰으며, 현존하는 한국 성문 건물로서는 가장 규모가 크다. 석축 윗면에는 주위에 높이 1.17m의 벽돌로 된 여장()을 돌려 동·서 양쪽에 협문()을 열었고, 건물의 외주() 바닥에는 판석()을 깔았다.

건물 내부의 아래층 바닥은 홍예 윗면인 중앙간()만을 우물마루로 하고 나머지는 흙바닥이다. 지붕은 위·아래층이 모두 겹처마로 사래 끝에는 토수()를 달고 추녀마루에는 잡상()과 용머리[], 그리고 용마루 양가에는 독수리머리를 올렸다.

이 건물은 특수한 목적을 가진 성문이기 때문에 천장을 가설할 필요가 없어 연등천장으로 되어 있다. 특기할 것은 이 건물의 지붕 형태가 어느 시기에 변경된 것인지 뚜렷하지 않으나 당초에는 평양 대동문 또는 개성 남대문과 같은 팔작지붕이었다는 것이 해체, 수리 때의 조사에서 드러났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다. 현존하는 서울의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로, 2008년 2월 10일에 발생한 화재로 2층 문루가 소실되고 1층 문루 일부가 불에 탔다. 홍예문과 석축은 남았다.

화재 이후 수습 작업 및 복구를 위한 각종 연구를 진행한 후 2010년 2월 착공식을 거행하고 복구 작업을 시작하였다. 복구 작업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전통 방식을 그대로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기존의 것에서 살릴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살리고, 그 위에 불탄 부분을 재현하였다. 전통 기와를 올리고, 일제 시대에 일본에 의해 변형된 부분들을 다시 되돌려 놓는 데 주력했다. 이로써 숭례문은 약 3년의 복구 공사를 거친 뒤 2013년 5월 4일 복구 기념식을 거행하고 시민에게 공개되었다.
100여 년 동안 달리는 차들과 높은 빌딩에 둘러싸여 외딴 섬처럼 외롭게 서 있던 숭례문은 2005년 주변 차로를 정리하고 공원을 꾸미는 공사를 통하여 다시 가까이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2008년 2월 화재로 말미암아 숭례문을 잃어 버렸다. 임진왜란도, 한국전쟁의 난리도 무사히 겪은 이 문이 한 순간에 재로 변하게 되었다. 2013년 4월 29일 복원공사가 완공되어, 5월 4일 복구 기념식이 있었다. 일제 때 잘려버린 좌우측 성곽을 복구하는 등 조선 시대 당시 모습에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에 있는 조선 전기의 성문.
개설
숭례문은 조선시대 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일명 남대문()이라고도 하는데, 서울 도성의 사대문 가운데 남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고, 문화재청 숭례문 관리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아쉽게도 2008년 2월 10일 오후 8시 40분 쯤에 발생한 화재로 2층 누각의 90%, 1층 누각의 10% 정도가 소실되었다. 이후 2010년 2월에 숭례문복구공사를 시작한 이래 2013년에 완공되어 시민에게 공개되었다.
내용
서울 숭례문은 1396년(태조 5) 축조된 서울도성의 정문으로, 1398년(태조 7) 2월에 준공되었다. 그 뒤 1448년(세종 29) 개수공사가 완료되었으며, 1961년부터 1962년 사이에 실시된 해체수리 때 발견된 상량문()에서 1479년(성종 10)에도 대대적인 중수공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건물이며, 화강암으로 구축한 홍예형(: 무지개모양)의 누기()와 마름석축으로 이루어진 기층의 중앙에 홍예문이 있으며 판문에 철갑을 씌운 두 짝의 문이 달려 있다.
석축기단 윗면에는 전돌로 쌓은 여장(: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을 돌리고 동서 양쪽에 협문을 한 개씩 두어 계단을 통하여 오르내릴 수 있게 하였으며, 문의 앞뒤 여장 밑에는 석루조()를 4개씩 설치하였다. 기단의 양측에는 원래 성벽이 연결되어 있었으나, 1908년 길을 내기 위하여 헐어내어 현재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건물 내부의 아래층 바닥은 홍예의 윗면인 중앙간만이 우물마루일 뿐, 다른 칸은 흙바닥으로 되어 있고 위층은 널마루이다. 기둥은 모두 굵직한 두리기둥인데, 기둥뿌리에 나직한 하방()을 걸고 기둥머리에는 키가 큰 창방()을 걸었다. 창방과 기둥 위에는 널찍하고 두툼한 평방을 돌리고 그 위에 공포를 올렸다.
공포는 기둥 위쪽과 건물의 앞뒷면 중앙간에는 네 개씩, 다른 기둥 사이에는 두 개씩의 공간포()를 올렸고, 양 측면에도 두 개씩의 공간포를 올렸으며 내외포()가 모두 이출목()이다. 위층에는 기둥 사이의 중방()과 창방 사이에 작은 창()이 나 있다.
공포는 외삼출목칠포작(), 내이출목오포작()이고 천장의 가구()는 연등천장이다. 지붕은 아래위층 모두 겹처마로 사래 끝에는 토수()를 씌우고 추녀마루에는 잡상()과 용두()를 올려놓았으며, 용마루 양끝에는 취두(: 매머리 모양의 장식)를 올린 우진각 지붕으로 되어 있다.
최근의 수리 결과, 원래는 팔작지붕이었으며 아래위층의 살미첨차의 하향을 막기 위한 헛공아가 후세의 첨가물임이 밝혀져 제거되었고, 공포 사이의 포벽()도 토벽()으로 내외면을 단청하여 연화 또는 당초문 등이 그려져 있었다. 이 역시 후세의 공작임을 알게 되어 제거되었다.
편액의 필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지봉유설()』에는 양녕대군()이 쓴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문의 예자()는 오행에 배치하면 불[]이 되고 오방()에 배치하면 남쪽을 지칭하는 말인데, 다른 문의 편액이 가로쓰임이나 숭례문이 세로로 쓰여 있는 것은 숭례의 두 글자가 불꽃 염[]을 의미하여 경복궁을 마주보는 관악산의 화산()에 대하는 것이라 한다.
숭례문은 서울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었다. 그러나 2008년 2월 10일 오후 8시 40분 쯤에 발생한 화재로 숭례문의 2층 누각의 90%가 전소되고, 1층 누각의 10% 미만이 소실되었다. 다행히 기반 석축은 화재사고로부터 안전하였다. 
화재 이후 2010년 2월 착공식을 거행하고 숭례문복구공사 작업을 시작하였다. 복구공사는 약 3년의 기간을 거친뒤 2013년 5월 4일 복구기념식을 거행하고 시민에게 공개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건물은 전형적인 다포양식의 건물로 창건연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실한 목조건축물의 수법을 보이고 있는 한국건축사상 중요한 건물의 하나였다.

조선 시대 한양에 있었던 도성의 정문이다. 도성을 둘러싸고 있는 성문 가운데 남쪽에 있는 큰 문이라는 뜻에서 ‘남대문’이라고도 부른다. 2008년에 방화 사건으로 불타기 전까지, 서울의 성곽 중에서 제일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자 15세기를 대표하는 건축물이었다. 국보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전자올겐 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