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2월 24일 일요일

반하백출천마탕 . 半夏白朮天麻湯.

반하백출천마탕.半湯.

정의

담()으로 소화장애가 심하고 머리가 어지러우며 두통을 느낄 때에 거담·건위·진통 작용을 나타내는 처방.

내용

반하·진피()·맥아() 각 5.62g, 백출·신국() 각 3.75g, 창출()·인삼·황기()·천마()·백복령()·택사() 각 1.875g, 건강() 1.12g, 황백() 0.75g으로 구성되었고, 물에 달여 복용한다.
임상응용에 있어 이 처방은 담을 삭이고 내풍을 치료하고(), 기허증을 치료하고 비가 허한 것을 보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소화()시키는 효능이 있어 두중()·현운(: 어지럼증), 심하면 회전성의 현운 등으로 설 수 없고, 오심()·구토 등 담탁상요()의 증후에 식욕부진하며 원기가 없고 쉬 피로하며 흉복부의 고만(滿), 설사 등의 증세를 치료한다.
비기허()의 담탁상요란 소화 흡수 기능과 전신의 기능대사가 저하되어 있어 수분의 흡수와 배설의 장해로 위속에 정체하거나 조직의 부종 등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신체의 상부에 실조증상(調)을 나타내는 것을 가리켜 담탁이라 한다.
이러한 증상에 소화흡수나 전신의 기능대사를 촉진하여 근본원인을 개선하고 이수()에 의하여 부종을 배제하며, 현운을 방지하는 한편, 현운·구토를 진정시켜 표()·본()을 함께 개선하는 처방이다.
비위가 허약하여 생긴 담궐두통을 치료한다. 증상은 머리가 터지는 것같이 몹시 아프고 몸이 산처럼 무거우며 사지가 싸늘하고, 토하며 어지럽고 마치 비바람 속에 있는 듯 눈을 뜨기 힘든 것을 치료한다.
반하(법제한 것), 진피, 맥아(볶은 것) 각 한 돈 반, 백출·신곡(볶은 것) 각 한 돈, 창출·인삼·황기·천마·백복령·택사 각 닷 푼, 건강 서 푼, 황백(술로 씻은 것) 두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난실비장』).

便調 []

머리가 매우 아픈 것을 족태음경의 담궐두통이라고 하는데, 반하가 아니면 치료할 수 없다. 눈이 캄캄하고 머리가 빙빙 도는 것은 풍이 허한 틈을 타 속에서 생긴 것인데, 천마가 아니면 없앨 수 없다. 황기는 달고 따뜻하여 화를 내리고 원기를 보하며 표가 허한 것을 실하게 하고 식은땀을 멎게 한다. 인삼은 달고 따뜻하여 화를 내리고 중초를 보하며 기운을 북돋운다. 창출과 백출은 모두 쓰면서 달며 따뜻하여 습을 없애고 중초를 보하며 기운을 북돋운다. 택사와 복령은 소변을 잘 보게 하고 습을 끌어낸다. 귤피는 쓰고 따뜻하여 기운을 북돋우고 중초를 고르게 한다. 신곡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위 속에 막힌 기를 쓸어낸다. 맥아는 중초를 풀어주고 위기를 돕는다. 건강은 맵고 뜨거워 중초의 찬 기운을 몰아낸다. 황백은 아주 쓰고 찬데 술에 씻어서 쓰면 겨울에 소양() 상화()가 재천()하여[하초()의 신화() 때문에] 건조해지는 것[조증()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난실비장』).

반하(: 법제한 것) · 진피() · 맥아(: 덖은 것) 각 6g, 백출() · 신국() 각 4g, 창출() · 인삼() · 황기() · 천마() · 백복령() · 택사() 각 2g, 건강() 1.2g, 황백(: 술에 담근 것) 0.8g. [《동의보감()》] 비위허약()으로 생긴 담궐두통() 때 머리가 몹시 아프고 토하며 어지러워 눈을 뜰 수 없고 때로 구역질이 나거나 토하며 온 몸이 몹시 무거우며 팔다리가 싸늘한 데 쓴다. 메니엘 증후, 위하수(), 위무력증 등에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만성적으로 비장(지라)과 위가 허약하여 오는 발작성 두통, 현기증에 쓰이고, 또 발작성 증세는 없더라도 만성위허약자의 식후의 졸음, 수족권태에도 응용된다. 

처방내용은 반하() ·백출() ·창출() ·진피() ·복령() 각 3.75g, 맥아() ·천마() ·생강 ·신국() 각 3g, 황기() ·인삼 ·택사() 각 2g, 황백() ·건강() 각 1.87 을 달여서 마신다.
*  治.
        .
[]


반하후박탕. 半夏厚朴湯.

반하후박탕. 半夏厚朴湯.
 한의학 처방.
기제()의 대표적인 방제()이다. 인후, 식도에 무엇이 걸려 있고 막힌 것 같아 늘 불안하고 답답하여 우울한 나날을 보내며, 어지러움과 심계항진 ·위아토니( atony) ·위하수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 쓰인다.

복진()해 보면 심하부()가 팽만하고 물 흐르는 소리가 느껴진다. 적용 환자는 특히 부인이 많고, 신체가 마른 신경형은 물론 비습다육()한 여성에게도 쓰이는 처방이다.

응용되는 증세는 신경통 ·노이로제 ·신경쇠약 ·기울증() ·히스테리 ·신경성 식도협착 ·인후염 ·심계항진증 ·바제도병 ·기관지천식 ·위아토니 ·기관지염 ·오조() ·백일해 등이다.

처방은 반하() 20.0g, 후박() 6.0g, 복령() 8.0g, 생강 10.0g, 소엽() 4.0g을 달여서 마신다.
부인()의 가슴이 그득하고 심하()가 단단하며 인후부()가 좁아 살덩어리 같은 것이 있는데도 뱉어지지 않고 내려가지도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창만(滿)으로 인한 여러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담음()이 위장에 정체되어 구토와 딸꾹질, 복부가 팽만하고 목에 무엇이 매달린 것 같은 증상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동의보감』에 수록되어 있는데, 반하 18.75g, 후박 5.625g, 백복령() 7.5g, 생강 9.375g, 소엽() 3.75g으로 구성되었고 물에 달여 복용한다.
처방 중에 후박은 이기강역()하고 조습제만(滿)하는 효능이 있어 위장의 긴장을 풀어주고 분문()과 유문()의 경련을 완화하고, 자소엽은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위장의 연동을 촉진한다.
담습()에 의한 폐기역()은 기관지나 인후부에 가벼운 염증, 기관지 경련, 분비의 항진, 담()의 정체 등에 의해 기도()의 자극이 높아짐으로써 일어나는 해수·객담·호흡곤란 등의 증상이다.
오심·구토가 심할 때에는 진피()·사인()을, 팽만감이 심하면 지실()·향부자() 등을 배합하고, 식체를 겸할 때에는 신국()·맥아()·내복자()를 배합하며, 타액이 많거나 설태()가 백활()하고 복랭() 등 위한()의 증상을 겸하게 되면 생강을 건강()으로 바꾸고 오수유()·정향()을 배합하고, 해수가 심하면 마황()·전호() 등을, 객담이 많을 때에는 소자()·내복자·정력자() 등을 배합하여 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