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월 13일 수요일

방탄소년단, 석진, 정국,,,

방탄소년단, 석진, 정국,,,
방탄소년단 진 냉우동 먹는 김석진 카감 정국이는 홈런볼같은 빵 먹방 움짤,  

석찌니는 햄찌,,,


정구기는 토깽이,,,  

티셔츠도 석찌니는 흰색 막둥이는 검정색을 입었었네요,

우동 풀면서 정국이 소개해주는건데 예 쁨 폭 발,,,  




 조심히 뜯어서 간장 육수도 붓고 ㅋㅋ 




 이건 정구기 장단 맞춰주는 건뎅 ㅋㅋㅋ  
이거 만들면서 정국이 랩핑 귀여워서 기억해뒀다가 적어야겠다 했는데 
까먹었네요 ㅋㅋ


우유를 먹어요~ 였던가 ㅋㅋ  






아아아 기억났습니다, 
우유는 흔들어야  맛이죠~ 


이거도 이상한뎅 ......넵 ㅋㅋ 

우유는 흔들어야 제 맛이죠~오요요요~



증말 오빠미 뿜뿜인 울 석지니,


우동면 섞는데도 웰케 이쁜거냐며 ㅋㅋㅋ 






남친짤입니다 
증말 남친짤 ㅠㅠ 


카메라 고정시키고 온 막냉이 



먼저 먹어보는 형아 


먹을때 볼 빵빵해지는거 넘 귀엽죠 ㅠㅠ 



다시한번ㅋㅋ 

오물오물 예쁘게도 먹지요 
맛있으니까 정국이도 한입ㅠ
젓가락에 손 뻗다가 

그냥 입으로 먹는 정구기 
아구 예뻐랑 ㅠㅠ 



먹여주고 받아먹는 어미새와 이기새






맛 표현 해달라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  
이렇게 귀엽게 맛을 표현해줍니다 우리 국진이들 
ㅋㅋ  
그덕분에 전 함박웃음 ....






그리고 다시 먹는 형아 석찌니,,,[출처] 방탄소년단 진


 꾸기는 옆에서 나머지 빵봉지를 뜯고 ㅋㅋㅋ



그리구 그들만에 놀이 ㅋㅋㅋ 
아 진짜 귀엽죠 

아니 한결같아요 
미치겠습니다 

예뿌예뿌 예뿌 ㅠㅠ

ㅋㅋㅋ  노래에 맞춰서 먹는건데 ㅋㅋㅋ
넘 귀엽죠 ㅠㅠㅠ



진짜  우리 탄이들은 시트콤같은걸 하면 잘할것 같은데
아쉽죠 ㅠ  

ㅋㅋㅋ 막둥이 표정이 제 표정이구  아 넘 귀엽죠 ㅋㅋㅋ 



냉우동 먹는 김석진 카감 정국이는 홈런볼같은 빵 먹방,,,

그렇게 다시 등장한 남주니에게 출연제의를 하지만,

남주니는 거절~ ㅋㅋㅋ 


끝에 웃는거 심쿵 ㅋㅋ



그렇게 막둥이가 돌아오고 다시 시작된 음악먹방 ㅋㅋㅋ

이번엔 분위기를 바꿔서 밝은 노래로 ㅋㅋㅋ


 햄찌니 인증! ㅎ 



석찌니 멜룽이 



아웃사이더님에 외톨이ㅋㅋㅋ

빠른곡으로 유명했죠 ㅋㅋㅋ




노래에 맞춰서 빠르게 먹고  볼빵빵이 되서 먹다가 ㅋㅋㅋ

ㅋㅋㅋㅋㅋ 흥 폭발한 아기새와 어미새 국진이들 



진짜 노래 끝나고 영상도 끝났죠 ㅋㅋㅋ
 진짜 여뻐요 
예뻐요 ㅠㅠ


[출처]방탄소년단 진 냉우동 먹는 김석진

#방탄 #석진 #맛나 #정국 #냉우동 #bys #빅히트 #방탄소년단 #진 #방탄소년단정국 #방탄밤 #밥먹는김석진 #진먹방#국진#아기새와어미새 #정국먹방 #정국움짤 #잇진움짤 #잇진 #냉우동먹는진이 #알엠 #남준

연리지 [連理枝]

연리지 [連理枝]

뿌리가 다른 나뭇가지가 서로 엉켜 마치 한나무처럼 자라는 현상.
 : 이을 연
 : 이치 리, 결 리
 : 나뭇가지 지

뿌리가 다른 나뭇가지가 서로 엉켜 마치 한나무처럼 자라는 현상이다. 매우 희귀한 현상으로 남녀 사이 혹은 부부애가 진한 것을 비유하며 예전에는 효성이 지극한 부모와 자식을 비유하기도 하였다.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소나무 연리지가 유명하며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송면리의 소나무도 연리지로 알려져 있다.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에는 동백나무 연리지가 있으며 마을사람들에게 사랑을 상징하는 나무로 보호되고 있다.

서로 다른 나뭇가지가 맞닿아 결이 통하여 하나로 된 나뭇가지. 화목한 부부 또는 남녀 사이. 춘추시대 진(晉)의 조간자(趙簡子)가 나루터 아전(衙前)의 딸을 소실로 데려오니, 그의 처가 청릉대(靑陵臺)에서 떨어져 자살했는데, 후에 그 부부의 무덤이 따로 있었으나 두 무덤에 나무가 나서 가지가 서로 향해 벋어가더니 하나로 합치더라 함. 부부끼리 또는 남녀가 섞인 계(契) 모임을 ‘연리계(連理契)’라 함.

연리지

在天願作比翼鳥 在地願爲連理枝(재천원작비익조 재지원위연리지 ; 나는 새가 되거든 남방의 비익조같이 함께 날고, 나무가 되거든 연리지가 되어 떨어지지 말자던 임금님 말씀.)<백거이白居易 장한가長恨歌>

후한서()》 채옹전()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후한 말의 문인인 채옹()은 효성이 지극하기로 소문이 나 있었다. 채옹은 어머니가 병으로 자리에 눕자 삼년 동안 옷을 벗지 못하고 간호해드렸다. 마지막에 병세가 악화되자 백일 동안이나 잠자리에 들지 않고 보살피다가 돌아가시자 무덤 곁에 초막을 짓고 시묘()살이를 했다. 그 후 옹의 방앞에 두 그루의 싹이 나더니 점점 자라서 가지가 서로 붙어 성장하더니 결()이 이어지더니 마침내 한그루처럼 되었다. 사람들은 이를 두고 채옹의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와 자식이 한 몸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괴산연리지,

당나라의 시인 백거이()는 당현종과 양귀비의 뜨거운 사랑을 읊은 시 ‘장한가()’에서 이렇게 읊고 있다.
칠월칠일장생전(殿;7월 7일 장생전에서)
야반무인사어시(;깊은 밤 사람들 모르게 한 약속)
재천원작비익조(;하늘에서는 비익조가 되기를 원하고)
재지원위연리지(;땅에서는 연리지가 되기를 원하네)
천장지구유시진(;높은 하늘 넓은 땅 다할 때가 있건만)
차한면면무절기(綿綿;이 한은 끝없이 계속되네.)

위 시의 비익조는 날개가 한쪽 뿐이어서 암컷과 수컷의 날개가 결합되어야만 날 수 있다는 새로서 연리지와 같은 뜻으로 쓰였다.

서로 다른 나뭇가지가 맞닿아 결이 통하여 하나로 된 나뭇가지. 화목한 부부 또는 남녀 사이. 춘추시대 진(晉)의 조간자(趙簡子)가 나루터 아전(衙前)의 딸을 소실로 데려오니, 그의 처가 청릉대(靑陵臺)에서 떨어져 자살했는데, 후에 그 부부의 무덤이 따로 있었으나 두 무덤에 나무가 나서 가지가 서로 향해 벋어가더니 하나로 합치더라 함. 부부끼리 또는 남녀가 섞인 계(契) 모임을 ‘연리계(連理契)’라 함.

在天願作比翼鳥 在地願爲連理枝(재천원작비익조 재지원위연리지 ; 나는 새가 되거든 남방의 비익조같이 함께 날고, 나무가 되거든 연리지가 되어 떨어지지 말자던 임금님 말씀.)<백거이白居易 장한가長恨歌>

환성사 대웅전 수미단: 연리지와 비익조,
분류
미술/공예 > 화목 > 동물 > 비익조
원화 정보

환성사 대웅전 수미단: 연리지와 비익조

• 유 물 명 : 환성사 대웅전 수미단: 연리지와 비익조

• 소 장 처 : 경북 경산시 하양읍 팔공산

• 시 대 : 조선시대

• 재 료 : 나무에 채색

• 크 기 :

일러스트 정보

환성사 대웅전 수미단: 비익조
환성사 대웅전 수미단: 비익조

• 작 품 명 : 비익조

• 작품출처 : 환성사 대웅전 수미단: 연리지와 비익조

• 작품종류 : 2D일러스트

상징형 설명
남녀간의 지극한 사랑
비익조(比翼鳥)는 중국 숭오산(崇吾山)에 산다고 전해지는 새로 날개와 눈이 하나 뿐이어서 암수가 몸을 합쳐야만 날아갈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연유로 남녀간의 지극한 사랑을 표현한 많은 문학작품에서 이 비익조가 인용되었고, 그 중 당나라의 백거이가 양귀비에 대한 현종의 사랑에 대해 읊은 다음의 시가 유명하다.

七月七日長生殿 7월 7일 장생전에서
夜半無人和語時 깊은 밤 사람들 모르게 한 맹세
在天願作比翼鳥 하늘에서는 비익조가 되기를 원하고
在地願爲連理枝 땅에서는 연리지가 되기를 원하네.
天長地久有時盡 높은 하늘 넓은 땅 다할 때 있는데
此恨綿綿無絶期 이 한 끝없이 계속되네.
문학에서뿐 아니라 미술품에서도 비익조는 남녀간의 지극한 사랑을 의미한다.

* 관련상징형 : 연리지

원천 유물 설명
환성사(環城寺) 대웅전의 불단에 투조된 비익조와 연리지. 환성사 대웅전은 경북 경산시 하양읍 사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다포계(多包系) 팔작지붕건물. 보물 제562호. 내부바닥은 우물마루이고 후방에서 1칸 간격으로 3칸통의 불단을 안치하였고, 4개의 기둥이 일자로 후불벽(後佛壁)을 이루고 있다. 불단은 조선 후기의 일반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특이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일반 형식인 상중하의 3단 구성이 아니라 1단으로 이루어졌고, 세로가 가로보다 긴 장방형의 구획으로 정면에는 12칸, 좌우측면은 각각 4칸으로 구성되었다. 각 칸마다 갖가지 꽃들과 진기한 동물들이 투조로 장식되어 있는데, 특히 청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현 조각에 보이는 새는 비익조(比翼鳥)라는 새로 날개가 하나여서 혼자서는 날지 못하고 암수 한쌍이 함께 있어야 날 수 있다는 새이다. 새 뒤로 연리지가 보이는데, 연리지(連理枝)는 뿌리가 다른 나무 2그루가 가지가 합쳐지면서 한 그루로 자라는 나무를 말한다.

비익연리,[ 比翼連理 ]
중국 전설에 나오는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
比 : 견줄 비
翼 : 날개 익
連 : 이을 연
理 : 결리 리
부부의 사이가 매우 화락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비익조는 상상(想像)의 새 이름으로, 암컷 ·수컷의 눈과 날개가 하나씩이어서 언제나 깃을 가지런히 하여 하늘을 날아다닌다고 하며, 연리지는 두 나무의 가지가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이라는 뜻에서 화목한 부부나 깊은 남녀관계를 가리킨다.

백거이(白居易)는 《장한가(長恨歌)》에서 현종(玄宗)과 양귀비(楊貴妃)의 비련을 그려 “하늘에서는 비익의 새가 되고 땅에서는 연리의 가지가 되리라”고 노래하였다.

비익총(比翼塚)은 정사(情死)한 남녀를 한구덩이에 묻은 무덤이다.

연관 목차
길상 이미지 395/1119
동물
개구리
기러기
나비
물고기 한쌍
물고기
물새
비둘기
비익조
새 한쌍
새우
송사리
원앙
잠자리
조개
토끼
파랑새
식물
가지
난초

하나 되는 사랑,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

충남 외연도의 동백나무 연리지,

부부간의 사랑을 비유하는 말에 '비익연리(比翼連理)'라는 말이 있다. 비익조(比翼鳥)라는 새와 연리지(連理枝)라는 나무를 합친 말이다. 이 말은 당나라 때 시인 백낙천(白樂天)이 지은 <장한가(長恨歌)>1)에 나온다. 서로 사랑하는 남녀가 영원히 헤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연리지( 連 理 枝 )

비익조(比翼鳥)에서 비(比)는 앞서 비견(比肩)·즐비(櫛比) 등의 말에서 보았듯 나란하다는 뜻이다. 익(翼)은 날개이다. 비익조(比翼鳥)는 전설 속의 새이다. 이 새는 눈도 하나요, 날개도 하나뿐이다.

그래서 암수 한 쌍이 한데 합쳐야만 양 옆을 제대로 볼 수 있고 날 수도 있다. 또 연리지(連理枝)의 리(理)는 '결'이라는 뜻이다. 연리지란 그러니까 나뭇결이 연결된 가지를 말한다. 뿌리가 서로 다른 나무가 허공에서 만나 한 가지로 합쳐진 나무이다.

부부는 비록 다른 집안 다른 환경에서 나고 자랐지만, 결혼을 해서 한 가정을 이루게 되면 연리지(連理枝)처럼 한 몸을 이루어, 비익조(比翼鳥)와 같이 서로 부족한 점을 채워 준다.


하늘에선 원컨대 비익조가 되고요.
땅에서는 연리지가 되길 바라요.

在天願作比翼鳥(재천원작비익조)
在地願爲連理枝(재지원위연리지)

-백낙천의 <장한가(長恨歌)> 중에서-

분류/ 장소/ 원본/ 크기/ 관련정보/
두발로 발견한 우리땅>제주도
대한민국>제주도
8256x5504
제주도연리지
나무가 보통의 경우 가지가 붙어서 한몸이 되는데 이 나무들은 뿌리가 붙어서 연리지가 되었다.

나무가 보통의 경우 가지가 붙어서 한몸이 되는데 이 나무들은 뿌리가 붙어서 연리지가 되었다.

잣나무 연리지
분류/ 위치/ 출처/ 원문보기/
자연 > 관광자원 > 희귀동.식물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 산 33-1
대한민국구석구석 원문보기
태백시 소도동 산33-1번지에 위치한 잣나무 연리지는 약 200년으로 추정되며 작은 나무는 둘레가 약 1.5m, 큰 나무는 약 2m이며 높이는 20m에 달한다. 소나무와 달리 이곳 잣나무 연리지는 자라서 연리목이 되었다. 특히 이 연리목은 수종이 서로 다른 느티나무와 개서어나무의 몸통전체가 결합되어 있어 더욱 상서로운 나무로 알려져있다.

이 나무 앞에서 서로 손을 꼭 잡고 기도하면 부부간의 애정이 더욱 두터워지고 남녀간의 사랑이 이루어지며 소원성취 한다고 전해지나. 문헌상 삼국사기의 신라 내물왕 7년 시조묘의 나무와 고구려 양원왕 2년 서울의 배나무가 연리지가 된 기록과 고려사의 광종 24년 , 성종 6년에 연리지의 출련을 기록했을 정도로 상서로운 나무라 전해진다.

연리지송(連理枝松

연리목과 연리지는 부부간의 금술이나 남녀간의 애정이 깊음을 비유한다. 특히 이 연리목은 수종이 서로 다른 느티나무와 개서어나무의 몸통전체가 결합되어 있어 더욱 상서로운 나무로 알려져있다. 이 나무 앞에서 서로 손을 꼭 잡고 기도하면 부부간의 애정이 더욱 두터워지고 남녀간의 사랑이 이루어지며 소원성취 한다고 전해지나. (출처 : 강원도청)

연리지송(連理枝松

이용안내
이용시간
상시 이용 가능
쉬는날
연중무휴

순흥의 연리지송(順興의 連理枝松)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순흥면사무소에 있는 조선시대의 소나무이다. 2007년 1월 8일 경상북도의 기념물 제159호로 지정되었다.

분 류/ 수량/ 면적/ 지정(등록)일/ 소 재 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1주(239㎡)
2007.01.08
경상북도 영주시

문화재 지정
이 연리지송(連理枝松)은 순흥면사무소 경내에 자라고 있으며, 순흥면에서 길수(吉樹)와 비파송(琵琶松)으로 보호하고 있다.

경상북도 기념물 제159호 순흥의 연리지송 (順興의 連理枝松)

연리지(連理枝)는 보통 동종간, 이종간에 가지 또는 뿌리가 서로 융합되어 있는 경우가 가끔 있으나, 순흥의 연리지송은 쌍간(双幹)을 이루고 있는 두 수간(樹幹)이 용(龍)처럼 굽이치면서 연리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 장차 명목(名木)의 연리송으로 가꾸어 가도록 기념물로 지정한다.

연리지송(連理枝松)

이 연리지송(連理枝松)은 순흥면사무소 경내에 자라고 있으며, 순흥면에서 길수(吉樹)와 비파송(琵琶松)으로 보호하고 있다. 






연리지는 보통 동종간, 이종간에 가지 또는 뿌리가 서로 융합되어 있는 경우가 가끔 있으나, 순흥의 연리지송은 쌍간(雙幹)을 이루고 있는 두 수간(樹幹)이 용(龍)처럼 굽이치면서 연리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

연리지송(連理枝松)

각주
이동:가 나 , 《경상북도 고시 제2007-30호》,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5093호, 2007-01-08


연리지송(連理枝松)
울산 대공원내 연리지 세쌍,
참나무 연리지,
서울금천구연리지,
제주 영화 찰영지의 연리지,
연리지송(連理枝松)






홍천군 내면 명개리의 느룹나무 연리지, 마치 연인 또는 부부가 입맞춤을 나누는 듯 하다. 

우리나라 연리지로는 경북 청도군 운문면의 소나무가 유명하며, 충북 괴산군 청천면 송면리의 소나무도 연리지로 알려져 있다. 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에는 동백나무 연리지가 있다.

홍천군 명개리의 느릅나무 연리지를 보고 있노라면 마치 사랑하는 연인 또는 부부가 서로 껴안은 채 애틋한 입맞춤을 나누고 있는 듯하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다소 미완성의 연리지라고 할 수 있지만, ‘사랑나무’로 부르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잠시 후 도시에서는 갈수록 보기 어려운 장수목 전나무를 만나는 행운도 잡았다. 전나무는 한국이 원산지로 일명 ‘젓나무’라고도 한다.


이는 식물학자 이창복이 전나무에서 젖(우유)이 나온다고 해서 전나무를 젓나무로 고친데서 비롯되었다.

도시에서는 공해로 인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장수목 전나무.
전나무는 전국의 깊은 산에 자생하며 추위에 강하다. 전나무가 도시에서 점차 사라지는 것은 공해에 약하기 때문. 역으로 청정한 산골에서는 잘 자라 전원에 어울리는 나무다.


이정표 없는 산행 길에서 만난 연리지와 장수목.

참나무 연리지,

비목어()
비익조(比翼鳥)와 비슷한 의미로 비목어(比目魚)란 물고기가 있다. 글자대로 풀이하면 '눈이 나란한 고기'가 된다. 류시화는<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이란 시에서 이 물고기를 소재로 "두눈박이 물고기처럼 세상을 살기 위해 / 평생을 두 마리가 함께 붙어 다녔다는 / 외눈박이 물고기 비목(比目)처럼 사랑하고 싶다."고 노래하였다. 아마도 비익조(比翼鳥)에서 유추하여 비목어 또한 눈이 하나밖에 없으므로 암수가 서로 나란히 붙어야만 헤엄칠 수 있다고 생각한 듯하다.

머리 한쪽으로 눈 두 개가 몰려 있는 가자미,

비목어(比目魚)는 머리 한쪽으로 눈 두 개가 몰려 있는 납작한 몸의 가자미나 넙치, 광어와 같은 물고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물고기들은 눈이 한쪽으로 몰려 있기 때문에 반대편을 잘 볼 수가 없다. 그래서 서로 반대편에 눈이 달린 물고기가 붙어 다니며 서로 못 보는 부분을 도와 준다고 해서 역시 부부의 금슬을 나타내는 말로 쓰게 되었다. 

2019년 8월 이후 변경된 사항은 문서에 반영되지 않았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세한 이용안내 및 최신정보는 "대한민국구석구석 원문보기"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 내용 보다 넘 많은데 다음에!???

참조어

참조항목

카테고리
출처 ^참고문헌,
[연리지 [連理枝] (두산백과)
[연리지 [連理枝] (한시어사전, 2007..,)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길상 이미지)
[환성사 대웅전 수미단: 연리지와 비익조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길상 이미지), 2003., 한국콘텐츠진흥원)
[비익연리 [比翼連理] (두산백과)
[하나 되는 사랑,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 2011..,)
[잣나무 연리지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순흥의 연리지송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연리지 #連理枝 #백거이 #장한가 #채옹 #연리목 #비익연리 [比翼連理] #장생전(長生殿) #전설 #중국 #한문학 #하나 되는 사랑 #잣나무 연리지 #비익조() #새는 비익조()라는 새로 날개가 하나여서 혼자서는 날지 못하고 암수 한쌍이 함께 있어야 날 수 있다는 새이다 #연리지()는 뿌리가 다른 나무 2그루가 가지가 합쳐지면서 한 그루로 자라는 나무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