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세상 살아 가는데 필요한 모던것을 같이하는블르그입니다, 모던전반에 관한 세상, 자연, 엔터테이먼트, 동식물, 조류, 음식, 생활도구, 병원, 한의학, 의학, 의류, 등산, 낚시, 기타, 등등 살아가는데 종합적인 모던것 입니다,
2017년 12월 5일 화요일
경주시慶州市, Gyeongju-si 1
경주시慶州市, Gyeongju-s
유물의 수적인 면에서는 뒤지지만 규모나 예술적인 면에서는 단연 독보적인 동편기슭에는 남산에서 가장 큰 절로 비구니들의 수도처인 보리사와 8세기 말 신라불상의 걸작으로 보물로 지정된 석가여래좌상, 비스듬히 기울어진 바위 위에 조금은 거칠게 조각된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지역축제로는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정부지정 문화관광 축제인 한국의 술과 떡잔치, 매년 4월 초 보문관광단지일원에서 펼쳐지는 경주벚꽃마라톤대회, 경주버섯축제, 문무대왕해맞이대축제와 새해맞이토함산기원대축제 등이 있다.
농촌전통테마마을인 안강옥산세심마을은 69호에 155명의 마을주민이 살고 있는 전통적인 한국의 농촌마을로 농촌진흥청에서 2002년도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선정, 자립적으로 농촌체험관광을 운영하고 있는 마을이다.
읍·면
1). 감포읍(甘浦邑)
시의 동단에 위치한 읍. 면적 44.83㎢, 인구 6,013명(2015년 현재). 읍 소재지는 감포리이다. 본래 경주부 동해면이었으나 1895년(고종 32)장기군(長鬐郡)에 편입되어 내남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경주군에 편입되어 양북면이 되었으며, 1937년양북면의 오류·감포 등 9개 이가 분리되어 감포읍으로 승격되었다.
동대산계의 동부지역으로 바다 가까이까지 200m 내외의 산지가 해안에 급박하여 평야가 거의 없으며, 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동해로 흘러드는 오류천(五柳川)·전촌천(典村川)·팔조천(八助川) 등은 기울기가 급하고 길이도 짧아 유역면적도 협소하다.
총경지면적은 8.39㎢로 18.7%, 임야면적은 32.34㎢로 72.1%, 기타는 9.2%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이 4.00㎢로 47.7%를, 논이 4.39㎢로 52.3%를 차지하며 논농사와 밭농사가 비슷한 비율로 행해진다. 농산물은 주로 파·양파·당근·감·천궁 등의 작물이 재배되며 돼지가 많이 사육되고 있다. 매년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산업은 경지율이 낮아 주민의 약 3할 정도가 어업에 종사하며 가구수로는 4할을 차지한다.
수산업은 주로 시내 유일의 어항인 감포항에서 주로 행해지며, 2008년 현재 어선도 총 444척 중 동력 427척, 무동력 17척으로 10톤 미만의 소형어선이 대부분이다. 주어종은 꽁치·멸치·가오리 등이며, 약간의 전복과 미역의 양식이 행해진다. 특산물로는 멸치젓갈, 미역, 전복, 오징어, 꿀곶감 등이 있다.
교통은 울산∼신고산간의 국도가 전촌리에서 군산∼감포간의 국도와 만나 경주 도심지와 연결되며, 지방도가 북쪽의 구룡포(九龍浦)와 포항, 남쪽의 울산을 해안을 따라 연결하고 있다.
문화유적은 대본리에 이견대, 전동리에 삼락당·삼우정·삼인재, 오류리에 감포영성(甘浦營城)이 있고, 남쪽 끝의 대보리일대는 경주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개교, 중학교 1개 교, 고등학교 1개교가 있다. 감포(甘浦)·오류(五柳)·전동(典洞)·전촌(典村)·호동(虎洞)·노동(魯洞)·팔조(八助)·나정(羅井)·대본(坮本) 등 9개 리가 있다.
2). 건천읍(乾川邑)
시의 중서부에 위치한 읍. 면적 92.40㎢, 인구 1만 663명(2015년 현재). 읍 소재지는 건천리이다. 본래 경주군 서면 지역으로 1973년서면에서 건천·천포 등 11개 리가 분리되어 건천읍으로 되었다.
동대산계의 동부지방과 단석산계의 서부지방 사이에 놓여 있으며, 경주에서 영일만쪽으로 빠지는 길이 54㎞의 형산강을 배경으로 넓은 건천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총경지면적은 19.06㎢로 20.6%, 임야면적은 61.72㎢로 66.8%, 기타는 12.5%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이 4.67㎢로 24.5%를, 논이 14.39㎢로 75.5%를 차지하며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농산물은 보리와 벼농사를 주로 하며, 지역특산물인 양송이버섯은 도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고, 당도 높은 포도재배집산지로 유명한 곳이며, 이 밖에 보리·무·배추·수박·고추·마늘·파·상추와 사과가 생산되고, 가축으로는 한우가 사육되고 있다.
교통은 경부고속도로와 중앙선, 국도가 평행으로 읍의 중앙을 관통하여 편리하다. 문화유적은 송선리에 부산성지, 방내리에 단석사지·척판대, 금척리에 고분군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3개교(분교 1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가 있다. 건천(乾川)·천포(泉浦)·송선(松仙)·신평(薪坪)·용명(龍明)·대곡(大谷)·화천(花川)·모량(毛良)·방내(芳內)·금척(金尺)·조전(棗田) 등 11개 리가 있다.
3). 안강읍(安康邑)
시의 북서단에 위치한 읍. 면적 138.87㎢, 인구 2만 8866명(2015년 현재). 읍 소재지는 안강리이다. 본래 안강현의 소재지로서 형산강 서쪽이 되므로 강서면이라 하여 갑산·산전·강교 등 19개 이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강동면의 양동 등 일부 지역이 병합되었고, 1949년안강읍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천북면 청령리가 안강읍에 편입되었다.
북부에 어래산·자옥산이 있고, 동부의 동대산계와 서부의 단석산계 사이를 흐르는 형산강이 읍내를 가로질러 흐르기 때문에 주변에는 넓은 농경지가 분포하는데, 특히 안강평야는 수리시설이 잘 되어 있어 경상북도내의 유수한 곡창지대를 이룬다.
이 평야를 중심으로 벼농사지대가 이루어진다. 총경지면적은 28.97㎢로 20.9%, 임야면적은 92.52㎢로 66.7%, 기타는 12.4%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이 8.71㎢로 30.1%를, 차지하고 논이 20.26㎢로 69.9%를 차지하며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안강읍은 경주시 제일의 쌀 주산지이며, 토마토, 단감, 포도 등의 특산물과 젖소, 한우, 돼지 등의 가축사육을 겸하고 있는 복합영농이 발달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풍산 안강공장과 70여개의 중소기업이 산재해 있다. 또한 이 읍과 이웃한 산간지방 일대의 생활권이 안강쪽에 속하여 고추·마늘과 같은 밭작물이 모여들기 때문에 안강읍은 농간물 집산지로서의 상업기능도 대단히 높다.
교통은 동해남부선 철도가 경주와 포항을 연결하고 대구와 포항을 잇는 국도가 통과하고 있어 편리하다.
문화유적은 강교리에 관수정, 하곡리에 수재정·성산서당, 양월리에 구강서원·익재영정, 대동리에 이의정·매호정, 산대리에 덕산서원·삼우정·서림정, 옥산리에는 독락당과 독락당 뒷편 정혜사지에 13층석탑이 있다. 또한 옥산서원과 서원내의 중국주엽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6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2개교가 있다. 안강(安康)·양월(楊月)·육통(六通)·노당(老堂)·산대(山垈)·옥산(玉山)·하곡(霞谷)·강교(江橋)·두류(斗流)·근계(根溪)·갑산(甲山)·대동(大洞)·검단(檢丹)·사방(士方)·청령(靑令) 등 15개 이가 있다.
4). 외동읍(外東邑)
시의 남단에 위치한 읍. 면적 109.67㎢, 인구 1만 6647명(2015년 현재). 읍 소재지는 입실리이다. 본래 경주군 지역으로 경주읍내의 동쪽 바깥쪽이 되므로 외동면이라 하여 상신·하신·영지 등 37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동면의 일부가 병합되어 신계·활성·말방 등 17개 리를 관할하였다. 1975년이동면 신계리의 일부가 경주시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외동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동부에 삼태봉, 서부에 마석산이 있다. 총경지면적은 28.89㎢로 26.3%, 임야면적은 63.82㎢로 58.1%, 기타는 15.5%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지 중 밭은 6.79㎢로 23.5%를, 논은 22.10㎢로 76.5%를 차지한다.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토양은 제3기의 화강암인 사질양토로 토지가 비옥하다.
주요 농산물은 배·배추·마늘·고추 등이 생산되어 남쪽의 울산공업단지에 농산물을 공급해주는 구실을 한다. 가축은 주로 한우·돼지가 사육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의 채소단지와 문산리 비육우단지는 이곳의 중요한 소득원이 되고 있으며, 공업도시 울산과 인접하여 대규모 공단이 입지하고 있다.
도로는 동해남부선과 부산∼온성간의 국도가 읍의 중앙을 남북으로 지나 경주와 울산을 연결하고 있다. 문화유적으로 모화리의 관문성은 지금도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의 경계선이 되고 있다. 이 밖에 모화리에 원원사터, 괘릉리에 괘릉, 방어리에 감화정·영지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6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가 있다. 입실(入室)·구어(九於)·모화(毛火)·문산(汶山)·석계(石溪)·녹동(鹿洞)·냉천(冷川)·제내(堤內)·북토(北吐)·방어(方於)·개곡(開谷)·신계(薪溪)·괘릉(掛陵)·활성(活城)·말방(末方)·죽동(竹洞)·연안(淵安)등 17개 리가 있다.
5). 강동면(江東面)
시의 북동단에 위치한 면. 면적 81.48㎢, 인구 5,034명(2015년 현재). 면 소재지는 인동리이다. 본래 경주군 지역으로 형산강의 동쪽이 되므로 강동면이라 하여 모서·호명·인좌 등 26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모서·호명 등 11개 리로 개편되었다.
동쪽으로는 동대산맥이 남북으로 주행하여 면의 경계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형산강이 구조곡을 따라 북류하고 북쪽에서 남류하는 기계천(杞溪川)과 인동리에서 합류하여 유로를 동쪽으로 바꾸어 동해로 흘러든다. 서쪽은 안강평야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총경지면적은 19.56㎢로 24.0%, 임야면적은 46.58㎢로 57.2%, 기타는 18.8%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은 6.17㎢로 31.5%를, 논은 13.39㎢로 68.5%를 차지하며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벼농사를 주로 하며 사과·배추·오이·고추·시금치·참외·복숭아·포도·감·천궁 등이 생산된다. 대표적인 농산물인 딸기, 부추 등의은 해외 수출도 하고 있다.
도로는 형산강구조곡을 따라 동해남부선이 포항과 경주를 연결하며, 인동리에서는 부산∼온성간의 국도와 영주∼포항간의 국도가 교차된다. 또 울산∼신고산간의 국도가 북부를 횡단하며 교통이 편리하다.
문화유적은 양동리에 관가정·두곡영당·설천정·수운정·심수정, 다산리에 귀래정·단계사·삼괴정, 왕신리에 수연정, 유금리에 동강서원 등이 있으며, 국당리에 옥련사(玉連寺)도 있다. 양동리는 여주이씨(驪州李氏)·월성손씨(月城孫氏)의 동족마을인 양동민속마을이 유명하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개교(분교 2개교)가 있다. 인동(仁洞)·모서(毛西)·호명(虎鳴)·오금(吾琴)·왕신(旺信)·국당(菊堂)·유금(有琴)·양동(良洞)·안계(安溪)·다산(多山)·단구(丹邱) 등 11개 리가 있다.
6). 내남면(內南面)
시의 남단에 위치한 면. 면적 122.03㎢, 인구 5,136명(2015년 현재). 면 소재지는 이조리이다. 본래 경주군 지역으로 경주 남쪽이 되므로 내남면이라 하여 상명·하명·백운 등 31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노곡·월산 등 16개 리를 관할하였고, 1975년율동(栗洞)과 배리(拜里)가 다시 경주시로 편입되었다.
금오산맥과 주사산맥이 남북으로 주행하여 각각 동쪽과 서쪽의 경계를 이루고, 이들 산맥 사이를 형산강의 상류인 기린내가 북쪽으로 흐른다. 기린내와 그 지류를 따라 충적평야가 전개될 뿐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이다. 또한 형산강 상류지역의 청정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총경지면적은 19.63㎢로 16.1%, 임야면적은 90.73㎢로 74.4%, 기타는 9.5%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은 5.96㎢로 30.4%를, 논은 13.67㎢로 69.6%를 차지하며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을 비롯하여 보리·녹두 등과 이외에도 오이·호박·수박·토마토·천궁·사과·배·고추·무·잎담배 등이 재배되며, 가축은 한우·닭 등도 사육된다. 박달리의 도진마을에서는 한지, 고사리 마을에서는 인삼·약초가 재배되며, 비지리에서는 닥나무가 생산된다. 토마토, 딸기 등 시설 채소단지 및 농공단지 조성되어 있다. 특산물로는 남산송이, 양봉, 사과, 배, 토마토, 딸기 등이 있다.
교통은 도로가 면의 중앙부를 남북으로 경부고속도로와 부산∼강릉간의 국도가 통과하여 경주시와 연결된다. 또한, 동서로 서면∼양남간의 군도가 지나고 있어 인근의 동부지역과 연결된다.
문화유적은 용장리에 용장사지 삼층석탑·석불좌상·천룡사지, 이조리에 봉암정·용산서원, 화곡리에 어연정·화계서당 등이 등이 있다. 이조리는 월성최씨(月城崔氏)의 동족마을이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가 있다. 용장(茸長)·노곡(蘆谷)·명계(椧溪)·월산(月山)·이조(伊助)·부지(鳧池)·덕천(德泉)·안심(安心)·상신(上辛)·박달(朴達)·비지(飛只)·화곡(花谷)·망성(望星) 등 13개 리가 있다.
7). 산내면(山內面)
시의 남서단에 위치한 면. 면적 142.55㎢, 인구 3,323명(2015년 현재). 면 소재지는 의곡리이다. 본래 경주군 지역으로 운문산의 안쪽이 되므로 산내면이라 하여 어두·원동·장사 등 18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남면(內南面)·박달리(朴達里)의 일부와 울산군 두서면(斗西面) 소호동의 일부가 병합되어 9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단석산(斷石山, 827m)·사룡산(社龍山, 685m)·옹강산(翁江山, 832m)·문복산(文福山, 1,014m)·고헌산(高獻山, 1,033m) 등의 높은 산이 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동창천(東倉川)과 그 지류를 따라 좁은 곡저평야가 형성되어 있을 뿐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로 되어 있다.
총경지면적은 14.85㎢로 10.4%, 임야면적은 117.82㎢로 82.7%, 기타는 6.9%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은 6.93㎢로 46.7%를, 논은 7.92㎢로 53.3%를 차지하며 밭농사와 논농사의 비율이 비교적 비슷하다. 또한 경지율이 매우 낮은 전형적인 산지지역으로 약초의 재배·채취가 활발하다.
참깨·천궁·마늘·고추·배추가 많이 나며, 양봉·한우사육 등도 행해진다. 감산리의 장사마을에서는 고랭지채소가 재배되며, 내일리의 상목마을은 양잠으로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북동부의 일부지역은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포함된다.
지형상 교통은 극히 불편하나 시천∼경주간의 국도가 당고개를 넘어 건천읍과 통하고, 서쪽으로 청도읍과 연결되며 면의 남부에는 언양∼영천간의 지방도가 남북으로 나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분교 1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가 있다. 의곡(義谷)·내일(乃日)·대현(大賢)·일부(日富)·신원(新院)·외칠(外七)·내칠(內七)·우라(牛羅)·감산(甘山) 등 9개 리가 있다.
8). 서면(西面)
시의 서단에 위치한 면. 면적 52.13㎢, 인구 3,661명(2015년 현재). 면 소재지는 아화리이다. 본래 경주군 지역으로 경주읍내의 서쪽이 되므로 서면이라 하여 고천·고백·모량 등 32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모량·방내 등 17개 리로 개편되었다.
면의 중앙을 영천∼경주간구조곡이 동남으로 관통하고 남쪽과 북쪽은 산지를 이룬다. 남쪽에는 주사산이, 북쪽에는 인내산·관산(冠山, 394m) 등이 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낙동강 상류인 동창천이 면 중심을 관통하고 있으며, 산천어, 꺽지, 피라미, 빙어 등 민물고기가 많다.
총경지면적은 10.06㎢로 19.3%, 임야면적은 36.13㎢로 69.3%, 기타는 11.4%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은 2.80㎢로 27.8%를, 논은 7.26㎢로 72.2%를 차지하며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을 비롯하여 호박·마늘·파·양파·상추 등의 채소류와 사과·포도·복숭아 등의 과실류가 재배되고, 가축은 돼지의 사육도 활발하다. 도리에서는 고랭지작물·특수밭작물의 재배와 양계·양돈 등으로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특산물로는 곤달비, 더덕 등이 있다.
도로는 면 중앙의 구조곡을 따라 경부고속도로와 중앙선, 군산∼감포간의 국도가 나란히 달려 대구·경주 등과 연결된다. 문화유적은 도계리에 계은정, 도리에 벽송정, 천촌리에 주사암이 있다. 천촌리의 샘촌마을에는 겨울에 얼지 않고 여름에 물이 아주 차가운 웅굴담, 여름철 땀띠를 없애준다는 월청샘, 들판 한가운데서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이 솟아 농사에 이용되는 갈모샘 등 30여 개의 우물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 중학교 1개교가 있다. 아화(阿火)·도계(道溪)·천촌(泉村)·서오(棲梧)·심곡(深谷)·도(道)·사라(舍羅)·운대(雲坮) 등 8개 리가 있다.
9). 양남면(陽南面)
시의 남동단 동해안에 위치한 면. 면적 84.95㎢, 인구 6,582명(2008년 현재). 면 소재지는 하서리이다. 본래 경주부 지역으로 동해가에 있으므로 동해면이라 하였는데, 1895년장기군에 편입되면서 양남면이라 하여 석촌·효동·나산 등 16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다시 경주부에 귀속되었다.
동대산맥의 동쪽사면을 이루는 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태봉(三台峰, 629m)이 서쪽 경계의 최고봉이고, 북쪽 경계를 따라 조항산(鳥項山, 596m)·우산(牛山, 334m)이 있다. 나아천(羅兒川)·하서천(下西川)·관성천(觀星川)의 세 줄기 작은 하천이 남동류하여 동해로 흘러들며, 그 하류에 소규모의 충적평야가 전개된다.
총경지면적은 11.93㎢로 14.0%, 임야면적은 64.55㎢로 75.9%, 기타는 10.1%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이 3.13㎢로 26.2%를, 논이 8.80㎢로 73.8%를 차지하며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을 비롯하여 고구·감자·파·당근·감 등이 주로 생산된다. 신서리 범실마을에서는 포도, 다골마을에서는 감, 억수밑마을에서는 백도 등도 재배된다. 신대리의 건댓골에서는 한우사육으로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해안에서는 영세어업이 행해지며 미역채취, 바다뱀장어·복어·가자미 등이 많이 잡힌다. 특히, 수렴리의 구무바위 주민들은 미역·전복·멍게 등의 양식업으로 소득을 높이고 있다. 나아리에 원자력발전소와 수렴리에 코오롱그룹 사원휴양소가 설치되어 있다.
교통은 도로가 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울산∼신고산간의 국도가 감포와 울산을 연결하며, 서면∼양남간의 군도와 석굴∼관성간의 군도가 면의 중앙부를 지나면서 이 면과 경주를 연결하고 있으나 불편하다.
수렴리 관성마을에서는 3년마다 풍어제를 지내며, 하서리 올골마을에는 마을어귀의 큰 당수나무 아래에서 정월 대보름날 달을 보고 소원을 비는 풍속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개교(분교 1개교), 중학교 1개교가 있다. 하서(下西)·환서(環西)·수렴(水念)·신서(新西)·서동(瑞洞)·상계(上溪)·신대(新垈)·기구(基邱)·석촌(石村)·석읍(石邑)·효동(孝洞)·상라(上羅)·나산(羅山)·나아(羅兒)·읍천(邑川) 등 15개 리가 있다.
10). 양북면(陽北面)
시의 동부에 위치한 면. 면적 120.06㎢, 인구 4,472명(2015년 현재). 면 소재지는 어일리이다. 본래 경주부 지역으로 동해가에 있으므로 동해면(東海面)이었는데, 1895년장기군에 편입되어 내남면이라 하여 연동·오류·창사 등 33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외동면의 일부가 병합되어 양북면으로 개칭되면서 경주군에 편입되었다. 1937년 9개 리가 감포읍으로 분리되었다.
추령(楸嶺)·토함산을 잇는 동대산맥의 동쪽사면에 자리잡아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이며, 중앙을 남동류하는 대종천(大鐘川)의 유역에만 소규모의 평야가 분포한다.
총경지면적은 14.88㎢로 12.4%, 임야면적은 95.15㎢로 79.3%, 기타는 8.3%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이 4.93㎢로 33.1%를, 논이 9.95㎢로 66.9%를 차지하며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미곡위주의 논농사를 주로 하고 있으나 최근 양북토마토로 잘 알려진 토마토와 부추 등 채소재배와 한우사육을 중심으로 한 축산업이 발달하였고, 넓은 산지를 이용한 산나물채취 및 엄나무 등 소득작목으로 소득을 높여가고 있으며 해안지역은 회식당과 미역 등 해산물 판매와 양식어업을 주로 하고 있다.
봉길리 일원에는 한국수력원자력(주) 월성원자력 본부가 위치해 있으며, 봉길리 신월성 1,2호기 인접부지에는 64만평 규모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방폐장)이 건설될 예정이다.
교통은 도로가 면의 북부를 동서로 군산∼감포간의 국도가 통과하며, 남북으로 나 있는 양북∼오천간의 지방도는 해안에까지 이르러 울산∼신고산간의 국도와 만난다.
문화유적은 용당리에 감은사지·감은사지삼층석탑, 장항리에 장항사지오층석탑, 봉길리에 문무왕해중릉, 범곡리에 석굴암 등이 있으며, 장항리에는 장항사터와 토함산 기슭의 울창한 삼림속에 들어선 토함산 자연휴양림이 있다. 그리고 호암리에는 지림사도 있다. 봉길해수욕장 일대는 경주국립공원지구로 지정되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분교 1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가 있다. 어일(魚日)·와읍(臥邑)·용동(龍洞)·권이(權伊)·호암(虎巖)·안동(安洞)·장항(獐項)·범곡(凡谷)·입천(卄川)·송전(松田)·죽전(竹田)·두산(斗山)·용당(龍堂)·구길(九吉)·봉길(奉吉) 등 15개 리가 있다.
11). 천북면(川北面)
시의 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58.21㎢, 인구 5,248명(2015년 현재). 면 소재지는 동산리이다. 본래 경주군 지역으로 동천의 북쪽이 되므로 천북면이라 하여 지북·고성·용강 등 22개 이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부내면의 북정리와 내동면의 사리 일부, 강서면의 검단리 일부가 병합되어, 황성·용강 등 15개 리로 개편되었다. 1955년경주가 시로 승격되면서 3개 리가 경주시로 편입되었고 1975년 다시 2개 리가 경주시로 편입되었다.
동쪽으로는 태백산맥의 지맥이 동대산맥, 서쪽으로는 형산강이 경계를 이루며, 그 양안에 넓은 충적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에는 소항천(小項川)의 지류 및 왕신천(旺信川)의 상류가 넓은 산간분지를 이루고 있다.
총경지면적은 13.99㎢로 24.1%, 임야면적은 33.66㎢로 57.9%, 기타는 18.0%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 중 밭이 4.41㎢로 31.5%를, 논이 9.58㎢로 68.5%를 차지하며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경상북도 동남부에 자리한 경주는 인구 약 27만 명 정도(2011년 기준)인 소도시이지만, 기원전 57년부터 서기 935년까지 56명의 왕이 다스리며 천 년 동안 왕조를 이루어온 ‘신라’의 수도이자, 한국 문화의 원형이 되는 신라시대 역사와 문화의 자취를 고스란히 간직한 아주 특별한 도시다.
신라는 한반도의 동남쪽 끄트머리에 자리 잡은 ‘사로국(斯盧國, 서라벌)’이라는 작은 부족국가로 출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고대국가의 기틀을 잡고 있던 고구려와 백제를 통합하여 통일 왕국을 이루어냈으며, 안정된 국가 기반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매우 화려하고 찬란한 과학·문화·예술을 꽃피웠다. 대외적으로는 중국·일본은 물론 서아시아의 이슬람권과도 활발히 교류하였으며 세계를 향해 문호를 활짝 열어 이미 천 년 전에 국제도시의 명성을 만방에 떨쳤다.
전성기 때 신라의 수도 경주에는 무려 ‘17만 8936호’(약 90만 명)가 살았는데, 8세기 무렵인 당시 경주의 도시 규모와 번영의 정도는 비잔틴(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현 터키의 이스탄불), 이슬람제국의 수도 바그다드(현 이라크), 당나라의 수도 장안(현 중국의 시안)에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번영했다.
경주는 도시 전체가 문화재와 박물관일 만큼 숱한 명소들이 도시 전체에 퍼져 있다. 개국 이래 천 년 동안 도읍을 옮긴 적이 한 번도 없다 보니 천 년 왕국 신라의 역사가 고스란히 한 곳에 집중된 것이다. 도시화되어 도로가 넓어지고 건물들이 많이 들어서긴 했지만, 21세기 경주는 여전히 천 년 전 신라의 유적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지금도 경주 곳곳에서 수없이 많은 유적들이 발굴되고 있다.
부처의 그 자체 남산지구"
고위봉(494m)과 금오봉(468m) 두 봉우리가 중심이 된 남산은 남북(10km)으로 길게 누운 모습으로 경주의 남쪽에 솟아 있다. 그리 높은 산은 아니지만 골짜기가 깊고 능선이 변화무쌍하여 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드러낸다. 산 전체가 ‘야외 박물관’이라고 불릴 만큼 불상과 탑, 석등, 연화대좌 등 수많은 불교 유적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유적들은 하나하나가 그 자체로 두드러지기보다는 남산의 자연경관을 크게 거스르지 않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가며 집단적으로 어우러진다. 산 전체를 기단부로 삼은 용장사지 삼층석탑이 대표적인 예이고, 바윗면을 그대로 이용한 마애불이 특히 눈에 많이 띈다. 이 밖에도 남산 기슭에는 신라 건국신화에 나타나는 ‘나정(蘿井)’을 비롯하여 신라의 천 년 역사를 마감하는 망국의 한이 서린 ‘포석정(鮑石亭)’까지 신라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역사적 장소들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불교가 신라에 전해진 이후 7세기 전반 경부터 10세기에 이르기까지 집중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은 몇 군데의 석축만 남아 있는 용장사지는 매월당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쓰며 머물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용장사지 삼층석탑은 절을 감싸고 뻗은 동쪽 바위 산맥의 높은 봉우리에 서 있는데, 자연암석을 하층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상층기단과 탑신을 올렸다. 곧, 자연암석이 하층기단일 수도 있고, 그 아래 바위산 전체가 또한 하층기단일 수도 있는 셈이다. 산 전체를 기단으로 삼은 스케일과 상상력으로 보면 세계 그 어느 석탑이 이에 견줄 수 있을까.
용장사지 삼층석탑의 스케일에 준하는 불상이 있다. 칠불암 위에 곧바로 선 남쪽 바위에 새겨져 있는 신선암 마애보살상(높이 1.4m)이다. 불상은 마치 구름 위 의자에 앉아 한쪽 다리를 아래로 내려뜨린 채 유희하는 듯 편안한 자세(유희좌)이다. 풍만한 얼굴이지만 표정은 무심한 듯, 깊은 생각에 잠긴 듯하다. 가장 편안한 자세로 인간을 구제할 방법을 고심하고 있다고 할까. 옷자락 역시 구름에 날려 흩어지는 듯 서서히 사라진다. 경주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입지도 교묘하지만, 조각수법 하늘을 나는 듯 표현되어 있다.
천 년 왕조의 월성"
동서고금을 통해 천 년 동안 왕조를 이어온 나라는 매우 드물다. 더구나 경주가 한 왕조의 수도로서 천 년을 이어왔다면, 그 입지와 규모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였으리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이후에 왕경(王京, 왕이 거처하는 왕궁을 중심으로 그 나라 수도의 근간을 이루는 공간을 이름)을 지방과 구분하였으며, 도시 구조도 정비하고, 정비된 왕경을 둘러싼 산성도 축조하였다.
신라 왕경에 대한 연구는 지금도 계속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연구에 의하면 도시 전체가 네모 반듯한 바둑판 모양으로 정리되어 있었으며, 왕복 4차선에 해당하는 폭 15미터의 넓은 도로와 배수로가 나란히 건설되고 배수로 안쪽에 주택가가 들어섰을 만큼 철저한 계획도시였다. 도로는 인도와 마차가 다니는 차도로 나뉘었고, 주택가에서는 기와로 지붕을 덮고 숯을 피워 난방을 했을 정도로 쾌적했다. 숯을 피우면 매캐한 냄새가 나지 않고, 그을음이 없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절이 하늘의 뭇별처럼 많고, 탑들이 기러기처럼 늘어섰을 정도였고, ‘금입택(金入宅)’의 고급 주택도 35채가 있었다고 한다. 귀족이나 일반인의 생활환경과 수준이 이러할진대, 왕이 살았던 궁궐은 어떠했을까?
신라 초기의 왕궁이 어디인가에 대해서는 정확치 않다. 다만, [삼국유사]의 기록 등에 근거하여 나정이나 오릉이 있는 서남산(西南山) 일대일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파사왕 22년(101)에 “성을 쌓아 월성(月城)이라 이름하고 7월에 왕이 옮겨 살았다”고 하였다. 아마도 이후 이 월성이 왕궁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던 것 같다.
월성은 성의 모양이 반달처럼 생겼다하여 반월성이라고도 한다. 월성은 신라 역대 왕들의 궁성이었으며, 문무왕 때에는 임해전(임해전은 신라 왕궁의 별궁으로, 왕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되었다. 여기에 딸린 인공 연못이 안압지이다)·첨성대일대가 편입되어 성의 규모가 확장되었다. 성의 동·서·북쪽은 흙과 돌로 쌓았으며, 남쪽은 절벽인 자연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였다. 성벽 밑으로는 물이 흐르도록 인공적으로 마련한 방어시설인 해자(垓字)가 있었으며, 동쪽으로는 임해전으로 통했던 문터가 남아 있다.
근래에는 계림(鷄林)과 첨성대 사이의 건물터와 성동동 전랑지(殿廊址)의 대규모 건물터 등이 발굴되어 그 동안 석연치 않았던 천 년 왕조 신라의 궁궐 규모와 위치가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천 년을 한 터전에서 살아왔으니, 그 흔적의 두께가 만만치 않다. 왕경에 대한 본래의 모습을 찾으려는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신비감, 대능원"
경주 시내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신라시대의 고분들만 보더라도 역사 문화 도시 경주의 정체성은 범상치가 않다. 처음부터 계획된 수도가 아니라 살아가면서 넓어졌기 때문에 산 자와 죽은 자의 공간이 뒤섞이게 된 것이다. 현재 경주 도심에는 높이가 23미터(황남대총)에 이르는 것부터 지상에서는 식별이 어려운 것까지 신라 고분 150여 기가 남아 있다.
특히 시내의 평지에 자리한 황남리고분군(대능원), 노동리고분군, 노서리고 분군은 신라가 강력한 왕권을 확립해나가는 5~6세기 무렵에 축조된 대표적인 고분군으로, 규모와 출토 유물의 화려함에서 신라 고분을 대표한다. 이들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관을 비롯한 각종 금제 장신구, 유리잔, 토기, 천마도 등은 당시의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유물들로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보관되고 있다.
대능원이라 불리는 황남리고분군은 신라시대의 왕·왕비·귀족들의 능이 모여 있는 곳으로, “미추왕을 대릉에 장사지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따온 이름이다. 천마총, 황남대총, 전 미추왕릉을 비롯한 능 20여 기가 있지만, 무덤의 주인이 밝혀진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천마총은 발굴 당시 자작나무 껍질에 그린 천마의 그림이 나와 붙은 이름이다. 발굴 조사된 고분 가운데 ‘대능원’ 안에 있는 ‘천마총’이 유일하게 그 내부가 공개되어 있다. 무덤 속으로 들어가지만 지하로 내려가지는 않는다. 땅을 파고 시신을 묻은 것이 아니라 그냥 평지 위에 시신을 놓고 그 위에 봉분을 얹은 형태이기 때문이다. 유물 가운데 금관도 출토되었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금관 중 가장 크고 화려하다.
황남대총은 신라 고분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동서 길이 80m, 남북 길이 120m, 봉분 높이 23m). 두 개의 봉분이 잇닿아 있어 마치 표주박을 엎어 놓은 듯 한 모양이다. 발굴 결과 남쪽이 남자, 북쪽의 무덤이 여자의 것으로 밝혀졌다. 남자의 묘에서 순장의 흔적이 발견된 것으로, 순장을 금한 지증왕 이전에 조성된 능임을 알 수 있다.
신라의 명성"
신라의 유적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황룡사이다. 고려시대 몽골의 침입(1238년)으로 불에 타, 지금은 건물과 불상의 주춧돌들만이 그 흔적을 남기고 있는 폐사지이지만, 지금의 경주에서도 황룡사가 차지하는 면적은 대단하다. 현재까지 조사된 황룡사지는 380,087제곱미터, 4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진흥왕 14년(553)부터 짓기 시작하여 선덕여왕을 거쳐 경덕왕 13년(754)에 대종을 주조한 데 이르기까지 창건과 관련된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황룡사의 창건이 삼국 통일의 국가로써 신라의 저력과 위상이 집약된 국가 사업이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전하는 기록들에 의하면 경내에 성덕대왕신종보다 4배나 큰 대종이 있었으며, 현대식 건물로 따져 20층은 족히 넘는 높이의 80여 미터짜리 구층목탑, 인도에서는 만들지 못하고 비로소 신라 황룡사에서만 만들 수 있었다는 약 5미터 높이의 장륙존상(인도의 아육왕이 철 5만 5천 근과 황금 3만 푼을 모아서 불상을 만들고자 하였으나, 계속 실패하기에 그것을 배에 실어 바다에 띄워 보냈는데, 이것이 신라 앞바다에 당도하여 비로소 황룡사 장륙존상을 조성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등이 있었다고 한다. 상상을 초월하는 황룡사의 위용은 폐사지인 지금도 그 장엄함과 웅혼함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이웃한 아홉 나라에게 신라의 힘을 과시하기 위한 성격으로 세운 구층목탑은 경주 도성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신라 최고의 상징물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황룡사와 담장을 나란히 하고 있는 분황사역시 신라의 대표적인 승려인 원효와 자장이 머물렀던 신라의 대표적인 명찰이다.
수도 외곽을 방어"
경주는 사방이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에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외적의 침입에 대비한 산성이 많은데, 산성 가운데 경주역사유적지구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것은 경주의 동쪽에 자리 잡은 명활산(266m)에 쌓은 명활산성이다. 경주 서쪽의 선도산성, 남쪽의 남산성과 더불어 당시 수도 경주를 방어하는 데 큰 구실을 하였으며, 475년 자비왕이 거주하였다는 사실로 미루어 규모도 상당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다듬지 않은 돌을 사용해 성벽을 쌓았는데, 이는 신라 초기의 축조방식이다.
경주는 한 나라의 수도로서 천 년을 유지해온 흔치 않은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대와 중세를 거쳐온 역사 도시로서 오늘날의 현대 도시로 이어진 경우는 세계적으로도 아주 드물다. 2천 년을 이어온 경주의 이와 같은 역사성, 문화성은 도저히 복제될 수 없는 고유한 가치를 지니며, 한국 문화의 원형이 탄생된 공간이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가 경주에 감탄하며 열광하는 이유 또한 경주를 고대와 현대가 행복한 조화를 이루며 발전하는 명품 도시로 가꾸어 나가야 하는 근거가 된다.
유네스코는 신라 천 년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경주에 ‘역사유적지구’라는 이름을 붙여 인류가 함께 보존해야 할 세계유산으로 등재시켰다. 세계유산에 등재된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유적의 성격에 따라 크게 불교 미술의 보고인 남산지구, 천 년 왕조의 궁궐터인 월성지구, 고분군 분포 지역인 대능원지구, 신라 불교의 정수인 황룡사지구, 왕경 방어 시설의 핵심인 산성지구로 나뉘다. 도시 전체에 걸쳐 많은 수의 유적이 산재하니 하나하나 등록하지 않고 지역으로 묶은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지역별로 등재하다 보니, 지구로 묶이지 못해 빠지거나 현장을 떠나 있는 이유로 세계유산 목록에 오르지 못한 유물도 상당수다. 감은사지 삼층석탑과 국립경주박물관의 여러 유물들이 그러한 예이다. 경주역사유적지구라는 이름으로 등재된 문화재의 수는 52개이다.
경주시慶州市, Gyeongju-si
경주시慶州市, Gyeongju-si
경주는 아직도 천년 전에 살았던 신라인의 숨결이 도시 곳곳에서 느껴지는 역사의 도시이고, 문화유산들도 많이 남아있어. 경주라는 큰 도시 전체가 하나의 문화재라 길을 걷다 땅을 파면 수천 년 전의 토기가 발견될 것 같은 예감까지 들게 해. 경주는 도시 그 자체에서 신라의 고고한 흔적을 느낄 수 있다.
1) 첨성대
첨성대는 우리나라에서, 아니 동아시아에서 현존하는 천문대 중 가장 오래 됐어. 첨성대의 아름다운 곡선미를 봐. 화려하지는 않지만 곡선의 미를 뽐내고 있는 첨성대는 한국적인 미를 보여주고 있어. 특히 첨성대의 야경은 정말 아름다워.
2) 국립 경주 박물관
국립 경주 박물관은 7만 8,680점의 소장 유물과 2,383점의 전시 유물, 국보 13점, 보물 29점의 지정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어. 하나하나 소중한 우리 선조들의 아름다운 유물들을 간직하고 있어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관람할 수 있어.
이 박물관에 있는 성덕 대왕 신종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종 가운데 가장 크며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종으로, 에밀레종이라고도 불러. 종의 소리를 맑게 하기 위해 어떤 사람이 종을 만들 때 아기를 넣었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어. 그래서 이 종의 성분을 정밀 분석해봤지만, 사람 뼈에 들어있는 인(P) 성분은 나오지 않았어. 따라서 아기를 넣었다는 전설은 그냥 전설일 뿐이야.
3) 안압지
왕이 잔치를 열거나 손님을 모셨던 장소야. 그래서 호수와 궁이 매우 조화롭고 아름답게 꾸며져 있어. 이 당시에는 안압지 안에 진귀한 동물을 모아놓고 풍류를 즐겼다고 하는데, 정말 상상만 해도 얼마나 근사했을지 짐작이 가지?
4) 괘릉
괘릉은 신라 원성왕의 능으로 신라 시대의 능 중에서 가장 뛰어난 완성도를 보여주는 능이야. 이 능에는 고개 돌린 석수가 있어. 보통 능을 지키는 석수는 동서남북 사방을 지키기 위하여 각 방향으로 서있기 마련인데, 이 곳의 석수는 단 두 곳의 방향에 서있으면서 사방을 지키고 있어. 바로 고개를 돌려서 동서남북 사방을 전부 바라보고 있는 거야.
5) 기림사
기림사는 경주의 대표적인 사찰이야. 불국사에 비교하면 크지 않은 규모지만 기림사에는 특별한 것이 있어. 바로 다섯 가지 약수야. 장군수, 오탁수, 초안수, 화정수, 감로수 이 5가지 약수는 각각 그 특징이 있어.
오탁수는 물의 맛이 으뜸이고, 초안수는 눈이 맑아지며, 화정수는 마음이 편안해지고, 감로수는 하늘에서 내리는 단 이슬과도 같다고 해. 약수는 지금도 마실 수 있으니, 이 곳에 가면 꼭 약수를 마셔봐~
6) 문무대왕릉
문무왕은 무열왕(김춘추)의 아들이자 신라의 30대 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성했어. 문무대왕릉은 바다의 가운데 있는데 바로 대왕암이야. 이는 문무왕이 죽어서까지 자신의 나라를 지키기 위해 자신을 화장하여 동해에 뿌려달라고 했기 때문이야. 이 곳에서 일출을 보며 죽어서도 신라를 지키고자 했던 문무왕을 생각해봐!
7) 감은사지 3층 석탑
감은사지 3층 석탑은 감은사 앞뜰에 서있는 거대한 탑이야. 감은사는 지금 남아있지 않고, 쌍둥이 탑 두 개만 남아있어. 경주에 있는 3층 석탑 중 가장 거대한 감은사지 3층 석탑은 왜구로부터 나라를 보호하기 위해 세웠다는 감은사에 맞게 위엄이 가득해 보여.
8) 석굴암
현재까지도 완벽한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리막으로 막아놓고 있어. 유리 저편으로 보이는 석굴암의 아름다운 조각은 정말 감탄을 자아내게 해. 그 섬세한 조각을 그 당시에 어떻게 새겨 넣을 수 있었는지 천년 전 신라인의 도공을 생각하면 신비롭기까지 해.
9) 불국사
우리나라 사람 중에 불국사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거야. 사적 및 명승 제1호,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유명하고 또 그만큼 가치가 있는 곳이야.
38만 8,879m2 공간에 다보탑, 석가탑, 금동 비로자나불좌상, 금동 아미타여래 좌상, 사리탑, 연화교, 칠보교, 청운교, 백운교 등의 수많은 국보와 보물이 숨쉬고 있어. 돌 하나, 나무 하나에 신라인의 정성과 혼이 담겨있으니, 여유를 가지고 신라인의 숨결을 느낄수가있다.
북동쪽으로 포항시, 서쪽으로 영천시·청도군, 남쪽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동쪽으로 동해에 면한다.
대부분 경상분지지체(慶尙盆地地體)에 속하고, 양북면 어일리·범곡리와 천북면 등의 일부 지역은 포항분지지체에 속한다. 경상분지 지역은 경상계의 퇴적암층을 뚫고 관입한 불국사관입암층(佛國寺貫入岩層)으로, 화강암과 반암이 주로 분포한다. 포항분지는 신생대 제3기에 형성된 지층으로 화성암·수성암·역암·사암·응회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으로 나누며, 내륙지역은 연평균기온이 14℃, 1월 평균기온이 -0.3℃, 8월 평균기온이 26.6℃이고, 연평균강수량은 998.2mm이다. 춥고 더운 차이가 심하고 강수량이 적은 남부내륙형 기후를 나타낸다. 해안지역은 동해의 영향을 받아 연평균기온 13.3℃, 1월 평균기온 0.6℃, 8월 평균기온 25℃, 강수량 1,028.6mm로, 따뜻하고 습한 남부해안성 기후를 나타낸다. 여름에는 태풍이 자주 지나간다.
지형은 크게 셋으로 구분된다. 동부 해안 지대는 대체로 경사가 급하고 산지가 이어진 동대산계(東大山系)를 이루고, 서부는 단석산(斷石山:829m)을 중심으로 단석산계를 형성해 낙동강 유역과 형산강 유역의 분수계를 이룬다. 양 산계의 중간을 형산강과 그 지류가 흐르면서 안강·건천·내남 등 3대 평야를 형성하여 비옥한 농업지대를 이룬다.
행정구역
감포읍, 건천읍, 구정동, 구황동, 내남면, 노동동, 노서동, 도지동, 동방동, 마동, 배동, 배반동, 북군동, 서악동, 석장동, 성건동, 성동동, 손곡동, 시래동, 안강읍, 암곡동, 양남면, 양북면, 외동읍, 인왕동, 진현동, 천군동, 천북면, 현곡면, 황남동, 황오동, 황용동, 효현동
자연
경주분지, 구미산, 금오산, 남산, 단석산, 명활산, 오봉산, 옹강산, 인내산, 치술령, 토함산, 형산강평야
관광
감포관광단지, 경주 민속공예촌, 경주국립공원, 경주월드, 보문관광단지, 봉길해수욕장, 오류해수욕장, 토함산자연휴양림, 황성공원
문화유적
감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감산사지 삼층석탑, 감은사지 삼층석탑, 경주 간묘, 경주 감은사지, 경주 경덕사, 경주 경덕왕릉, 경주 경애왕릉, 경주 계림, 경주 계림로 보검, 경주 교동 고분군, 경주 교동 석등, 경주 교동법주, 경주 구 서경사, 경주 구정동 고분군, 경주 구정동 방형분,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 경주 귀래정, 경주 근계리 입불상, 경주 금척리 고분군, 경주 기림사 건칠보살반가상,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경주 기림사 소장유물,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경주 김유신묘,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경주 나정, 경주 남고루, 경주 남사리 북삼층석탑, 경주 남산 미륵곡석불좌상, 경주 남산 불곡석불좌상,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불좌상, 경주 남산 일원, 경주 남산 입곡석불두,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경주 남산 탑곡마애조상군, 경주 남산동 석조감실, 경주 남산리 삼층석탑, 경주 남산신성, 경주 낭산 일원, 경주 내물왕릉, 경주 노동리 고분군, 경주 노서동 석불입상, 경주 노서리 고분군, 경주 능지탑지, 경주 단고사 강당, 경주 독락당, 경주 동궁과 월지, 경주 동방동 와요지, 경주 동부 사적지대, 경주 동부동 은행나무, 경주 동천동 마애삼존불좌상, 경주 동천동 사방불탑신석, 경주 두대리 마애석불입상, 경주 마동사지 삼층석탑, 경주 망덕사지, 경주 명활성, 경주 무열왕릉, 경주 문무대왕릉, 경주 미추왕릉, 경주 배동 삼릉, 경주 배리 석불입상, 경주 배리 윤을곡마애불좌상,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경주 법흥왕릉, 경주 벽도산 석불입상, 경주 보문동 사지, 경주 보문동 연화문 당간지주, 경주 보문리 당간지주, 경주 보문리 석조, 경주 부산성, 경주 불국사 경내,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경주 사마소, 경주 사천왕사지, 경주 삼랑사지 당간지주, 경주 삼릉계석불좌상, 경주 서부동 석불좌상, 경주 서악동 고분군, 경주 서악리 귀부, 경주 서악리 마애석불상, 경주 서악리 삼층석탑, 경주 서출지, 경주 석빙고, 경주 석장동 암각화, 경주 선덕여왕릉, 경주 성덕왕릉, 경주 성동동 전랑지, 경주 손곡동과 물천리 유적, 경주 손순유허, 경주 신무왕릉, 경주 신문왕릉, 경주 안계리 석조석가여래좌상, 경주 약수계곡 마애입불상, 경주 양동 관가정, 경주 양동 무첨당, 경주 양동 향단, 경주 양동마을, 경주 양동마을 강학당, 경주 양동마을 근암 고택, 경주 양동마을 낙선당 고택, 경주 양동마을 두곡 고택, 경주 양동마을 사호당 고택, 경주 양동마을 상춘헌 고택, 경주 양동마을 송첨 종택, 경주 양동마을 수운정, 경주 양동마을 수졸당 고택, 경주 양동마을 심수정, 경주 양동마을 안락정, 경주 양동마을 이향정 고택, 경주 양산재, 경주 열암곡 석불좌상, 경주 영지, 경주 오릉, 경주 오야리 삼층석탑, 경주 옥산서원, 경주 용강동 고분, 경주 용강동 원지 유적, 경주 우안 양수장, 경주 원성왕릉, 경주 원원사지, 경주 월성, 경주 월암 종택, 경주 유연정, 경주 이견대, 경주 인왕리 고분군, 경주 일성왕릉, 경주 장항리 사지, 경주 재매정, 경주 전 민애왕릉, 경주 정강왕릉, 경주 죽동리 출토 청동기일괄, 경주 지마왕릉, 경주 진덕여왕릉, 경주 진평왕릉, 경주 진흥왕릉, 경주 천관사지, 경주 천군동 사지, 경주 천군리 삼층석탑, 경주 첨성대, 경주 최부자댁, 경주 춘양교지와 월정교지, 경주 침식곡 석불좌상, 경주 탈해왕릉, 경주 포석정지, 경주 표암, 경주 헌강왕릉, 경주 헌덕왕릉, 경주 헌안왕릉, 경주 화산리 회유토기 요지, 경주 활성리 석불입상,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 경주 황남리 고분군, 경주 황남리 효자손시양 정려비, 경주 황오동 삼층석탑, 경주 황오리 고분군, 경주 효공왕릉, 경주 효소왕릉, 경주 효현리 삼층석탑, 경주 흥덕왕릉, 경주 흥륜사지, 경주 희강왕릉, 경주검총, 경주안심리암각화, 경주읍성, 경주읍지, 경주향교, 고선사지 삼층석탑, 관문성, 광개토대왕공적기념호우, 구강서원, 굴불사지 석불상, 금곡사지 원광법사 승탑, 금관총 금관, 금동 당간 용두, 기림사, 기림사 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기림사 삼층석탑, 기림사 약사전, 기림사 응진전, 기림사 진남루, 기마인물형토기, 김양묘, 김인문묘, 남간사지 당간지주, 남간사지 석정, 남산신성비, 낭산 마애삼존불, 내물왕릉 계림 월성지대,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동강서원, 동경관, 망덕사지 당간지주, 명활산성작성비, 목조문무인상, 무장사 아미타불조상사적비 이수 및 귀부, 무장사지 삼층석탑, 백률사, 백운대 마애불입상, 백율사 대웅전, 백지묵서묘법연화경, 보리사 마애석불, 분황사 석정, 분황사 석탑, 분황사 약사여래입상,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불국사, 불국사 다보탑, 불국사 사리탑, 불국사 삼층석탑, 불국사 삼층석탑 내발견유물, 불국사 석조, 불국사 연화교칠보교, 불국사 청운교백운교, 삼괴정, 삼국사기(권50),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삼릉계곡 선각여래좌상,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삼안총, 상서장, 서봉총, 서수형토기(미추왕릉), 서악서원, 석굴암, 석굴암 삼층석탑, 석탈해왕탄강유허, 성덕대왕 신종, 성덕왕릉귀부, 성산서당, 손소선생분재기, 손종로정충비각, 수봉정, 수재정, 숭덕전, 숭복사지 삼층석탑, 숭신전, 숭혜전, 식리총, 신라왕릉, 신라진지문성왕릉, 안압지, 안압지 출토 금동판불상일괄, 양동 대성헌, 양동의 향나무, 영지석불좌상,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운암공부조묘, 웅수사지 석불입상, 월성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월성 금장리 고분군, 월성 남사리사지 삼층석탑, 월성 용명리사지 삼층석탑, 월성 입실리 유적, 월성 장항리사지 서오층석탑, 월성 주사댁, 유리제 병 및 배, 육의당, 의성 관덕동 석사자, 이씨삼강묘비, 이언적수필고본일괄, 익재영정, 익재집책판, 인용사지, 임신서기석, 적개공신논상록권, 전홍유후설총묘, 정공청유품, 정덕계유사마방목,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종덕재 정당, 종오정 일원, 천룡사지 삼층석탑, 천마도 장니, 천마총, 천마총 금과대·금요패, 천마총 금관, 천마총 금모, 천마총 금제 관식, 천마총 금제 관식, 천마총 목걸이, 천마총 유리잔, 천마총 자루솥, 천마총 환두대도, 청동 옻칠 발걸이, 최진립전적및유품, 충의당, 취지금니묘법연화경, 태종무열왕릉비, 토우장식장경호, 통감속편, 해동명적, 호우총, 황남대총,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황남대총 북분 금과대 ·금요패, 황남대총 북분 금관수하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룡사 구층목탑
문화시설
국립경주박물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신라역사과학관, 안압지전시관, 우양미술관
관공서
경주시청, 대구지방검찰청 경주지청
학교
감포종합고등학교, 감포중학교, 감포초등학교, 강동초등학교, 건천초등학교, 경주고등학교, 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대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경주마케팅고등학교, 경주여자고등학교,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주여자중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경주중학교, 경주초등학교, 계림고등학교, 계림중학교, 계림초등학교, 괘릉초등학교, 근화여자고등학교, 근화여자중학교, 나산초등학교, 나원초등학교, 내남초등학교, 대본초등학교, 동국대학교, 동방초등학교, 동천초등학교, 모량초등학교, 모아초등학교, 모화초등학교, 무산중학교, 문화고등학교, 문화중학교, 불국사초등학교, 불국중학교, 사방초등학교, 산내중학교, 산대초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서라벌대학교, 서라벌여자중학교, 서라벌초등학교, 석계초등학교, 선덕여자고등학교, 선덕여자중학교, 신라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 신라중학교, 신라초등학교, 아화중학교, 아화초등학교, 안강북부초등학교, 안강여자고등학교, 안강여자중학교, 안강전자고등학교, 안강제일초등학교, 안강중학교, 안강초등학교, 양남중학교, 양남초등학교, 양동초등학교, 양북중학교, 양북초등학교, 연안초등학교, 영지초등학교, 오릉초등학교, 옥산초등학교, 외동중학교, 용강초등학교, 용황초등학교, 월성중학교, 월성초등학교, 위덕대학교, 유림초등학교, 의곡초등학교, 입실초등학교, 전촌초등학교, 천북초등학교, 천포초등학교, 태화고등학교, 현곡초등학교, 화랑고등학교, 화랑초등학교, 황남초등학교, 황성초등학교, 흥무초등학교
교통
4번국도, 중앙선
행사및축제
신라문화제, 신라문화제, 한국 전통주와 떡 축제, 한국 전통주와 떡 축제
종교
감로암, 경주 구 서경사,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경주 불국사 경내, 고선사, 골굴사, 금강사, 금강암, 기림사, 기림사 약사전, 백율사 대웅전, 보리사, 분황사, 불국사, 삼불사, 석가사지, 석굴암, 신선사, 정혜사, 황복사
연혁"
BC 57년 박혁거세(朴赫居世)가 이곳을 중심으로 서라벌(徐羅伐)을 세웠다. 이 나라가 307년(기림왕 10)부터 신라로 개칭·발전하였는데, 이후 992년간 신라의 왕경(王京)이 자리하였으며 지방의 소경(小京)과 대비하여 대경(大京)이라고 불렀다. 6세기에 도시로서 도로망과 주거형태를 체계적으로 갖추기 시작하였고 계획적인 도로망이 격자로 만들어졌으며 8세기에 대도시로서 면모를 갖추었다. 도시의 규모는 남북과 동서로 각 약 6km내외의 규모로 짐작된다.
고려가 신라를 합병한 935년(태조 18) 처음으로 경주라 불렀으며, 940년(태조 23) 영남지방의 행정 관청인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가 설치되었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바꾸고, 유수사(留守使)를 두었으며 1012년(현종 3)에 다시 경주가 되었다. 한동안 경주부에 설치된 경상좌도(慶尙左道)의 감영(監營)이 1601년(선조 34)에 대구로 이동된 후 경주의 지위는 약화되었다.
1895년(고종 32) 23부제(府制) 실시로 경주군으로 개편되고, 1931년 4월 경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37년 7월 양북면(陽北面)에서 감포리(甘浦里) 외 8개리가 감포읍으로 분리 승격되었다. 1949년 5월에는 강서면(江西面)이 안강읍으로 승격되었다. 1955년 9월 경주읍이 경주시로 승격되어 군과 분리되었고, 군의 명칭이 월성(月城)으로 바뀌었다.
1973년 7월 서면(西面)의 건천리(乾川里) 외 10개리가 건천읍으로 승격 분리되었고, 1980년 12월 외동면(外東面)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9년 1월 월성군의 명칭이 경주군으로 환원되었다. 1995년 1월 경주시와 경주군이 합쳐 통합시가 되었다.
2016년 현재 경주시는 감포읍·안강읍·건천읍·외동읍 및 양북면·양남면·내남면·산내면·서면·현곡면·강동면·천북면과 중부동, 황오동, 성건동, 황성동, 용강동, 동천동, 황남동, 보덕동, 월성동, 불국동, 선도동 등 4읍 8면 11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회와문화"
경주시의 교육기관으로는 대학교 3개교, 전문대학 1개교, 고등학교 20개교, 중학교 20개교, 초등학교 43개교(분교 4개) 등이 있다. 문화시설로는 박물관(국립경주박물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공공도서관·문화원·종합문예회관·미술관 등이 있다. 매년 10월에 열리는 신라문화제를 비롯해 4월과 5월에 청마백일장과 목월백일장이 열린다.
민속놀이로는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는 동제를 비롯해 가배놀이와 사자놀이가 전해온다. 이러한 민속놀이는 10월에 열리는 신라문화제에서 재현된다.
경주시는 국내에는 익산시, 해외에는 이탈리아 폼페이시, 프랑스 베르사유시, 미국 잉글우드시, 일본 나라시·오바마시, 중국 시안시 등과 자매결연을 맺어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정의
경상북도 남동단에 위치한 시.
개관
동쪽은 동해, 서쪽은 청도군과 영천시, 남쪽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북쪽은 포항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58′∼ 129°31′, 북위 35°39′∼ 36°04′에 위치한다. 면적은 1,324.41㎢이고, 인구는 25만 9773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4개 읍, 8개 면, 11개 행정동(44개 법정동), 305개 행정리(142개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에 있다.
자연환경
태백산맥의 남단으로 경상계(慶尙系)의 화강암이 관입한 지질을 이룬다. 지형은 주사산맥(朱砂山脈)·금오산맥(金鰲山脈)·동대산맥(東大山脈) 등 세 줄기 태백산맥의 지맥이 서부·중부·동부를 각각 남북으로 주행하여 산지지형을 이루고 있다.
주요 산으로는 도덕산(道德山, 703m)·구미산(龜尾山, 594m)·금오산(金鰲山, 466m)·황룡산(黃龍山, 664m)·토함산(吐含山, 745m)과 주사산(朱砂山, 622m)·소두방산(315m)·천룡산(天龍山, 495m) 등이 있다.
고개로는 추령(楸嶺, 309m)과 치술령(765m) 등이 있다. 형산강구조곡(兄山江構造谷), 영천∼경주간 구조곡이 교차하는 지점에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침식분지가 형성되어 그 곳에 경주 시가지가 발달하였다.
명활산(明活山, 245m)·금오산(金鰲山)·옥녀봉(玉女峰, 215m)·선도산(仙挑山, 381m)·소금강산(小金剛山, 143m) 등 구릉성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는 자연요새를 이루고 있다. 또한, 경주∼양산간 구조곡도 경주 도심지에서 교차하여 거의 시 전역이 형산강의 상류·중류부에 해당된다.
산내면에서 발원하는 동창천이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에서 청도천과 합류, 밀양강으로 흘러들며, 외동읍 괘릉리에서 발원하는 동천이 울산에서 태화강으로 흘러든다.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발원하는 미역내가 북류하면서 크고 작은 하천과 합해져 기린내[麟川]가 되고, 반월성을 싸고 도는 남천(南川)은, 시가지 중심부를 관통하는 북천(北川)과 현곡천(見谷川)·대천(大川) 등과 합류해 형산강을 이루어 북류하다 안강평야에서 칠평천(七坪川)·기계천(杞溪川)과 합류하여 동해로 흐른다.
기후는 기온교차가 비교적 심한 내륙성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연평균기온 14.0℃, 1월 평균기온 -0.9℃, 8월 평균기온 24.6℃이며, 연강수량은 1,037.0㎜이다.
역사
이 지역에서 사람이 살게 된 것은 청동기시대라고 생각되는데, 이는 이 시기 이전에 해당하는 유물·유적이 발견된 바 없고, 고인돌·청동검·간돌칼 등을 부장한 무덤 등 청동기 유물·유적이 집중적으로 출토되고 있기 때문이다.
곧 구정동, 평동 입실리 유적 등은 우리나라 후기 청동기문화를 밝혀주는 귀중한 유적이며, 조양동 유적은 초기 철기시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이들 유적은 이 지역이 일찍부터 문화의 중심지였음을 반영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발달된 문화를 토대로 하여 신라가 성립될 수 있었다.
신라는 원래 사로 6촌에서 비롯되었는데, 사로 6촌의 위치를 경주평야 일대에만 한정하여 보는 견해도 있으나, 경주지역을 포괄하는 것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사로 6촌은 기원 전후 무렵 사로국(斯盧國)으로 발전하였으며, 점차 진한 12국의 맹주국(盟州國)이 되었고, 6촌도 6부로 개편되었다.
그 뒤 사로국이 주변지역에 대한 정복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면서 그 영역이 확대되자 6부가 두어져 있던 이들 지역은 왕경으로 되었다. 곧 궁실과 각종 관청이 들어서고 지배층이 거주하는 도시로 발전하였으며, 6부의 아래에 방리제(坊里制)가 시행되었다.
통일 이후의 전성시대에는 17만 8,936호의 인구가 거주하는 대도시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각종 유적에서 그 대략을 짐작할 수 있으나, 신라의 쇠퇴로 왕도로서의 영화는 사라지게 되었다.
935년(태조 18)신라가 고려에 항복하자 이 지역은 경순왕의 식읍이 되었고, 940년 군현 개편에 따라 6부의 명칭도 바뀌게 되었다. 이 때 이곳에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가 두어져 6부지역을 위시한 인근의 여러 지역이 합속되었다.
995년(성종 14)동경유수관(東京留守官)으로 개편되었으나, 1012년(현종 3)동경유수관이 폐지되고 경주방어사로 강등되었다가 1014년 다시 안동대도호부로, 1018년경주대도호부로 개편되었으며, 1030년 다시 동경유수관이 되었다.
이러한 개편 과정에서도 여러 군현을 영속한 큰 읍으로서의 면모를 유지했으며, 12세기 후반 무인정권하에서는 신라부흥운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1202년(신종 5)동경야별초의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는데, 이러한 일련의 사태로 1204년에는 지경주사(知慶州事)로 읍격이 강등되었으나, 1219년(고종 6) 유수관으로 복귀되었다. 1238년에는 몽고군이 이 지역을 휩쓸어 황룡사구층목탑이 불타는 등 수많은 문화재의 손실을 입었고, 1308년(충렬왕 34)계림부로 고쳐졌다.
조선 개국 후 8도체제가 확정되면서 이곳에 경상도의 감영이 두어졌으나 1408년(태종 8) 무렵 감영이 상주목으로 옮겨졌고, 1415년에 경주부로 개칭되었다. 이 후에도 안강(安康)·기계(杞溪) 등 4현을 속현으로 거느린 영남의 큰 읍으로서의 면모를 유지하였다.
1519년(중종 14) 일시 경상도가 좌·우도로 나뉘어지자 좌도의 치소가 되어 좌도감사가 경주부윤을 겸하게 되었다. 이 지역은 건국이래 학문이 번성한 지역으로서, 1561년(명종 16)서악서원(西嶽書院), 1572년(선조 5)옥산서원(玉山書院) 등 많은 원사(院祠)가 건립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군의 진격로에 해당하는 이 지역은 치열한 격전지가 되었고, 박진(朴晉)·박의장(朴毅長)·권응수(權應銖) 등이 이끈 관민(官民) 연합군의 경주성전투와 그 탈환 작전은 왜란을 승리로 이끈 계기가 되었다.
이 지역은 조선 후기에 동성 마을이 많이 형성되었는데, 양동의 이씨(李氏)와 손씨(孫氏)는 오늘날까지 그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그리고 조선 말기에는 이곳 출신 최제우(崔濟愚)가 인내천(人乃天)의 동학사상을 창시하여 민중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기도 하였다.
1895년 지방제도 개혁 시에 경주군으로 개편되었고, 1931년 읍면제의 실시에 따라 경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이어서 1937년에는 양북면의 일부가 감포읍으로 분리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이 지역 역시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했는데, 3·1운동시에 3월 13일과 15일 만세시위가 일어났고, 1928년신간회 경주지부가 결성되어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9년안강읍의 승격에 이어 1955년경주시의 승격으로 시군이 분리되어 월성군이 따로 존재하게 되었다. 1973년건천읍, 1980년외동읍의 승격이 있었고, 1989년월성군이 경주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도농통합에 따라 경주시와 경주군이 통합되어 새로운 경주시가 되었다. 1998년 행정동 통폐합이 이루어져 4읍 8면 13동이 되었다가 다시 2009년 1월 행정동이 통폐합되어 4읍 8면 11동으로 되었다.
유물·유적
이 시는 선사시대부터 많은 유적을 남기고 있다. 특히, 신라 천 년의 도읍지로서 수많은 유물·유적을 간직하고 있어 도시 전체가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유물·유적이 밀집되어 있다. 국가지정 문화재만도 국보 31점(불국사삼층석탑 일괄유물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73점, 사적 및 명승 77개소, 천연기념물 3종, 중요민속자료 16종, 중요무형문화재 2종이 있다.
경주시 일원의 유물·유적은 크게 고분 및 그 유물, 불교관계 문화재, 성 및 궁궐지, 고건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경주시내 이외에도 천북면 모아리·오야리, 외동읍 죽동리에서 무문토기가 출토된 바 있고, 고인돌 또한 여러 곳에 분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특히, 강동면과 천북면 모아리 등지에 무리를 이루고 있다.
삼한시대의 유적으로는 외동읍 죽동리, 강동면 안계리, 외동읍 입실리에서 출토된 청동기 일괄유물과 조양동 토광묘군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삼국시대 이후의 신라분묘유적으로는 경주시내에 자리하고 있는 노서동·노동동·황남동·황오동·인왕동 고분군을 비롯하여, 서악의 무열왕릉을 비롯한 고분들과 인접한 충효동 고분군·김유신묘 등이 시내 서쪽에 있다.
낭산 산록에 선덕왕릉·신문왕릉·효공왕릉·신무왕릉이, 남산 기슭에는 헌강왕릉·정강왕릉·경명왕릉·경애왕릉 등이 분포한다. 이 밖에도 금강산 서쪽의 고분군 및 남산주변 고분군 등 곳곳에 많은 고분이 있다. 이러한 고분가운데, 금관총·서봉총·천마총과 98호 남·북분 등에서 발굴된 각종 유물은 신라문화의 찬연함을 보여주는 유물이 된다.
불교문화재로는 불국사·석굴암을 비롯하여 남산일대의 유적을 들 수 있다. 남산은 그 자체가 거대한 노천박물관이라 일컬을 만큼, 미륵곡·불곡·탑곡 등의 골짜기마다 사찰지·불상·탑 등이 산재한다. 또 황룡사지·사천왕사지·망덕사지·고선사지·흥륜사지·굴불사지·천군리사지 등을 통해서는 신라 불교사찰의 모습을 확인하게 하였다. 또한 현곡면에 월성나원리오층석탑(月城羅原里五層石塔, 국보 제39호), 안강읍 옥산리에 정혜사지십삼층석탑(淨惠寺址十三層石塔, 국보 제40호), 양북면 용당리에 감은사지삼층석탑(感恩寺址三層石塔, 국보 제112호), 건천읍 송선리에 단석산신선사마애불상군(斷石山神仙寺磨崖佛像群, 국보 제199호) 등이 있다.
그리고 내남면 용장리에 경주남산용장사곡삼층석탑(慶州南山茸長寺谷三層石塔, 보물 제186호)·경주남산용장사곡석불좌상(慶州南山茸長寺谷石佛坐像, 보물 제187호), 양북면 호암리에 기림사건칠보살좌상(祇林寺乾漆菩薩坐像, 보물 제415호), 안동리에 월성골굴암마애여래좌상(月城骨窟庵磨崖如來坐像, 보물 제581호), 율동에 월성두대리마애석불입상(月城斗垈里 磨崖石佛立像, 보물 제122호)이 있다.
배동에 경주배리석불입상(慶州拜里石佛立像, 보물 제63호), 양북면 용당리에 경주감은사지(慶州感恩寺址, 사적 제31호), 감포읍 대본리에 이견대(利見臺, 사적 제159호), 양북면에 경주장항리사지(慶州獐項里寺址, 사적 제45호), 외동읍 모화리에 경주원원사지(慶州遠願寺址, 사적 제46호), 진현동에 석굴암석굴(石窟庵石窟, 국보 제24호) 등이 있다.
성지 및 궁궐지로는 반월성·임해전지·명활산성·남산성, 건천읍 송선리의 경주부산성(慶州富山城, 사적 제25호)과 외동읍 모화리의 관문성(關門城, 사적 제48호)이 대표적이다.
고건축물로는 안강읍 옥산리에 옥산서원(사적 제154호), 강동면 양동리에 무첨당(無忝堂, 보물 제411호)과 향단(보물 제412호)·관가정(觀稼亭, 보물 제442호), 옥산리에 독락당(獨樂堂, 보물 제413호), 강동면 옥산리에 월성손동만씨가옥(月城孫東滿氏家屋, 중요민속자료 제23호)이 있다.
그리고 양동낙선당(良洞樂善堂, 중요민속자료 제73호)·양동이원봉가옥(良洞李源鳳家屋, 중요민속자료 제74호)·양동이원용가옥(良洞李源鏞家屋, 중요민속자료 제75호)·양동이동기가옥(良洞李東琦家屋, 중요민속자료 제76호)이 있다.
또한 양동이희태가옥(良洞李熙太家屋, 중요민속자료 제77호)·양동수졸당(良洞守拙堂, 중요민속자료 제78호)·양동이향정(良洞二香亭, 중요민속자료 제79호)·양동수운정(良洞水雲亭, 중요민속자료 제80호)·양동심수정(良洞心水亭, 중요민속자료 제81호)·양동안락정(良洞安樂亭, 중요민속자료 제82호)·양동강학당(良洞講學堂, 중요민속자료 제83호) 등이 있다.
중요 전적(典籍)으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정사(正史)인 『삼국사기』(卷五十, 보물 제525호)의 목판본과 『해동명적(海東名蹟)』(上卷 20枚, 下卷 23枚, 보물 제526호)·정덕계유사마방목(正德癸酉司馬榜目, 보물 제524호)·이언적수필고본일괄(李彦迪手筆稿本一括, 보물 제586호)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로는 현곡면 오류리에 등나무(천연기념물 제89호), 안강읍 옥산리에 동락당의 중국주엽나무(천연기념물 제115호), 육통리에 월성안강읍의 회화나무(천연기념물 제318호) 등이 있다. 중요무형문화재로는 경주교동법주(향토술담기, 중요무형문화재 제86호), 누비옷(중요무형문화제 제107호)이 있다.
이 밖에도 신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적으로 계림·첨성대·포석정·나정·재매정·동방와요지군·반월성내의 석빙고·경주읍성 등이 있다.
교육·문화
신라의 고도인 경주의 전 근대적 교육기구는 신라의 화랑도와 682년(신문왕 2)에 설치된 국학이 있었다. 국학은 고려시대 경주향교의 바탕이 되었으며, 이것은 조선시대로 이어졌다. 교동에 있는 경주향교는 1492년(성종 23)에 중수되었으나, 임진왜란 중에 소실되었다. 그 뒤 이시발이 중건하여 몇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주에는 향교 외에도 조선시대에 소학당이 있어 동몽을 훈회하였다. 서원으로는 1561년(명종 16)서악동에 설립되고 1623년에 사액된 서악서원(西岳書院), 1573년(선조 6)안강읍 옥산리에 설립되고 1574년(선조 7)에 사액된 옥산서원(玉山書院), 1700년(숙종 26)에 설립하고 1711년 사액된 숭열사가 있다.
이 외에도 구강서원은 1692(숙종 18)에 안강읍 양월리에, 동강서원은 1707에 강동면 유금리에, 인산서원은 1714, 매월당영당은 1670(현종 11), 운곡서원은 1785년(정조 9)강동면 왕신리에 각각 건립되었으나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모두 훼철되었지만 서악서원과 옥산서원은 훼철되지 않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근대 교육기관인 초등학교로는 1907년에 유림들이 세운 월성학교(월성초등학교의 전신)·계림공립보통학교(계림초등학교의 전신)·옥산공립보통학교(옥산초등학교의 전신)가, 1909년에 광흥학교가 설립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1920년에 세워진 건천공립보통학교 외에 25개의 학교가, 중학교는 1938년에 사립학교인 경주중·고등학교가 세워졌다.
2015년 현재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43개교, 중학교 20개교, 고등학교 21개교, 특수학교 1개교가 있으며,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경주대학교·위덕대학교·서라벌대학교가 있다.
문화면으로는 도서관 6개소, 박물관 4개소(국립경주박물관, 동국대·경주대·위덕대 박물관 ), 문화재 300점, 예술단 5개(교향악단 1, 국악단 1, 합창단 1, 소년·소녀 합창단 1, 연극단 1), 문화공간으로는 공연시설 7개소, 전시시설 1개소, 지역문화복지시설 4개소, 그리고 문화원이 하나 있다.
문화행사로는 문화박람회인 경주세계문화엑스포가 3년마다(8∼11월) 보문단지내 엑스포공원에서 개최되고 있다. 1962년부터 시작된 신라문화제는 매년 10월에 개최로 경주세계문화엑스포가 열리는 해는 연계 개최하기로 하였으며, 전국국악대전, 신라미술대전, 한글백일장, 화랑씨름대회 등의 행사가 펼쳐진다. 이밖에도 청마백일장, 목월백일장, 원효예술제, 만파식적제, 동학예술제 등이 열리고 있다. 특히,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에서는 ‘신라문화학술회의’ 개최와 전문학술지인 ‘신라문화’를 간행하여 신라의 역사·문화를 재조명하고 있다.
이 지역은 동학의 발생지이며 교조 최제우가 활동한 곳이며 유네스코가 세계 10대 문화유적도시로 지정한 곳이다.
민속
이 고장에 전해져 내려오는 민속놀이로는 양동마을의 줄다리기와 호미씻이, 세시에 따라 행해지는 널뛰기·윷놀이·연날리기·사자놀이·풀놀이·활쏘기·탑놀이·그네뛰기·가배놀이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양동마을의 줄다리기와 호미씻이는 이 고장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알려져 있다.
줄다리기는 정월 보름과 8월 보름경에 주로 행해졌는데, 요즈음은 격년제 또는 3년마다 한 번씩 행해지고 있다. 시합은 윗마을과 아랫마을 간에 이루어지는데, 시합 전에 각각 고사를 지내고 해가 넘어갈 무렵에 시작해서 이튿날 새벽까지 한다. 시합 중에 힘이 달리면 이웃마을에 가서 청병을 하기도 하며, 구경하던 사람들까지도 가세해서 협동심을 발휘한다.
줄다리기는 윗마을이 이기면 풍년이 들고 아랫마을이 이기면 마음이 편안해진다고 한다. 이와같은 믿음은 주민들에게 기대감을 부여해주고 있으며 물질과 정신의 대비를 나타내주고 있다.
호미씻이는 삼복이 지나고 세 벌 논을 다 맨 뒤 마을의 머슴들에게 놀 기회를 주는 행사이다. 여름 동안 가장 열심히 일한 머슴이 소를 타고 주인집에 들어가면 주인은 술과 음식을 대접한다. 이 날은 머슴들이 농악대를 이끌고 집집마다 다니면서 지신을 밟아주며 한해의 수고를 서로 위로하고 격려함으로써 주인과 머슴이 일체감을 가진다.
양동마을과 같이 유교색이 짙은 마을에서는 동제를 지내지 않으나 군내의 많은 동네에서 아직까지 동제를 지내고 있다. 대개 골맥이라는 마을 수호신을 모시는데, 마을 입구의 고목이나 서낭당이 신체가 된다. 제는 마을에 따라 특별한 날을 정하고 매년 같은 날에 지내기도 하며, 매년 주민이 모여 날짜를 결정하기도 한다.
제일이 결정되면 부정이 없고 출산·초상 등을 당하지 않은 남자를 제관으로 선정한다. 제관은 금줄로써 신성구역을 표시하고 정성을 다해 동제를 지내게 되는데, 다음 동제까지 마을에 재앙이 생기면 제관이 제를 잘못 지냈기 때문이라 믿어 지탄을 받게 된다. 제의 비용은 대개 동민들이 분담하며, 제물은 정성을 다해 준비하고 제를 지낸 뒤 음복을 한다.
해안지방에는 용왕을 모시는 별신제를 행하는 곳이 많다. 동제가 근엄하고 정적인 데 비해 별신제는 무당을 초청하여 굿을 함으로써 축제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동네행사로서 별신굿이 열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해난사고로 인한 수중고혼을 위로하기 위해 개인이 별신제를 지내는 경우도 있다. 내륙지방에서 동제를 지내는 것과 해안지방에서 별신제를 지내는 것은 주민의 생업과 연관되어서 의례활동이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하겠다.
민요·설화
이 고장은 민요가 다양하고도 풍부하게 전승되어온 곳이다. 남성들이 부르는 노래는 「망깨소리」·「지신밟기」·「보리타작노래」·「모노래」 등 주로 노동요이며, 여성들이 부르는 노래는 「치마노래」·「부채노래」·「바늘노래」·「시리굿노래」·「방아타령」·「댕기노래」·「베틀노래」·「시집살이노래」·「달노래」 등 여자들이 의생활과 관련성을 지닌 노래들이 대부분이다.
「지신밟기」·「모노래」·「각설이타령」 등은 남녀 구분없이 부른다. 외동읍의 「모내기노래」는 벌모를 심을 때 남성들이 부르는 교환창이지만 줄모를 심는 오늘날에도 흥이 나면 노인층에서 흥얼거리기도 한다.
“물기야 허정청 흐러놓고 쥔내야 양반은 어데로 갔노, 문어야 대전복 손에 들고 첩이야 방으로 놀러갔네, 첩이야 방은 꽃방이요, 님의 방은 연못이라, 꽃과 나비는 봄한철이고 물과 고기는 사시 장천……”
이러한 사설은 여러 면에서 유사하며 가락도 비슷하나 안강읍 부근에서는 사설이 전혀 다르다. “모다야 들어내재이 이모판으로 들어내자 새별겉으나 저밥골이 반달겉이도 떠나온다 니가무시나 반달이냥 초승월색이 반달이지…….”
「보리타작노래」는 이 군 일대에서 거의 비슷하다. 현곡면에서는 목도리깨꾼이 앞소리를 메기며 때릴 곳을 지시하면 종도리깨꾼이 뒷소리 여음을 재창하며 보리를 두드린다. “호호 호해야 여기봐라 호해야 호호 호해야 이보리를 뚜두려서 호호 호해야 곡간에다 채울라네 호호 호해야 개구리보리 때레라 호호 호해야…….”
특히 이 군에는 「달노래」라 하여 종래에 부인들 사이에 흔히 불리던 이른바 「월령가」가 있다. “정월가만 십오일에 망월하시는 소년들아 망월돋아 좋건마느 부모봉양은 뉘가할꼬 그달그믐은 다지내고 이월가면 한식이예 괴지촌에 넋이로다……그달그믐은 다지내고 사월가면 초파일에 앞집이도야 관등달고 뒷집이도야 관등다는데 우리임은 어델가고 관등놀이를 모르시노…….”
「달노래」는 특정한 기능을 가진 노래가 아니며 밭을 매거나 혼자서 오랜 시간 일을 할 때 무료함을 달래며 부른다.
이 밖에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인이 메뚜기를 추스리며 아이를 낳았다고 좋아하는 「항굴래비노래」와 「진보청송조리장사」 등 희극적 요소가 있는 서사민요가 전승되는 것은 이 지방이 민요의 고장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 고장은 인물전설이 많은 지역이다. 특히, 신라시대의 인물전설이 많고, 근대의 인물로는 박문수·정만서·최제우 등의 전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인물전설 외에는 「풍수설화」·「아기장수설화」와 자연물유래담들이 많이 전한다.
현곡면은 최제우가 태어난 곳이고 지금도 동학이 성한 고장이어서 최제우 및 그 아버지 근암(近菴) 최옥(崔鋈)의 이야기가 함께 전한다. 최옥은 여러 번 과거에 낙방하고 산림처사로 자처하며 살았는데 과부인 한씨부인을 만나 최제우를 낳았다.
최제우를 낳게 된 내력은 이렇다. 낙방만 거듭하던 최옥이 용담(龍潭)에서 공부를 하다가 깜박 졸았는데, 꿈에 달이 품속으로 사르르 들어왔다. 이 때 남편이 일찍 죽어 과부가 된 청주 한씨가 친정인 서면에 와 지내는데 초저녁 꿈에 우물가에 가니 달이 품속으로 들어왔다.
전에는 얌전하기만 했던 사람이 천리라도 걸어야겠다는 듯이 온몸이 가시에 찔려 유혈이 낭자한 채 구미산을 넘어와 보니 불빛이 뻔한 곳이 있는데, 바로 최옥이 공부하는 용담정이었다.
최옥은 인기척에 문을 열고 한씨부인을 맞아 동침을 하여 최제우를 낳았는데, 이 때 최옥에게는 본부인이 있었다.
서면에서 조선 말기에 살았다는 정만서는 가난하고 지체가 낮은 미천한 백성으로 갖은 술책으로 지체 높고 돈 많은 사람을 괴롭히는 이 고장을 대표하는 시정잡배였다. 어린아이를 잃고 울고 있는 부인을 놓고 정만서가 다른 사람과 부인을 웃기는 내기를 하였다.
우는 부인 곁에 다가가 떠나지 않는 정만서를 보고 부인이 우는 사연을 말하였다. 정만서 또한 슬프다고 하며 다름 아니라 뱃속에서 회충을 낳는데 죽어버려서 슬프다고 하니 부인이 기가 막혀 웃었다. 물론 정만서는 내기에서 이겨 술 한턱을 잘 얻어먹었다.
강동면 호명리의 장군바위는 「아기장수전설」이 전하는 곳이다. 슬하에 자식이 없는 여인이 절에 다니며 불공을 드렸는데 꿈에 백발노인이 “내 아들을 보내줄 터이니 잘 기르라.”고 한 뒤에 보니, 바위 위에 큰 칼을 차고 서 있는 아이를 발견하였다.
아이는 여인에게 “어머니”라고 부르며 밥을 달라 청하며 마을의 왜놈들을 물리치겠다 하였다. 놀란 여인이 마을에 가서 이 사실을 알리니 사람들은 소년장군이 났으니 난리가 날 것이라며 불을 질러 죽여버리고 말았다. 이 때 소년장군이 섰던 바위에 발자국과 칼자국이 남아 있어 장군바위라 하게 되었다. 얼마 뒤에 과연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이 밖에 오봉산의 「주사암전설(朱砂庵傳說)」·「감은사연기설화」·「용궁바위전설」 등이 전한다.
산업·교통
2008년 현재 경주시의 총면적 중 임야가 67.9%, 농경지가 16.8%, 기타가 15.3%로 경지율은 낮은 반면 산림지역의 비중이 크다. 총경지면적은 223.12㎢로 그 중 논은 161.26㎢로 72.3%를 차지하고 밭은 61.86㎢로 27.7%를 차지하며 논농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안강평야는 안강읍의 중앙을 관류하여 동으로 흐르는 토평천(土坪川)이 형산강과 합류하는 지점에 형성된 평야로 안강읍의 동부와 동북부일대 및 강동면의 중앙과 서부일대에 펼쳐져 있으며, 수리시설이 잘 되어 있어 경상북도내에서 손꼽히는 곡창지대를 이룬다.
평야일대에서는 사과도 많이 재배된다. 주곡 위주의 농업이 행해지고 있으며, 다만 건천지역의 양송이 재배와 내남면과 산내면의 누에치기가 비교적 활발하다. 경주버섯은 건천읍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는데 전국생산량의 24.6%, 도내생산량의 98%를 차지하고 있다. 이 밖에 사과·배·복숭아·포도가 재배되는데, 사과는 안강·강동·천북면 등의 북부지역, 배는 남부지역에서 많이 생산된다. 그리고 돼지·한우·젖소 등이 주로 사육되고 있다. 경주는 한우, 버섯 전국 1위, 보리, 단감, 시설 토마토, 젖소 도 1위, 벼, 돼지 도 2위로 농·축산물 생산의 보고이다.
특산품은 교동에는 전통주인 교동법주, 황남동에서 처음 만들어진 조그마한 팥빵인 황남빵, 감포 앞바다에서 잡아올린 멸치를 짜낸 순수멸치젓이다. 그 외 경주배, 안강단감, 찰토마토, 남산에서 생산되는 자색의 경주옥돌, 동상의 소인이 있는 심장이 약한 환자에게 내복약으로 사용되는 4·5년생 약초인 오수유(吳茱萸), 강강제·완화제로 쓰이는 다년생 초본인 하수오(何首烏)가 있다.
임산물은 1,017,421㎏이 생산되었으며, 주로 버섯·산나물·밤·호두·대추·도토리·산딸기 등이 생산된다. 수산업은 시내의 유일한 어항인 감포(甘浦)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7년 현재 2만 3,743M/T의 어획고를 보이고 있다.
산업구조는 농축수산업이 약 34%, 광공업이 15%, 서비스업 등이 5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경주의 문화·관광도시의 특성상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높다. 산업 및 농공단지는 14개로 용강준공업지역, 8개의 지방산업단지, 5개의 농공단지(안강, 외동, 건천, 내남, 서면)에 모두 186개의 업체가 입주하여 있다. 자동차산업의 영향으로 총 1221개 기업체 중 자동차부품 생산업체가 33%를 차지하고 있으며, 포항종합제철의 영향으로 연관공업인 안강의 풍산금속공장 등 여러 공장이 입지하고 있으며, 경주의 특색 있는 것으로는 토석유리공업을 들 수 있다.
1976년 착공하여 1982년 준공된 월성원자력발전소는 국내 유일의 가압중수형 원자력발전소로 유명하다. 4기의 중수로 원전이 운영 중으로, 67만 8천㎾인 1호기는 83년에, 70만㎾급인 월성 2,3,4호기는 각각 97,98,99년에 준공되어 정상 운전 중에 있으며, 신월성 1,2호기가 건설 중에 있다. 발전소를 중심으로 양남면·양북면·감포읍 일대는 1976년 산업기지 개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상업은 신라의 수도였던 까닭에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490년(소지왕 12) 3월에 경도시(京都市), 509년(지증왕 10)에 동시(東市)가 개설되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이다. 1830년대에는 사평·구어·읍내·부내·대창장 등의 5일장이 있었고, 1920년대 후반까지도 5일장에서 거래가 활발하였다. 특히 부내장은 대구 부내장과 더불어 영남의 2대시장으로 손꼽힐 만큼 규모가 컸다.
민족항일기 말 중앙선·대구선의 개통과 포항∼일본 서북부를 잇는 항로의 개설로 교통이 발달하고 인구가 증가하여 경주시의 상업은 급속히 발달하였다. 그러나 정기시장은 쇠퇴하였고,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유명무실화되었다.
시가의 번창과 더불어 공설·상설시장은 증가하여 1962년에는 불국사가축시장, 1963년 청과물도매시장, 1967년 경주가축시장이 개설되었다. 1970년대 이후 성도·성간·불국사 상가 등이 상설화되었고, 남흥·황오시장은 현대식 민영시장으로 변모하였다.
1982년에는 경주민영시장이 현대식 사설소매시장으로 개설되었으며, 농·수산도매시장도 1980년 이후 세 군데 개장되었다. 1985년경에는 불국사장(4·9일장)·감포·하서·안강·입실·의곡·용산·건천·아화·어일 등 10개의 5일장이 공설로 열리고 있었다.
정기시장에서는 농수산물·공산품·생활필수품·산나물·약초·소 등이 주로 거래된다. 특히, 불국사장에서는 농산물과 소, 감포장과 하서장에서는 수산물, 입실·의곡·건천장에서는 농산물, 의곡장에서는 산채, 안강장에서는 소와 약초, 아화장에서는 소가 각각 많이 거래되고 있다. 2008년 현재 공설시장 11개소(감포, 안강, 건천, 외동, 양북, 양남, 산내, 서면, 성동, 구정, 불국사상가)와 사설시장 3개소가 있다.
교통은 경부고속도로가 지나며, 국도 7호의 포항∼울산간의 도로가 지나는 등 3호·4호·20호가 지나며, 이 외에도 지방도가 곳곳에 있어 편리하다. 철도의 중앙선과 동해남부선, 경부고속선도 지난다.
관광
신라 천 년의 고도로서 찬란한 신라문화의 보고인 경주는 자연박물관이자 세계적인 고적관광도시이다. 1968년 12월에 경주고적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본격적인 관광도시로 발달하였다. ‘보는 관광지’에서 ‘즐기는 관광지’로 유도하기 위해 1974년부터 계속하여 경주관광종합개발사업이 추진되어오고 있다. 유네스코에 의해 불국사, 석굴암(1995.12.9)과 남산, 월성, 대릉원, 황룡사, 산성 등 5개의 경주역사유적지구(2000.12.2), 양동마을(2010.7.31) 등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3개 사적지구(토함산·오릉·무열왕릉·월성·남산·김유신장군묘·미추왕릉·황룡사지·문무대왕릉·금강산·명활산·괘릉 등)에 대한 문화재 복원·보수·정화작업이 추진되었으며, 보문지를 중심으로 대규모의 국제적인 위락시설을 갖춘 보문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2009년 현재 문화재는 국보 32점, 보물 82점, 사적 및 명승 2점, 사적 76점, 중요민속자료 16점, 중요무형문화재 2점, 천연기념물 3종, 기타 97점으로 총 313점이며, 전국의 약 4%, 경상북도의 약 22%를 차지한다.
문화재는 불국사와 토함산·금강·남산·서악·송화 등 5개의 국립공원지구에 집중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기암고봉(奇巖高奉)의 남산(468m)은 30여 개의 깊은 하곡(河谷)에 백여 개의 절터와 기암괴석에 새겨진 불상·석탑 등 불교유적이 밀집되어 있다. 남산 서편기슭에는 석불입상·석불좌상·경애왕릉·삼릉 등과 포석계곡·선방계곡·삼릉계곡이 곁들여져 관광객이 몰려들고 있다.
박혁거세가 태어났다는 나정과 신라의 종말을 알리는 경애왕의 비극이 서려 있는 포석정이 있다. 포석정은 진한 6촌의 시조를 모신 양산재 입구에서 1㎞남짓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신라의 종말을 알리는 경애왕의 비극이 서려 있는 포석정, 삼국시대에 조성되어 햇살에 따라 시시각각 달라지는 미소가 일품인 배리삼존석불, 10곳의 절터와 14체의 석불상이 있는 삼릉골, 병풍바위에 살아 있는 듯 조각되어 있는 마애삼존육존불상 등이 볼 만하다.
불무사 대웅전 뒤쪽에 자리한 높이 9m, 둘레 30m의 여래상·보살상·비천상·나한상 및 탑과 사자 등 30여 종에 달하는 다양한 형상이 조각되어 있는 부처바위, ‘남산 아줌마부처’라는 별명을 가진 남산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부처인 감실석불좌상이 있다.
시내중심부 황남동의 4만여 평에 천마총을 비롯하여 20기의 능이 자리하고 있는 고분공원이 있다. 인왕동의 반월성 일대에는 첨성대·석빙고·안압지와 신라 천 년의 문화·예술·역사·유물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경주국립박물관이 있다.
구황동에는 황룡사지와분황사가 있으며 서악동에는 무열왕릉과 진흥왕릉·문성왕릉 등의 고분군이 있다. 또한 토함산에는 불국사와 석굴암이 있어 한국적 불교사상과 인공미의 극치를 보여주며, 남동쪽 장항리탑정계곡에는 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다.
주요 명승고적으로는 나원리 오층석탑,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가장 완벽한 묘제(墓制)를 보여주는 괘릉을 비롯하여 부산성(富山城)·경덕왕릉·흥덕왕릉·원원사지·관문성·기림사 등이 있다. 양북면 봉길리 앞바다의 문무왕 해중릉(海中陵)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와 마주한 해변에는 봉길해수욕장이 있다.
안강에서 서쪽으로 7㎞되는 자옥산(紫玉山) 아래 절승지에는 1572년(선조 5) 건립된 이언적을 모신 옥산서원이 있고, 외동읍 방어리와 괘릉리에 걸쳐 영지가 있으며, 현곡면 가정리에는 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가 출생하고 묻힌 곳인 용담정(龍潭亭)이 있다.
빼놓을 수 없는 관광명소로는 양동이씨와 경주손씨의 동족마을인 양동민속마을이 있다. 크고 작은 150여 채의 조선시대 건축양식의 가옥과 2채의 사당·정자 15개소·학당 등이 계곡을 따라 여기 저기에 자리하여 절로 감탄을 자아낸다. 이 가운데서는 보물 3점, 민속자료 12점, 지방유형문화재 4점이 포함되어 있다.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로는 회재이언적 선생의 선친인 이번이 살던 고택인 무첨당, 회재선생이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할 때 중종이 그의 모친의 병환을 돌볼 수 있도록 배려해서 지은 집인 향단과 조선 중종 때의 청백리 우재손중돈이 분가하여 살았던 관가정이 있다. 많은 민속가옥이 남아 있는 이 마을은 안동하회마을과 더불어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17년 12월 3일 일요일
정몽주 [鄭夢周
정몽주 [鄭夢周
고려 말기 문신 겸 학자. 의창을 세워 빈민을 구제하고 유학을 보급하였으며, 성리학에 밝았다.《주자가례》를 따라 개성에 5부 학당과 지방에 향교를 세워 교육진흥을 꾀했다. 시문에도 뛰어나 시조〈단심가〉외에 많은 한시가 전해지며 서화에도 뛰어났다.
본관 영일(迎日). 자 달가(達可). 호 포은(圃隱). 초명 몽란(夢蘭)·몽룡(夢龍). 시호 문충(文忠). 영천(永川)에서 태어났다. 1357년(공민왕 6) 감시에 합격하고 1360년 문과에 장원, 예문검열(藝文檢閱)·수찬·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냈으며, 1363년 동북면도지휘사 한방신(韓邦信)의 종사관으로 여진족(女眞族) 토벌에 참가하고 1364년 전보도감판관(典寶都監判官)이 되었다.
이어 전농시승(典農寺丞)·예조정랑 겸 성균박사(禮曹正郞兼成均博士)·성균사예(成均司藝)를 지냈고, 1371년 태상소경보문각응교 겸 성균직강(太常少卿寶文閣應敎兼成均直講) 등을 거쳐 성균사성(成均司成)에 올랐으며, 이듬해 정사(正使) 홍사범(洪師範)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1376년(우왕 2) 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으로 이인임(李仁任) 등이 주장하는 배명친원(排明親元)의 외교방침을 반대하다 언양(彦陽)에 유배, 이듬해 풀려나와 사신으로 일본 규슈[九州]의 장관에게 왜구의 단속을 청하여 응낙을 얻고 잡혀간 고려인 수백 명을 귀국시켰다.
1379년 전공판서(典工判書)·진현관제학(進賢館提學)·예의판서(禮儀判書)·예문관제학·전법판서·판도판서를 역임, 이듬해 조전원수(助戰元帥)가 되어 이성계(李成桂) 휘하에서 왜구토벌에 참가하였다. 1383년 동북면조전원수로서 함경도에 침입한 왜구를 토벌, 다음해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올라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가서 긴장상태에 있던 대명국교(對明國交)를 회복하는 데 공을 세웠다.
1386년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고 이듬해 다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수원군(水原君)에 책록되었다. 1389년(창왕 1) 예문관대제학·문하찬성사가 되어 이성계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고, 1390년(공양왕 2)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도평의사사병조상서시판사(都評議使司兵曹尙瑞寺判事)·경영전영사(景靈殿領事)·우문관대제학(右文館大提學)·익양군충의백(益陽郡忠義伯)이 되었다. 이성계의 위망(威望)이 날로 높아지자 그를 추대하려는 음모가 있음을 알고 이성계 일파를 숙청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1392년 명나라에서 돌아오는 세자를 마중 나갔던 이성계가 사냥하다가 말에서 떨어져 황주(黃州)에 드러눕자 그 기회에 이성계 일파를 제거하려 했으나 이를 눈치챈 방원(芳遠:太宗)의 기지로 실패, 이어 정세를 엿보려고 이성계를 찾아보고 귀가하던 도중 선죽교(善竹矯)에서 방원의 부하 조영규(趙英珪) 등에게 격살되었다.
의창(義倉)을 세워 빈민을 구제하고, 개성에 5부 학당(學堂)과 지방에 향교를 세워 교육진흥을 도모했다. 그리고 성리학에도 밝아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라 사회 윤리의 기반을 확립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1392년(공양왕 4)에는 고려의 기존 법률 체계와 원나라의 법률, 1367년에 새로 제정된 《대명률(大明律)》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신율(新律)》을 편찬해 고려의 법률 체계를 재정비하려 했다. 나아가 외교와 군사에도 깊이 관여하여 국운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신흥세력인 이성계 일파의 손에 최후를 맞이했다.
시문에도 뛰어나 시조 〈단심가(丹心歌)〉 외에 많은 한시가 전해지며 서화에도 뛰어났다. 고려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1401년(태종 1) 영의정에 추증되고 익양부원군(益陽府院君)에 추봉되었다. 중종 때 문묘(文廟)에 배향되었고 개성의 숭양서원(崧陽書院) 등 11개 서원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포은집(圃隱集)》이 있다.
정의"
1337년(충숙왕 복위 6)∼1392년(공양왕 4).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
개설"
본관은 영일(迎日). 출생지는 영천(永川). 초명은 정몽란(鄭夢蘭) 또는 정몽룡(鄭夢龍),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정습명(鄭襲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운관(鄭云瓘)이다. 어머니 이씨(李氏)가 난초화분을 품에 안고 있다가 땅에 떨어뜨리는 꿈을 꾸고 낳았기 때문에 초명을 정몽란이라 했다. 뒤에 정몽룡으로 개명하였고 성인이 되자 다시 정몽주라 고쳤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57년(공민왕 6) 감시(監試: 일명 국자감시로 진사를 뽑던 시험)에 합격하고, 1360년 문과에 장원급제해 1362년예문관(藝文館)의 검열(檢閱)·수찬(修撰)이 되었다. 이때 김득배(金得培)가 홍건적을 격파해 서울을 수복하고서도 김용(金鏞)의 음모로 상주에서 효수되자, 김득배의 문생으로서 왕에게 시체를 거둘 수 있도록 청해 장사지냈다.
1363년낭장 겸 합문지후(郎將兼閤門祗候)·위위시승(衛尉寺丞)을 역임하였고 동북면도지휘사(東北面都指揮使)한방신(韓邦信)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여 서북면에서 달려온 병마사이성계(李成桂)와 함께 여진토벌에 참가하였다. 돌아와서 전보도감판관(典寶都監判官)·전농시승(典農寺丞)을 역임하였다.
당시 상제(喪制)가 문란해져서 사대부들이 모두 백일 단상(短喪)을 입었는데, 홀로 부모의 상에 여묘(廬墓)를 살고 슬픔과 예절을 극진히 했기 때문에 1366년 나라에서 정려(旌閭: 미풍양속을 장려하기 위해 효자·충신·열녀 등이 살던 동네에 붉은 칠을 한 정문)를 내렸다. 이듬해예조정랑(禮曹正郎)으로 성균박사를 겸임하였다.
태상소경(太常少卿)과 성균관사예(司藝)·직강(直講)·사성(司成) 등을 역임하였다. 1372년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오던 중 풍랑으로 배가 난파되어 일행 12인이 익사하였다. 다행히 정몽주는 13일 동안 사경을 헤매다가 명나라 구조선에 구출되어 이듬해 귀국하였다.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 등을 거쳐, 1376년(우왕 2)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으로 이인임(李仁任)·지윤(池奫) 등이 주장하는 배명친원(排明親元)의 외교방침을 반대하다가 언양(彦陽)에 유배되었으나 이듬해 풀려났다.
당시 왜구의 침구가 심해 나흥유(羅興儒)를 일본에 보내어 화친을 도모했으나 그 주장(主將)에게 붙잡혔다가 겨우 죽음을 면하고 돌아왔다. 정몽주에게 앙심을 품었던 권신들의 추천으로 구주(九州: 현재 일본의 큐수지역)지방의 패가대(覇家臺)에 가서 왜구의 단속을 요청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모두 위태롭게 여겼으나 두려워하는 기색 없이 건너가 교린(交隣)의 이해(利害)를 설명해 맡은 임무를 수행했고, 왜구에게 잡혀갔던 고려 백성 수백 명을 귀국시켰다.
이어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전공사(典工司)·예의사(禮儀司)·전법사(典法司)·판도사(判圖司)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1380년 조전원수(助戰元帥)로 이성계를 따라 전라도 운봉(雲峯)에서 왜구를 토벌하였다.
이듬해 성근익찬공신(誠勤翊贊功臣)에 올라 밀직부사 상의회의도감사 보문각제학 동지춘추관사 상호군(密直副使商議會議都監事寶文閣提學同知春秋館事上護軍)이 되었다. 1382년 진공사(進貢使)·청시사(請諡使: 전왕의 시호를 요청하기 위해 보내는 사신)로 두 차례 명나라에 갔으나 모두 입국을 거부당해 요동(遼東)에서 되돌아왔다.
동북면조전원수로서 다시 이성계를 따라 함경도에 다녀온 뒤, 1384년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올라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당시 명나라는 고려에 출병하려고 세공(歲貢)을 증액하고 있었고, 5년간의 세공이 약속과 다르다 하여 고려 사신을 유배시키는 등 고려와의 국교관계를 악화시키고 있었다.
이에 모두 명나라에 봉사하기를 꺼려했으나 사신의 임무를 완수하고 긴장상태의 외교관계를 회복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385년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우홍명(禹洪命) 등 33인을 뽑고 이듬해 다시 명나라에 가서 증액된 세공의 삭감과 5년간 미납한 세공의 면제를 요청해 결국 관철시켰다.
귀국 후 문하평리(門下評理)를 거쳐 영원군(永原君)에 봉군되었다. 그러나 한 번 더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으나 다시 국교가 악화되는 바람에 요동에서 되돌아왔다. 삼사좌사(三司左使)·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하였다.
1389년(공양왕 1) 이성계와 함께 공양왕(恭讓王)을 세워 이듬해문하찬성사 동판도평의사사사 호조상서시사 진현관대제학 지경연춘추관사 겸 성균대사성 영서운관사(門下贊成事同判都評議使司事戶曹尙瑞寺事進賢館大提學知經筵春秋館事兼成均大司成領書雲館事)로 익양군충의군(益陽郡忠義君)에 봉군되고, 순충논도동덕좌명공신(純忠論道同德佐命功臣)의 호를 받았다.
이초(彛初)의 옥사가 일어났을 때 당시 조정에서 물러난 구파정객들에 대한 대간(臺諫)의 논죄가 끊임없이 계속됨을 보고 이를 부당하다고 말했으나 오히려 탄핵을 받았다. 이에 사직하려 했으나 허락되지 않았으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문하시중 판도평의사사병조상서시사 영경령전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경연사 익양군충의백(壁上三韓三重大匡守門下侍中判都評議使司兵曹尙瑞寺事領景靈殿事右文館大提學監春秋 館事經筵事益陽郡忠義伯)이 되었다.
당시 풍속이 모든 상제(喪祭)에 불교의식을 숭상했는데, 사서(士庶)로 하여금 『가례(家禮)』에 의해 사당을 세우고 신주를 만들어 제사를 받들게 하도록 요청해 예속이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힘썼다. 또 지방수령을 청렴하고 물망이 있는 사람으로 뽑아 임명하고 감사를 보내 출척(黜陟)을 엄격하게 했으며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에 경력과 도사를 두어 금전과 곡식의 출납을 기록하게 하였다.
서울에는 오부학당(五部學堂)을 세우고 지방에는 향교를 두어 교육의 진흥을 꾀하였다. 그리고 기강을 정비해 국체를 확립하였으며 쓸데없이 채용된 관원을 없애고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였다. 또 의창(義倉)을 다시 세워 궁핍한 사람을 구제하고, 수참(水站)을 설치해 조운(漕運)을 편리하게 하는 등 기울어져가는 국운을 바로잡고자 노력하였다.
1391년인물추변도감제조관(人物推辨都監提調官)이 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의 호를 더했으며, 이듬해 『대명률(大明律)』·『지정조격(至正條格)』 및 본국의 법령을 참작·수정해 신율(新律)을 만들어 법질서를 확립하려고 힘썼다. 당시 이성계의 위망(威望)이 날로 높아지자 조준(趙浚)·남은(南誾)·정도전(鄭道傳) 등이 이성계를 추대하려는 책모가 있음을 알고 이들을 제거하려 하였다.
그런 와중에 명나라에서 돌아오는 세자 왕석(王奭)을 마중 나갔던 이성계가 황주에서 사냥하다가 말에서 떨어져 벽란도(碧瀾渡)에 드러눕게 되자, 그 기회에 이성계의 우익(羽翼)인 조준 등을 제거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를 눈치 챈 이방원(李芳遠)이 아버지 이성계에게 위급함을 고해 그날 밤으로 개성으로 돌아오게 하는 한편, 역으로 정몽주를 제거할 계획을 꾸몄다. 정몽주도 이를 알고 정세를 엿보려 이성계를 문병하였으나 귀가하던 도중 선죽교(善竹橋)에서 이방원의 문객 조영규(趙英珪) 등에게 살해되었다.
학문세계와 저술활동"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해 게을리 하지 않았고 성리학에 대한 조예가 깊었다. 당시 고려의 『주자집주(朱子集註)』에 대한 정몽주의 강설이 사람의 의표를 찌를 정도로 뛰어나 모두들 놀라워했다. 그러다가 송나라 유학자 호병문(胡炳文)의 『사서통(四書通)』이 전해지면서 그 내용이 정몽주의 강설내용과 서로 맞아떨어지는 것을 보고 모두 탄복하였다고 한다. 정몽주의 시문은 호방하고 준결하며 시조 「단심가(丹心歌)」는 정몽주의 충절을 대변하는 작품으로 후세에까지 많이 회자되고 있다. 문집으로 『포은집(圃隱集)』이 전하고 있다.
평가"
대사성(大司成)이색(李穡)은 정몽주를 높이 여겨 ‘동방 이학(理學)의 시조’라 하였다. 정치적으로도 정몽주는 고려 말의 어려운 시기에 정승의 자리에 올라 아무리 큰일이 나더라도 조용히 사리에 맞게 처결하였다는 평을 받고 있다.
상훈과 추모"
1401년(태종 1)권근(權近)의 요청에 의해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 감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大匡輔國崇祿大夫領議政府事修文殿大提學監藝文春秋館事益陽府院君)이 추증되었다. 1517년(중종 12) 태학생(太學生) 등의 상서(上書)로 문묘에 배향될 때 묘에 비석을 세웠는데 고려의 벼슬만을 쓰고 시호를 적지 않음으로써 두 왕조를 섬기지 않았다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개성의 숭양서원(崧陽書院) 등 13개의 서원에 제향되었고, 묘 아래에 있는 영모재(永慕齋), 영천의 임고서원(臨皐書院) 등 몇 곳의 서원에는 정몽주의 초상을 봉안하고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이방원은 정몽주를 죽이기 전에 술자리에서 그의 생각을 떠보았다고 한다. 이방원은 자신들과 함께 하자는 뜻을 담아 <하여가>라는 시를 읊었고, 정몽주는 고려에 충성하겠다는 뜻으로 <단심가>를 지어 응수했다. 제안을 거절당하자 이방원은 즉시 부하들에게 정몽주를 죽이라고 지시했다.
1337년에 경상도 영천의 한미한 집안에서 태어난 정몽주는 학문이 높아 일찍부터 이름을 떨쳤다. 고려 말기의 대학자인 이색이 성리학의 창시자라고 인정했을 정도였다. 정몽주의 높은 학문 수준을 보여 주는 일화가 전해진다. 정몽주는 성균관 박사 시절에 유교의 경전을 강의한 적이 있는데, 고려에 있는 하나뿐인 《주자집주》를 해석해 뜻을 풀이해 주었다. 이후 중국에서 유교의 경전 여러 권이 들어와 내용을 살펴보니 정몽주의 풀이가 정확하게 맞아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정몽주는 외교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공민왕이 죽은 뒤 명의 사신이 친원파들에 의해 살해당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그는 명으로 건너가 자칫 오해하기 쉬운 사건을 정확하게 해명해 외교적인 마찰을 없앴다. 이후에도 친원파들은 정몽주를 제거할 목적으로 관계가 껄끄러웠던 일본에 사신으로 보냈는데, 그는 오히려 수백 명의 포로를 데려오는 성과를 거두었다.
정승의 자리에 오른 정몽주는 어지러운 고려 사회를 개혁하기 위해 노력했다. 유학을 가르치고 관리를 양성하는 공립 학교를 세웠고, 흉년 때 가난한 백성들에게 곡식을 빌려주는 의창을 세우기도 했다. 하지만 고려의 기운은 이미 기울어질 대로 기울어져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래도 정몽주는 끝까지 고려를 유지하고자 했지만, 이성계를 지지하면서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는 세력에게 죽임을 당했다.
심화"
정몽주는 처음에는 위화도 회군을 통해 권력을 잡은 이성계를 지지했다.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울 때에도 뜻을 같이 했다. 하지만 개혁에 대한 두 사람의 의견은 오래지 않아 크게 갈렸다. 정몽주는 고려 왕조 안에서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 이성계는 새 나라를 세워 모든 문제를 일시에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정몽주는 정도전과 조준, 남은 등을 탄핵해 귀양을 보내면서 이성계 세력과 맞섰고, 위협을 느낀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이 1392년 3월에 선죽교 위에서 그를 살해했다.
정몽주는 말에서 떨어져 다친 이성계를 병문안하고 돌아가는 길에 이방원이 보낸 부하들에게 죽었다. 이후 오랫동안 그가 죽은 장소인 선죽교에는 정몽주의 핏자국이 남아 사라지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 이방원, 「하여가」 -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 정몽주, 「단심가」 -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는 정몽주의 굳센 의지가 담긴 시였지요. 이 시를 계기로 이방원은 정몽주를 설득하는 것을 포기합니다. 그래서 부하를 보내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죽입니다.
정몽주의 충심을 상징하는 선죽교
선죽교의 원래 이름은 선지교였습니다.
하지만 정몽주가 죽은 자리에서 붉은 대나무가 자랐다고 하여 선죽교로 불리게 되었어요. 그 대나무는 고려를 향한 정몽주의 충심을 상징하는 것
볶음고추장
버섯 고추장볶음.
요리법
요리재료
주재료 : 쇠고기 150g, 간장 1/2큰술, 설탕 1작은술, 다진 마늘 1/2큰술, 참기름 1/2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표고 80g, 양송이 80g, 느타리 버섯 80g, 양파 1/3개, 청 고추 1개, 홍 고추 1개, 물엿 2작은술, 깨소금 1작은술, 참기름 1작은술, 식용유 적당량
부재료 : 고추장(고추장 양념) 2 1/2큰술, 고춧가루 1큰술, 맛 술 1큰술
재료설명 : 쇠고기 양념 (쇠고기 150g, 간장 1/2큰술, 설탕 1작은술, 다진 마늘 1/2큰술, 참기름 1/2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고추장 양념 (고추장 2 1/2큰술)
기본정보
조리시간 : 30분
분량 : 4인분 기준
칼로리 : 140kcal (1인분)
요리과정
쇠고기는 한 입 크기로 썰고 분량의 양념을 넣어 밑간 합니다.
버섯은 손질하여 표고·양송이 버섯은 모양을 살려 썰고 느타리 버섯은 손으로 찢습니다.
양파는 채 썰고 청·홍 고추는 씨를 제거하여 어슷하게 썹니다.
분량의 재료로 고추장 양념을 만듭니다.
달궈진 팬에 기름을 두르고 쇠고기를 볶다 양파, 표고·양송이·느타리 버섯을 넣고 볶습니다.
야채가 반쯤 익으면 고추장 양념을 넣고 청·홍 고추, 물엿, 깨소금, 참기름을 넣어 볶아냅니다.
쇠고기는 한 입 크기로 썰고 분량의 양념을 넣어 밑간 합니다.
버섯은 손질하여 표고·양송이 버섯은 모양을 살려 썰고 느타리 버섯은 손으로 찢습니다.
양파는 채 썰고 청·홍 고추는 씨를 제거하여 어슷하게 썹니다.
분량의 재료로 고추장 양념을 만듭니다.
달궈진 팬에 기름을 두르고 쇠고기를 볶다 양파, 표고·양송이·느타리 버섯을 넣고 볶습니다.
야채가 반쯤 익으면 고추장 양념을 넣고 청·홍 고추, 물엿, 깨소금, 참기름을 넣어 볶아냅니다.
요리팁
야채가 반쯤 익었을 때 고추장 양념을 넣어야 야채에서 수분이 나와 양념이 타지 않고 깔끔하게 볶아집니다.
음식정보
영양성분
탄수화물
15.00g |
단백질
11.00g |
지방
14.00g |
칼슘
22.00mg |
나트륨
408.00mg |
영양성분 : 1인분 기준.
볶은고추장.
요리법
요리재료
대체재료 : 우둔살 → 홍두깨살 (우둔살이 없을 경우 홍두깨살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기본정보
조리시간 : 30분
분량 : 1인분 기준
칼로리 : 61kcal (1인분)
요리과정
달군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쇠고기를 넣어 볶는다.
고추장을 넣고 볶다가 참기름과 깨, 다진 마늘, 설탕을 넣어 타지 않게 볶는다.
달군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쇠고기를 넣어 볶는다.
고추장을 넣고 볶다가 참기름과 깨, 다진 마늘, 설탕을 넣어 타지 않게 볶는다.
음식정보
다이어트 : 고추의 캡사이신은 피하지방 대사를 촉진하여 다이어트에 좋다.
보관온도 : 1~5℃
보관기간 : 7일
보관법 :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한다.
효능 : 감기 예방, 체중 감량 (비타민 C가 풍부하여 감기 예방에 효과적이며 캡사이신 성분은 신진대사를 증진시켜 체중 감량에 좋다.)
영양성분
베타카로틴
419.94㎍
니아신
1.09mg
나트륨
457.20mg
단백질
2.13g
당질
7.75g
레티놀
1.20㎍
비타민 A
71.22㎍RE
비타민 B1
0.05mg
비타민 B2
0.07mg
비타민 B6
0.21mg
비타민 C
0.20mg
비타민 E
1.46mg
식이섬유
0.76g
아연
0.34mg
엽산
13.84㎍
인
46.60mg
지질
0.47g
철분
0.34mg
칼륨
100.78mg
칼슘
9.90mg
콜레스테롤
4.70mg
회분
1.59g
영양성분 : 1인분 기준
다이어트 : 고추의 캡사이신은 피하지방 대사를 촉진하여 다이어트에 좋다.
보관온도 : 1~5℃
보관기간 : 7일
보관법 :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한다.
효능 : 감기 예방, 체중 감량 (비타민 C가 풍부하여 감기 예방에 효과적이며 캡사이신 성분은 신진대사를 증진시켜 체중 감량에 좋다.)
영양성분
베타카로틴
419.94㎍ |
니아신
1.09mg |
나트륨
457.20mg |
단백질
2.13g |
당질
7.75g |
레티놀
1.20㎍ |
비타민 A
71.22㎍RE |
비타민 B1
0.05mg |
비타민 B2
0.07mg |
비타민 B6
0.21mg |
비타민 C
0.20mg |
비타민 E
1.46mg |
식이섬유
0.76g |
아연
0.34mg |
엽산
13.84㎍ |
인
46.60mg |
지질
0.47g |
철분
0.34mg |
칼륨
100.78mg |
칼슘
9.90mg |
콜레스테롤
4.70mg |
회분
1.59g |
영양성분 : 1인분 기준
고추장 볶음 소스.
재료
고추장 100g, 쇠고기 30g, 설탕 또는 꿀 30g, 양파 15g, 잣 10g, 참기름 8ml(½T), 소금 약간, 후춧가루 약간
방법
① 쇠고기는 면보나 키친타월을 이용하여 핏물을 제거한 뒤 곱게 다지고 소금과 후춧가루로 양념을 한다.
② 양파는 곱게 다져 물기를 제거한다.
③ 팬에 기름을 두르고 쇠고기와 양파를 볶다가 고추장, 설탕, 참기름을 넣고 약불에서 검붉은 색이 날 때까지 볶는다.
④ ③에 잣을 넣고 섞는다. 기호에 따라 설탕이나 꿀, 참기름을 넣어도 된다.
고추장 100g, 쇠고기 30g, 설탕 또는 꿀 30g, 양파 15g, 잣 10g, 참기름 8ml(½T), 소금 약간, 후춧가루 약간
방법
① 쇠고기는 면보나 키친타월을 이용하여 핏물을 제거한 뒤 곱게 다지고 소금과 후춧가루로 양념을 한다.
② 양파는 곱게 다져 물기를 제거한다.
③ 팬에 기름을 두르고 쇠고기와 양파를 볶다가 고추장, 설탕, 참기름을 넣고 약불에서 검붉은 색이 날 때까지 볶는다.
④ ③에 잣을 넣고 섞는다. 기호에 따라 설탕이나 꿀, 참기름을 넣어도 된다.
고추장 볶음 소스는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 소스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고춧가루를 이용해 만든 액체형 소스다.
다른 나라는 고춧가루를 이용한 식초 소스가 많이 발달했지만 우리는 고춧가루에 찹쌀, 소금, 엿기름, 메줏가루를 섞어서 저장이 가능한 고추장을 만들었다.
고추장에 고춧가루, 간장, 청주를 첨가하면 기존 고추장보다 색과 맛이 더 좋아진다.
오징어볶음이나 제육볶음 등 대부분의 볶음요리에 소스로 사용되며, 비빔밥과 국수 등의 소스로도 활용된다.
발효 소스는 소스를 미리 만들어 냉장고에 3일 정도 숙성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고추장 볶음 소스는 특히 청주로 농도를 맞추고 간은 간장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효 소스는 소스를 미리 만들어 냉장고에 3일 정도 숙성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고추장 볶음 소스는 특히 청주로 농도를 맞추고 간은 간장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운맛을 선호한다면 고춧가루를 추가로 넣으면 된다.
볶을 때는 타지 않도록 약불에서 볶는 것이 좋으며, 장시간 보관이 가능해 여행 시 준비하면 여러 요리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추장 떡볶이 소스.
재료
물엿 30ml(2T), 간장 15ml(1T), 참기름 15ml(1T), 식용유 15ml(1T), 고추장 60g, 고춧가루 15g, 설탕 15g, 다진 마늘 5g, 통깨 5g, 후춧가루 약간
방법
① 설탕과 물엿, 간장, 고추장을 넣고 섞는다.
② 고춧가루와 다진 마늘, 후춧가루, 통깨를 넣고 골고루 섞는다.
③ 식용유와 참기름을 넣고 섞는다.
물엿 30ml(2T), 간장 15ml(1T), 참기름 15ml(1T), 식용유 15ml(1T), 고추장 60g, 고춧가루 15g, 설탕 15g, 다진 마늘 5g, 통깨 5g, 후춧가루 약간
방법
① 설탕과 물엿, 간장, 고추장을 넣고 섞는다.
② 고춧가루와 다진 마늘, 후춧가루, 통깨를 넣고 골고루 섞는다.
③ 식용유와 참기름을 넣고 섞는다.
고추장으로 만든 소스 중에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소스라고 생각된다.
특히 한식 세계화 과제가 뜨고부터는 어떻게 해야 떡볶이가 세계화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가 회자되기도 한다.
고추장 떡볶이 소스를 연구한 경험이 있다.
솔직히 우리가 잘 아는 소스를 연구한다는 것은 어렵다.
소스를 표준화하여 세계 시장에 내놓는 것은 더욱더 조심스럽지만 누군가는 우리나라 고유의 염도, 당도를 정하고 재료에 대한 배합비를 정리하여 세계의 셰프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고조리서에도 떡볶이 양념장이 나오는데 지금과는 다르게 간장양념, 쇠고기, 표고버섯, 당근, 양파, 지단 등이 들어간다.
설 명절 후 남은 떡국 떡이나 가래떡으로 떡볶이를 만들 때는 살짝 데쳐서 사용하면 좋고, 기호에 따라 어묵, 양배추, 깻잎 등을 넣어 요리하는 것도 좋다.
찌개용 매운 소스.
재료
고춧가루 60g, 다진 파 20g, 다진 붉은 생고추 15g, 다진 마늘 10g, 다진 생강 5g, 깨소금 5g, 후춧가루 2g, 간장 30ml(2T), 육수 30ml(2T), 청주 8ml(½T), 참기름 2ml(½t)
방법
① 고춧가루와 간장, 육수, 청주를 골고루 섞는다.
② 파, 마늘, 생강, 붉은 생고추, 깨소금, 후춧가루, 참기름을 넣고 섞는다.
고춧가루 60g, 다진 파 20g, 다진 붉은 생고추 15g, 다진 마늘 10g, 다진 생강 5g, 깨소금 5g, 후춧가루 2g, 간장 30ml(2T), 육수 30ml(2T), 청주 8ml(½T), 참기름 2ml(½t)
방법
① 고춧가루와 간장, 육수, 청주를 골고루 섞는다.
② 파, 마늘, 생강, 붉은 생고추, 깨소금, 후춧가루, 참기름을 넣고 섞는다.
우리나라의 발효 소스는 모든 찌개에 이용될 정도로 만능인데, 그중 찌개용 매운 소스는 고춧가루가 주재료다.
우리나라 찌개는 주재료의 내용물에 따라 고추장이나 된장을 넣어 맛의 변화를 주는 특징이 있다.
같은 재료인데도 요리마다 맛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발효 양념의 비율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면 된다.
서양 소스는 즉석 가열 소스가 많고 몇 가지 모체 소스를 중심으로 수많은 파생 소스가 개발되는 반면, 우리나라의 발효 모체 소스는 즉석에서 만들기가 불가능해 외국인들이 만드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 같다.
우리나라의 요리는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그 수준은 최고라고 자부한다.
고추장 의종류와 방법.
마늘고추장"
하지(夏至) 전에 연한 마늘을 캐서 담근다 하여 여름고추장이라 하며, 가을의 장선고추장과는 약간 다르다.
담그는 방법은
보릿가루를 떡 찌듯이 쪄서 더울 때 잘 풀어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곱게 찧은 마늘을 섞고 하룻밤 쟁였다가 다음날 계핏가루와 꿀을 섞어 항아리에 담고 봉해 둔다.
담근지 4∼5개월 후에는 먹을 수 있는데, 1년쯤 지나면 마늘이 삭고 잘 익어서 빛깔도 곱고 맛도 좋아진다.
찹쌀고추장"
찹쌀고추장은 멥쌀고추장이나 보리 또는 밀가루고추장에 비하여 보드랍고 찰기가 있으며 윤기가 흐른다.
담그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 끓여서 식힌 물에 거즈나 베주머니에 넣은 엿기름을 담가 우러나도록 하고, 찹쌀가루를 끓는 물에 반죽하여 큼직하게 경단처럼 빚어 끓는 물에 삶아 건진다.
삶아 건진 경단이 대충 식었을 때 메주가루와 고춧가루 엿기름물을 농도를 맞추어 붓고 으깨는데, 이 때 찰떡이 엿기름과 메주가루의 효소로 인하여 삭아서 잘 풀어진다.
경단을 삶은 물은 설탕을 넣고 끓여서 고추장 반죽에 약간만 부어 뭉근하게 만든 다음 하루쯤 그대로 둔다.
다음날 소금으로 짠 듯하게 간을 맞추어 잘 섞어서 항아리에 담고 꽃소금을 얹은 후 망사로 싸서 볕이 잘 드는 곳에 놓아 두고 2∼3일에 1번씩 햇볕을 쬐도록 한다.
둘째 방식은 찬물에 엿기름을 담가 우린 다음 고운 체로 받쳐 엿기름물을 만든다.
여기에 찹쌀가루를 풀어 주걱으로 저으면 가루가 삭아서 멀건 물이 되었을 때 불에 올려 놓고 팔팔 끓인다.
끓인물이 한김 나갈 때까지 기다렸다가 고춧가루·메주가루·소금을 넣고 잘 저어 항아리에 담아 꽃소금을 얹고 망사로 싸서 햇볕에 놓고 익힌다.
예전에는 찰떡을 방망이로 저어 으깨느라고 노력을 많이 기울였으나, 지금은 엿기름물을 진하게 풀어서 붓고 삭히는 방법을 터득하여 손쉽게 담그고 있다.
찹쌀가루를 끓는 물에 익반죽하는 것은 찬물로는 반죽이 잘 엉겨붙지 않고 부서지기 때문이다.
고춧가루는 되도록 곱게 빻은 것이라야 고추장이 곱게 된다.
호박고추장'
늙은 호박에 엿기름물을 우려 넣고 달인 뒤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고 담그는 전통고추장이다.
호박이 여무는 11월 무렵에 많이 담그는데, 매콤하면서도 구수하고 달콤한 맛이 나는 별미고추장이다.
엿기름은 물에 타 여러 번 주물러 건더기는 꼭 짜서 버리고 맑은 국물만 걸러 엿기름물을 만든다.
호박은 씨를 빼고 껍질을 벗겨 얄팍하게 썰어 엿기름물을 붓고 뭉근한 불에서 묽은 엿처럼 될 때까지 조린다.
찹쌀가루를 함께 넣어 조리기도 한다.
호박이 조려지면 한김 나간 뒤 메줏가루를 섞어 완전히 식혀 곱게 빻은 고춧가루를 넣고 소금을 조금씩 넣으면서 간을 맞춘다.
고추장이 다 되면 항아리에 담고 햇볕을 쪼이면서 6개월 가량 숙성시킨다.
달달한 맛을 더하기 위해 조청이나 황설탕을 넣기도 한다.
약고추장"
쇠고기를 다져서 볶은 후에 꿀을 넣어 만든 볶은 고추장이다.
밥이나 비빔밥을 먹을 때에 곁들여 먹는 음식으로 여름철 별미이다.
쌈밥은 일반 백성부터 임금님까지 별식으로 즐겨 먹었는데, 조선시대 궁중에서는‘상추쌈차림’이라고 하여 여러 가지 채소와 약고추장, 쌈장, 장조림, 병어감정, 보리새우볶음, 장똑똑이 등을 찬으로 곁들였다.
조리시에는 쇠고기를 다져서 양념하여 국물 없이 볶은 다음 도마에 놓고 다시 한 번 곱게 다진다.
뚝배기에 고추장, 볶은 고기, 물 등을 넣고 한데 섞으면서 볶는다.
걸쭉해지면 꿀을 넣은 다음 잣을 넣고 조금 더 볶는다.
엿고추장"
멥쌀에 엿기름물을 섞어 엿을 고은 뒤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어 담그는 고추장이다.
약고추장,
엿꼬장이라고도 하며 육회, 비빔밥 등의 소스, 국수와 나물 등을 무칠 때 많이 쓴다.
엿기름가루에 물을 붓고 여러 번 주물러 건더기는 꼭 짜서 버리고 맑은 물만 체에 걸러 놓는다.
멥쌀은 깨끗이 씻어 푹 불렸다가 시루에 넣고 고두밥을 쪄서 한 김 나간 뒤에 엿기름물을 부어 삭힌다.
고두밥이 걸쭉하게 삭으면 솥에 담아 엿이 될 때까지 뭉근한 불로 달인다.
엿이 고아지면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고 나무주걱으로 잘 섞어 소금을 조금씩 넣으면서 간을 맞춘다. 고추장을 항아리에 담고 양지바른 곳에서 숙성시킨다.
달콤한 맛과 윤기를 더하기 위해 고추장이 익은 뒤에 물엿, 황설탕, 참기름 등을 섞기도 한다.
전라도 전주와 경상도 진주 지방에서 많이 담근다.
보리고추장"
보리쌀을 갈아 띄운 것에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넣고 소금으로 간하여 담그는 전통고추장이다.
빛깔이 곱고 맛이 구수하여 여름철에 쌈장으로 먹거나 오이, 고추 장아찌 등을 박아 먹는다. 충청도에서 주로 담근다.
음력 2월 무렵 보리쌀을 깨끗이 씻어 말렸다가 거칠게 빻는다.
보리가루에 엿기름물을 섞어 잠시 불렸다가 푹 쪄낸다.
널찍한 그릇에 널어 담고 천을 덮어 하루 정도 훈훈한 곳에 둔다.
이튿날부터는 좀더 두꺼운 이불 등을 덮어 끈적한 진이 나도록 5일 가량 발효시킨다.
적당히 발효되면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넣고 잘 섞어 소금, 간장으로 간을 맞추며 설탕을 넣기도 한다.
항아리에 담아 고운 고춧가루나 웃소금을 뿌린다. 뚜껑에 망사천을 씌워 양지바른 곳에 두고 숙성시킨다.
고추장이 충분히 삭은 뒤에 먹어야 제맛이 난다.
잡냄새를 없애고 새콤한 맛을 내기 위해 소주를 넣어 담그기도 한다.
밀가루고추장"
가장 일반적인 고추장으로서 밀가루풀을 엿기름물과 섞어 삭혀 담그는 것과 밀가루를 푼 엿기름물을 삭힌 뒤 달여 담그는 것이 있다.
앞의 것은 찌개를 끓이거나 장아찌를 박아 먹고 뒤의 것은 달큰한 맛이 강해 조림이나 무침에 넣어 먹으면 좋다. 밀가루에 물을 섞어 풀을 쑤어 60℃ 정도로 식힌다.
엿기름을 따듯한 물에 풀어 잠시 두었다가 주물러 건더기는 짜 버리고 엿기름물은 가라앉힌다.
밀가루풀과 엿기름물을 섞어 30분 정도 삭힌다.
단 맛이 돌면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섞어 고루 저은 뒤 소금을 조금씩 넣어가며 간을 맞춘다.
다른 방법은 엿기름물에 밀가루를 풀어 60℃ 정도의 온도에서 삭혀 약한 불에서 맑은 빛을 띨 때까지 조린 뒤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섞어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다된 고추장은 항아리에 담아 웃소금을 뿌린 뒤 망사천을 씌워 햇볕을 쬐어 숙성한다.
고추장에 엿기름을 넣으면 달큰한 맛이 나고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고구마고추장"
삶은 고구마에 엿기름물을 섞어 삭힌 뒤 달여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섞어 담그는 고추장이다.
전통고추장의 하나로서 경상도 산간지방의 화전민들이 담가 먹었다.
엿기름가루를 물에 넣고 조물조물 주물러 건더기는 꼭 짜 버리고 맑은 국물을 걸러 엿기름물을 만든다.
고구마는 껍질을 벗겨 푹 삶는다.
고구마가 뜨거울 때 곱게 으깨 30℃ 정도로 식혀 준비해둔 엿기름물을 붓는다. 뚜껑을 덮어 따뜻한 곳에 놓고 12시간 가량 삭힌다.
삭힌 고구마를 솥에 넣고 나무주걱으로 저으면서 뭉근한 불로 끓여 묽은 엿이 되도록 조린다.
뜨거운 김이 나간 뒤 메줏가루와 곱게 빻은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을 조금씩 넣어 간을 맞춘다. 망사천을 씌워 양지바른 곳에서 햇볕을 쪼이며 숙성시킨다.
무거리고추장"
메주가루를 만들고 남은 찌끼인 무거리와 보릿가루, 엿기름가루, 고춧가루를 섞어 담그는 전통고추장으로서 새콤달콤한 맛이 난다.
보리를 가루내어 묽게 죽을 쑤고 메주 무거리를 섞어 반죽을 한 뒤 엿기름가루를 넣어 하루 정도 삭힌다.
무거리 삭힌 것에 거칠게 빻은 고춧가루를 넣고 소금을 조금씩 넣어 저어가며 간을 맞춘다.
고추장을 항아리에 눌러 담고 4~5일 정도 익히면 먹을 수 있다.
고추장을 풀어 고기, 두부, 파, 마늘 등을 넣고 끓이는 국, 찌개나 나물 무침, 생선 조림용으로 많이 쓴다.
떡메주고추장"
떡메주가루와 찹쌀떡, 고춧가루를 넣고 담그는 전통고추장이다.
전라도 순천 지방에서 많이 담그며 빛깔이 곱고 독특한 향과 감칠맛이 난다.
떡메주는 메주콩과 쌀가루를 쪄서 메주를 빚어 발효시킨 것으로 8~9월에 만들어 30~40일 동안 발효시킨다.
메주가 발효되면 곱게 빻아 말려서 잡냄새를 없앤다.
고추장은 10월부터 이듬해 2월에 걸쳐 담그는데, 추울 때 담가야 좋은 맛을 낼 수 있다.
고추장을 담그기 전날 물을 끓여 떡메줏가루를 풀어 둔다.
찹쌀은 6시간 이상 불려서 쪄낸 뒤 절구에 넣고 찧어 인절미를 만든다.
인절미에 준비해둔 메줏가루 물을 조금씩 넣어 걸죽해질 때까지 삭힌다.
인절미가 삭으면 곱게 빻은 고춧가루를 넣고 나무주걱으로 저어가며 2~3일에 걸쳐 소금과 간장을 조금씩 넣어 간을 맞춘다.
완성된 고추장은 항아리에 담아 6개월 가량 양지바른 곳에서 숙성시킨다.
대추찹쌀고추장"
찹쌀에 엿기름물을 넣어 삭힌 것에 대추를 넣고 달인 뒤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섞어 담그는 과일고추장이다.
대추가 들어가 영양가가 높고 달큰한 맛과 향이 난다.
찹쌀은 곱게 빻아 체에 내려 놓는다.
엿기름은 물에 담가 불렸다가 여러 번 주물러 건더기는 꼭 짜서 버리고 맑은 국물만 체에 걸러 놓는다.
대추는 깨끗이 씻어 1~2 시간 동안 푹 삶아 씨와 껍질만 남도록 체에 으깨어 거른다.
엿기름물에 찹쌀가루를 넣어 잘 푼 뒤 불에 올려 따뜻하게(약 45℃) 데워지면 불을 끄고 약 30분 동안 삭힌다.
찹쌀풀이 삭으면 대추 걸러낸 것을 넣고 조린다.
여기에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어 잘 섞은 뒤 소금을 조금씩 넣어가며 간을 맞춘다.
항아리에 담고 뚜껑에 망사천을 씌워 양지바른 곳에서 수 개월 동안 숙성시킨다.
찹쌀가루로 경단을 만들어 대추와 엿기름 달인 물에 치대어 풀어 넣기도 한다.
정지뜰고추장"
강원도 원주의 정지뜰 지역에서 만들어 먹었던 고추장으로 강원도 원주의 토속음식이다.
정지뜰고추장은 조선시대 강원 감영에서 해마다 한번씩 궁중에 진상되어 수라상에 오른 것이다.
원주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농산물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재래식 방법으로 고추장을 제조하여 그윽한 향기와 특유의 감칠맛이 난다.
정지뜰은 넓은 뜰 한가운데 봉천냇물이 흐르고 서쪽에는 백운산이 남북으로, 동쪽에는 치악산이 남북으로 위치해 있다.
내리쬐는 태양광선과 좋은 토질, 우거진 송림에서 풍기는 냄새와 송홧가루의 영향으로 이곳에서 만드는 고추장은 독특한 맛이 난다.
예로부터 원주 사람들은 먼 곳에서 온 손님에게 토산물인 정지뜰고추장을 선사했다고 하며, '다른 지역에서 아무리 잘 담근 고추장라도 이곳에서 아무렇게나 담근 고추장 맛을 따르지 못한다'는 말이 있었다고 한다.
요리법 정지뜰고추장의 재료는 메주가루, 찹쌀가루, 고춧가루, 엿기름가루, 소금, 물 등이다. 1) 찹쌀가루에 물을 부어 반죽하고 떡을 빚은 후 가마솥에 물을 붓고 삶는다.
2) 삶은 찹쌀가루 반죽을 방망이로 치대면서 고춧가루, 메주가루, 엿기름가루, 소금을 넣고 골고루 섞는다.
3) 고추장을 항아리에 담고 1년 이상 숙성시킨다. 팥고추장" 콩, 팥, 흰무리로 메주를 만들어 담그는 전통 고추장이다.
멥쌀은 가루로 빻아 흰무리를 쪄 놓는다.
팥과 콩은 불순물을 가려내고 깨끗이 씻어 푹 삶은 뒤 곱게 찧는다.
흰무리, 팥과 콩 찧은 것을 섞은 뒤 주먹 크기 만큼씩 떼어 동글납작하게 메주를 빚고 가운데 구멍을 뚫어 햇볕에 말린다.
메주 표면이 마르면 서로 닿지 않게 하여 따뜻한 곳에 둔다.
일주일 정도 지나 메주를 꺼내 햇볕에 바짝 말린 뒤 곱게 빻아 메줏가루를 만든다.
찹쌀을 깨끗이 씻어 된 듯하게 죽을 쑤고 한 김 나가면 메줏가루를 섞어 하룻밤 둔다.
이튿날 고춧가루를 넣고 고루 섞으면서 소금을 조금씩 넣어 간을 맞춘다.
고추장을 항아리에 담고 웃소금을 뿌린 뒤 뚜껑에 망사천을 씌워 양지바른 곳에서 2~3개월 이상 숙성시킨다.
수수고추장"
수숫가루로 죽을 쑤어 메줏가루, 엿기름가루, 고춧가루를 섞어 담그는 전통고추장이다.
수수는 곱게 빻아 가루를 내고 소금을 물에 풀어 맑은 웃물만 떠놓는다.
소금물에 수숫가루를 풀어 된 듯하게 죽을 쑨다.
수수죽이 따뜻할 때 메줏가루와 엿기름가루를 섞어 하루 정도 삭힌다.
죽이 삭으면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을 조금씩 넣어 간을 맞춘 뒤 항아리에 담고 웃소금을 뿌린다.
항아리 뚜껑에 망사천을 씌워 낮이면 햇볕을 쪼이고 저녁에는 두껑을 닫아 숙성시킨다.
하지(夏至) 전에 연한 마늘을 캐서 담근다 하여 여름고추장이라 하며, 가을의 장선고추장과는 약간 다르다.
담그는 방법은
보릿가루를 떡 찌듯이 쪄서 더울 때 잘 풀어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곱게 찧은 마늘을 섞고 하룻밤 쟁였다가 다음날 계핏가루와 꿀을 섞어 항아리에 담고 봉해 둔다.
담근지 4∼5개월 후에는 먹을 수 있는데, 1년쯤 지나면 마늘이 삭고 잘 익어서 빛깔도 곱고 맛도 좋아진다.
찹쌀고추장"
찹쌀고추장은 멥쌀고추장이나 보리 또는 밀가루고추장에 비하여 보드랍고 찰기가 있으며 윤기가 흐른다.
담그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 끓여서 식힌 물에 거즈나 베주머니에 넣은 엿기름을 담가 우러나도록 하고, 찹쌀가루를 끓는 물에 반죽하여 큼직하게 경단처럼 빚어 끓는 물에 삶아 건진다.
삶아 건진 경단이 대충 식었을 때 메주가루와 고춧가루 엿기름물을 농도를 맞추어 붓고 으깨는데, 이 때 찰떡이 엿기름과 메주가루의 효소로 인하여 삭아서 잘 풀어진다.
경단을 삶은 물은 설탕을 넣고 끓여서 고추장 반죽에 약간만 부어 뭉근하게 만든 다음 하루쯤 그대로 둔다.
다음날 소금으로 짠 듯하게 간을 맞추어 잘 섞어서 항아리에 담고 꽃소금을 얹은 후 망사로 싸서 볕이 잘 드는 곳에 놓아 두고 2∼3일에 1번씩 햇볕을 쬐도록 한다.
둘째 방식은 찬물에 엿기름을 담가 우린 다음 고운 체로 받쳐 엿기름물을 만든다.
여기에 찹쌀가루를 풀어 주걱으로 저으면 가루가 삭아서 멀건 물이 되었을 때 불에 올려 놓고 팔팔 끓인다.
끓인물이 한김 나갈 때까지 기다렸다가 고춧가루·메주가루·소금을 넣고 잘 저어 항아리에 담아 꽃소금을 얹고 망사로 싸서 햇볕에 놓고 익힌다.
예전에는 찰떡을 방망이로 저어 으깨느라고 노력을 많이 기울였으나, 지금은 엿기름물을 진하게 풀어서 붓고 삭히는 방법을 터득하여 손쉽게 담그고 있다.
찹쌀가루를 끓는 물에 익반죽하는 것은 찬물로는 반죽이 잘 엉겨붙지 않고 부서지기 때문이다.
고춧가루는 되도록 곱게 빻은 것이라야 고추장이 곱게 된다.
호박고추장'
늙은 호박에 엿기름물을 우려 넣고 달인 뒤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고 담그는 전통고추장이다.
호박이 여무는 11월 무렵에 많이 담그는데, 매콤하면서도 구수하고 달콤한 맛이 나는 별미고추장이다.
엿기름은 물에 타 여러 번 주물러 건더기는 꼭 짜서 버리고 맑은 국물만 걸러 엿기름물을 만든다.
호박은 씨를 빼고 껍질을 벗겨 얄팍하게 썰어 엿기름물을 붓고 뭉근한 불에서 묽은 엿처럼 될 때까지 조린다.
찹쌀가루를 함께 넣어 조리기도 한다.
호박이 조려지면 한김 나간 뒤 메줏가루를 섞어 완전히 식혀 곱게 빻은 고춧가루를 넣고 소금을 조금씩 넣으면서 간을 맞춘다.
고추장이 다 되면 항아리에 담고 햇볕을 쪼이면서 6개월 가량 숙성시킨다.
달달한 맛을 더하기 위해 조청이나 황설탕을 넣기도 한다.
약고추장"
쇠고기를 다져서 볶은 후에 꿀을 넣어 만든 볶은 고추장이다.
밥이나 비빔밥을 먹을 때에 곁들여 먹는 음식으로 여름철 별미이다.
쌈밥은 일반 백성부터 임금님까지 별식으로 즐겨 먹었는데, 조선시대 궁중에서는‘상추쌈차림’이라고 하여 여러 가지 채소와 약고추장, 쌈장, 장조림, 병어감정, 보리새우볶음, 장똑똑이 등을 찬으로 곁들였다.
조리시에는 쇠고기를 다져서 양념하여 국물 없이 볶은 다음 도마에 놓고 다시 한 번 곱게 다진다.
뚝배기에 고추장, 볶은 고기, 물 등을 넣고 한데 섞으면서 볶는다.
걸쭉해지면 꿀을 넣은 다음 잣을 넣고 조금 더 볶는다.
엿고추장"
멥쌀에 엿기름물을 섞어 엿을 고은 뒤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어 담그는 고추장이다.
약고추장,
엿꼬장이라고도 하며 육회, 비빔밥 등의 소스, 국수와 나물 등을 무칠 때 많이 쓴다.
엿기름가루에 물을 붓고 여러 번 주물러 건더기는 꼭 짜서 버리고 맑은 물만 체에 걸러 놓는다.
멥쌀은 깨끗이 씻어 푹 불렸다가 시루에 넣고 고두밥을 쪄서 한 김 나간 뒤에 엿기름물을 부어 삭힌다.
고두밥이 걸쭉하게 삭으면 솥에 담아 엿이 될 때까지 뭉근한 불로 달인다.
엿이 고아지면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고 나무주걱으로 잘 섞어 소금을 조금씩 넣으면서 간을 맞춘다. 고추장을 항아리에 담고 양지바른 곳에서 숙성시킨다.
달콤한 맛과 윤기를 더하기 위해 고추장이 익은 뒤에 물엿, 황설탕, 참기름 등을 섞기도 한다.
전라도 전주와 경상도 진주 지방에서 많이 담근다.
보리고추장"
보리쌀을 갈아 띄운 것에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넣고 소금으로 간하여 담그는 전통고추장이다.
빛깔이 곱고 맛이 구수하여 여름철에 쌈장으로 먹거나 오이, 고추 장아찌 등을 박아 먹는다. 충청도에서 주로 담근다.
음력 2월 무렵 보리쌀을 깨끗이 씻어 말렸다가 거칠게 빻는다.
보리가루에 엿기름물을 섞어 잠시 불렸다가 푹 쪄낸다.
널찍한 그릇에 널어 담고 천을 덮어 하루 정도 훈훈한 곳에 둔다.
이튿날부터는 좀더 두꺼운 이불 등을 덮어 끈적한 진이 나도록 5일 가량 발효시킨다.
적당히 발효되면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넣고 잘 섞어 소금, 간장으로 간을 맞추며 설탕을 넣기도 한다.
항아리에 담아 고운 고춧가루나 웃소금을 뿌린다. 뚜껑에 망사천을 씌워 양지바른 곳에 두고 숙성시킨다.
고추장이 충분히 삭은 뒤에 먹어야 제맛이 난다.
잡냄새를 없애고 새콤한 맛을 내기 위해 소주를 넣어 담그기도 한다.
밀가루고추장"
가장 일반적인 고추장으로서 밀가루풀을 엿기름물과 섞어 삭혀 담그는 것과 밀가루를 푼 엿기름물을 삭힌 뒤 달여 담그는 것이 있다.
앞의 것은 찌개를 끓이거나 장아찌를 박아 먹고 뒤의 것은 달큰한 맛이 강해 조림이나 무침에 넣어 먹으면 좋다. 밀가루에 물을 섞어 풀을 쑤어 60℃ 정도로 식힌다.
엿기름을 따듯한 물에 풀어 잠시 두었다가 주물러 건더기는 짜 버리고 엿기름물은 가라앉힌다.
밀가루풀과 엿기름물을 섞어 30분 정도 삭힌다.
단 맛이 돌면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섞어 고루 저은 뒤 소금을 조금씩 넣어가며 간을 맞춘다.
다른 방법은 엿기름물에 밀가루를 풀어 60℃ 정도의 온도에서 삭혀 약한 불에서 맑은 빛을 띨 때까지 조린 뒤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섞어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다된 고추장은 항아리에 담아 웃소금을 뿌린 뒤 망사천을 씌워 햇볕을 쬐어 숙성한다.
고추장에 엿기름을 넣으면 달큰한 맛이 나고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고구마고추장"
삶은 고구마에 엿기름물을 섞어 삭힌 뒤 달여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섞어 담그는 고추장이다.
전통고추장의 하나로서 경상도 산간지방의 화전민들이 담가 먹었다.
엿기름가루를 물에 넣고 조물조물 주물러 건더기는 꼭 짜 버리고 맑은 국물을 걸러 엿기름물을 만든다.
고구마는 껍질을 벗겨 푹 삶는다.
고구마가 뜨거울 때 곱게 으깨 30℃ 정도로 식혀 준비해둔 엿기름물을 붓는다. 뚜껑을 덮어 따뜻한 곳에 놓고 12시간 가량 삭힌다.
삭힌 고구마를 솥에 넣고 나무주걱으로 저으면서 뭉근한 불로 끓여 묽은 엿이 되도록 조린다.
뜨거운 김이 나간 뒤 메줏가루와 곱게 빻은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을 조금씩 넣어 간을 맞춘다. 망사천을 씌워 양지바른 곳에서 햇볕을 쪼이며 숙성시킨다.
무거리고추장"
메주가루를 만들고 남은 찌끼인 무거리와 보릿가루, 엿기름가루, 고춧가루를 섞어 담그는 전통고추장으로서 새콤달콤한 맛이 난다.
보리를 가루내어 묽게 죽을 쑤고 메주 무거리를 섞어 반죽을 한 뒤 엿기름가루를 넣어 하루 정도 삭힌다.
무거리 삭힌 것에 거칠게 빻은 고춧가루를 넣고 소금을 조금씩 넣어 저어가며 간을 맞춘다.
고추장을 항아리에 눌러 담고 4~5일 정도 익히면 먹을 수 있다.
고추장을 풀어 고기, 두부, 파, 마늘 등을 넣고 끓이는 국, 찌개나 나물 무침, 생선 조림용으로 많이 쓴다.
떡메주고추장"
떡메주가루와 찹쌀떡, 고춧가루를 넣고 담그는 전통고추장이다.
전라도 순천 지방에서 많이 담그며 빛깔이 곱고 독특한 향과 감칠맛이 난다.
떡메주는 메주콩과 쌀가루를 쪄서 메주를 빚어 발효시킨 것으로 8~9월에 만들어 30~40일 동안 발효시킨다.
메주가 발효되면 곱게 빻아 말려서 잡냄새를 없앤다.
고추장은 10월부터 이듬해 2월에 걸쳐 담그는데, 추울 때 담가야 좋은 맛을 낼 수 있다.
고추장을 담그기 전날 물을 끓여 떡메줏가루를 풀어 둔다.
찹쌀은 6시간 이상 불려서 쪄낸 뒤 절구에 넣고 찧어 인절미를 만든다.
인절미에 준비해둔 메줏가루 물을 조금씩 넣어 걸죽해질 때까지 삭힌다.
인절미가 삭으면 곱게 빻은 고춧가루를 넣고 나무주걱으로 저어가며 2~3일에 걸쳐 소금과 간장을 조금씩 넣어 간을 맞춘다.
완성된 고추장은 항아리에 담아 6개월 가량 양지바른 곳에서 숙성시킨다.
대추찹쌀고추장"
찹쌀에 엿기름물을 넣어 삭힌 것에 대추를 넣고 달인 뒤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섞어 담그는 과일고추장이다.
대추가 들어가 영양가가 높고 달큰한 맛과 향이 난다.
찹쌀은 곱게 빻아 체에 내려 놓는다.
엿기름은 물에 담가 불렸다가 여러 번 주물러 건더기는 꼭 짜서 버리고 맑은 국물만 체에 걸러 놓는다.
대추는 깨끗이 씻어 1~2 시간 동안 푹 삶아 씨와 껍질만 남도록 체에 으깨어 거른다.
엿기름물에 찹쌀가루를 넣어 잘 푼 뒤 불에 올려 따뜻하게(약 45℃) 데워지면 불을 끄고 약 30분 동안 삭힌다.
찹쌀풀이 삭으면 대추 걸러낸 것을 넣고 조린다.
여기에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어 잘 섞은 뒤 소금을 조금씩 넣어가며 간을 맞춘다.
항아리에 담고 뚜껑에 망사천을 씌워 양지바른 곳에서 수 개월 동안 숙성시킨다.
찹쌀가루로 경단을 만들어 대추와 엿기름 달인 물에 치대어 풀어 넣기도 한다.
정지뜰고추장"
강원도 원주의 정지뜰 지역에서 만들어 먹었던 고추장으로 강원도 원주의 토속음식이다.
정지뜰고추장은 조선시대 강원 감영에서 해마다 한번씩 궁중에 진상되어 수라상에 오른 것이다.
원주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농산물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재래식 방법으로 고추장을 제조하여 그윽한 향기와 특유의 감칠맛이 난다.
정지뜰은 넓은 뜰 한가운데 봉천냇물이 흐르고 서쪽에는 백운산이 남북으로, 동쪽에는 치악산이 남북으로 위치해 있다.
내리쬐는 태양광선과 좋은 토질, 우거진 송림에서 풍기는 냄새와 송홧가루의 영향으로 이곳에서 만드는 고추장은 독특한 맛이 난다.
예로부터 원주 사람들은 먼 곳에서 온 손님에게 토산물인 정지뜰고추장을 선사했다고 하며, '다른 지역에서 아무리 잘 담근 고추장라도 이곳에서 아무렇게나 담근 고추장 맛을 따르지 못한다'는 말이 있었다고 한다.
요리법 정지뜰고추장의 재료는 메주가루, 찹쌀가루, 고춧가루, 엿기름가루, 소금, 물 등이다. 1) 찹쌀가루에 물을 부어 반죽하고 떡을 빚은 후 가마솥에 물을 붓고 삶는다.
2) 삶은 찹쌀가루 반죽을 방망이로 치대면서 고춧가루, 메주가루, 엿기름가루, 소금을 넣고 골고루 섞는다.
3) 고추장을 항아리에 담고 1년 이상 숙성시킨다. 팥고추장" 콩, 팥, 흰무리로 메주를 만들어 담그는 전통 고추장이다.
멥쌀은 가루로 빻아 흰무리를 쪄 놓는다.
팥과 콩은 불순물을 가려내고 깨끗이 씻어 푹 삶은 뒤 곱게 찧는다.
흰무리, 팥과 콩 찧은 것을 섞은 뒤 주먹 크기 만큼씩 떼어 동글납작하게 메주를 빚고 가운데 구멍을 뚫어 햇볕에 말린다.
메주 표면이 마르면 서로 닿지 않게 하여 따뜻한 곳에 둔다.
일주일 정도 지나 메주를 꺼내 햇볕에 바짝 말린 뒤 곱게 빻아 메줏가루를 만든다.
찹쌀을 깨끗이 씻어 된 듯하게 죽을 쑤고 한 김 나가면 메줏가루를 섞어 하룻밤 둔다.
이튿날 고춧가루를 넣고 고루 섞으면서 소금을 조금씩 넣어 간을 맞춘다.
고추장을 항아리에 담고 웃소금을 뿌린 뒤 뚜껑에 망사천을 씌워 양지바른 곳에서 2~3개월 이상 숙성시킨다.
수수고추장"
수숫가루로 죽을 쑤어 메줏가루, 엿기름가루, 고춧가루를 섞어 담그는 전통고추장이다.
수수는 곱게 빻아 가루를 내고 소금을 물에 풀어 맑은 웃물만 떠놓는다.
소금물에 수숫가루를 풀어 된 듯하게 죽을 쑨다.
수수죽이 따뜻할 때 메줏가루와 엿기름가루를 섞어 하루 정도 삭힌다.
죽이 삭으면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을 조금씩 넣어 간을 맞춘 뒤 항아리에 담고 웃소금을 뿌린다.
항아리 뚜껑에 망사천을 씌워 낮이면 햇볕을 쪼이고 저녁에는 두껑을 닫아 숙성시킨다.
고추장.kochujang, hot pepper soy paste
고추장kochujang, hot pepper soy paste
정의"
고추장은 제조방법에 따라 재래식과 개량식으로 구분된다.
재래식 고추장은 발효과정에서 누룩곰팡이(Aspergillus)·거미줄곰팡이(Rhizopus)·털곰팡이(Mucor) 등의 야생곰팡이와 고초균(Bacillus subtillis) 등의 야생세균을 이용하며, 개량식 고추장은 황국균(黃麴菌, Aspergillus oryzae)을 순수 배양한 코지(Koji)를 이용해서 만든다.
메줏가루에 질게 지은 밥이나 떡가루, 또는 되게 쑨 죽을 버무리고 고춧가루와 소금을 섞어서 만든 장.
내용"
우리나라 고유의 특수한 장(醬) 제품으로 간장이나 된장보다는 늦게 개발되었다.
간장이나 된장은 상고시대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측되나, 고추장은 고추의 도입 이후에 개발된 것이다.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에는 고추가 일본에서 도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 말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된 최초의 문헌은
1760년경에 간행된 『증보산림경제』이므로 고추의 재배파급은 급속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증보산림경제』에는 메주를 가루로 만들어 체로 친 것 1말, 고춧가루 3홉, 찹쌀가루 1되를 넣고 좋은 간장으로 개어서 담근다고 되어 있다.
이것은 대체로 오늘날과 같은 것이다.
지금의 고추장보다 고춧가루를 훨씬 적게 쓰고 있다.
찹쌀이나 멥쌀 등 탄수화물 식품이 주가 되는 대신 메줏가루가 주가 되어서 마치 막장과 같은 것을 연상하게 한다.
간장으로 고추장의 간을 맞춘 점도 지금과는 다른 점이다.
고추장에 참깨를 볶아서 넣거나 별법으로 콩 1말로 두부를 만들어 물기를 짠 다음에 고춧가루·소금물 등을 섞어서 담그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고, 말린 생선 조각이나 다시마·미역을 넣어서 맛을 더욱 구수하게 하는 법, 콩 1말을 볶은 다음 껍질을 벗겨 다시 끓여서 즙을 빼내고 더운 방에서 3일간 띄운 다음 볶은 콩가루 3말을 섞어 찧어서 고춧가루 3홉과 소금물로 버무려 햇볕에 익혀 만드는 급조 고추장법 등이 기록되어 있어서, 고추장 제조법이 다양하게 발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규합총서』에는 삶은 콩 1말과 쌀 2되로 흰무리를 쪄서 함께 찧어 메주를 만든 다음에 띄워서 가루를 내고, 여기에 소금 4되를 좋은 물에 타서 버무린다.
그 다음에 고춧가루 5∼7홉을 섞고 찹쌀 2되로 밥을 지어 한데 섞어 만든다고 되어 있다.
『증보산림경제』에 수록된 제조법보다 고춧가루의 비례가 많아지고 메주를 만들 때부터 탄수화물 식품인 쌀을 보강하고 있어 제조법이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보통 찹쌀 5되를 가루로 내어 경단처럼 반죽하여 큼직하고 얄팍하게 빚어 끓는 물에 삶아내고, 2되 정도의 메줏가루와 2홉의 엿기름을 체에 밭인 물을 붓고 농도를 맞추어 잘 으깬다. 이 둘을 함께 섞은 다음 고춧가루 3되를 넣어 색을 조절하고 소금으로 간을 하여 만든다. 고추장은 재료와 만드는 법이 지방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재료나 만드는 법에 따라서는 보리고추장· 수수고추장· 무거리고추장· 약고추장· 팥고추장· 고구마고추장이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해남· 순창· 진주의 고추장이 유명하다.
특히 순창의 고추장이 유명하다.
보리고추장은
충청도지방에서 많이 담근다.
보리쌀을 깨끗이 씻어 가루로 빻아 시루에 찐 다음에 끓여서 식힌 물을 이것에 섞고 다시 시루에 넣어 더운 방에 놓고 띄운다.
하얗게 곰팡이가 폈을 때에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하여 항아리에 담는다. 분량은 보리 2말에 고추 10근 정도이다.
보리고추장은 엿기름을 쓰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수수고추장은
소금물과 수숫가루로 죽을 쑤고 여기에 메줏가루·엿기름가루·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담근다.
팥고추장은
멥쌀을 흰무리 찌고, 콩과 팥은 푹 삶아 절구에서 응어리가 없도록 찧어 반대기를 만들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고추장을 담근다.
무거리고추장은
메줏가루를 만들고 남은 무거리와 보릿가루·엿기름가루·고춧가루를 섞어 담그는 것으로, 주로 찌개고추장으로 쓰인다.
맛이 새큼하고 달다.
약고추장은
고기를 곱게 다져 갖은 양념을 하여 번철에 기름을 두르고 볶다가 고추장·파·생강·설탕을 넣고 볶아 만든다.
식은 뒤에 잣을 섞으면 더욱 좋다.
고구마고추장은
삶은 고구마에 엿기름을 넣어 삭힌 것을 삼베자루에 넣어 짜서, 이 물을 엿 달이듯이 졸여서 고춧가루·메줏가루·소금을 넣고 만든다.
주로 경상도지방의 화전민이 담근다.
고추장은 찹쌀·누룩·고춧가루로 만든다.
누룩은 멥쌀 1말에 콩 8되의 비율로 만들고, 쌀은 가루로 만들며 콩은 2일간 찬물에 담갔다가 시루에 콩과 쌀가루를 켜켜로 놓아 쪄낸다.
이것을 절구에 찧어 주먹만하게 빚고 가운데 구멍을 내어 바람이 잘 통하는 응달에 1개월간 매달아 둔다.
10여 일이 지나면 노랗게 곰팡이가 피었다가 20일쯤 지나면 자연히 본색으로 된다.
이것을 잘게 쪼개어 밤이슬을 맞히면서 말려 가루로 만들고, 다시 5일 동안 건조시킨다.
찹쌀에 고춧가루, 엿기름, 메줏가루, 소금 등을 섞어 만드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발효식품으로 영양이 풍부하며,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capsaicin)이 식욕을 돋우고 소화를 촉진한다.
고추장은
쌀의 전분질이 분해되어 생긴 단맛, 콩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생긴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 등이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생성된 유기산의 신맛과 미량의 알코올이 생성하는 에스테르(ester)의 향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복합 조미료이다.
고추장은
대개 날씨가 더워지기 전인 3~4월경에 담그게 되는데,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찹쌀고추장· 멥쌀고추장· 보리고추장· 밀가루고추장· 고구마고추장· 수수고추장· 팥고추장 등으로 나누어진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음식의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고추장을 이용하였는데, 찹쌀고추장은 초고추장이나 음식의 색을 내는 용도로 이용하였고, 밀가루고추장은 찌개나 국을 끓일 때에, 보리고추장은 여름에 쌈장용으로 만들어 먹었다.
현대에는 재래식 고추장보다는 밀가루에 황국균을 배양한 코지(Koji)에 고춧가루·소금·물엿 등을 섞어 만드는 개량식 고추장을 주로 이용한다.
고추장을 만들기 하루 전날에 냉수에 풀었다가 다음날 찹쌀떡과 고춧가루를 넣어 버무린다. 분량은 찹쌀 1말에 누룩 2되반, 고춧가루 4되, 간장 5홉, 소금 2홉의 비율이다. 보통 가을에 메주를 만들어 저장하였다가 봄에 담근다.
고추장은
찌개·매운탕·생채·조림의 양념이나 회·강회의 양념으로 쓰인다.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주므로 생선조림이나 찌개에서는 필수적인 양념이다.
뿐만 아니라, 약고추장과 같이 고기를 넣고 볶은 것은 밑반찬으로도 애용된다.
여러 맛을 내는 복합 조미료" 고추장은 간장·된장과 함께 우리 고유의 발효 식품으로, 탄수화물의 가수분해로 생긴 단맛과 콩단백 아미노산의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이 잘 조화를 이룬 복합 조미료이자 기호 식품이다.
우리나라에서 고추장을 담그기 시작한 것은 1700년대 후반으로, 1800년대 초의 『규합총서』에는 순창 고추장과 천안 고추장이 팔도의 명물 중 하나로 소개되어 있다.
『월여농가』(1861년)에서는 고추장을 ‘번초장’이라 하였다.
『증보산림경제』(1765년)에는 “콩으로 담근 말장(末醬)가루 한 말에 고춧가루 세 홉, 찹쌀가루 한 되의 세 가지 맛을 취하여 좋은 청장(재래식 간장(국간장))으로 침장한 뒤 햇볕에 숙성시킨다”고 씌어 있어 지금과 비슷한 고추장을 담가 먹었음을 알 수 있다.
재래식 고추장의 원료는 메줏가루, 고춧가루, 곡물가루, 소금이다.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쪄서 메줏가루를 섞어 당화되어 묽어지면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숙성시킨다.
지방에 따라 찹쌀 대신 멥쌀, 밀, 보리로 담그기도 했다.
재래식 고추장 만들기"
고추장을 만드는 방법은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재래식 고추장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만든다. 대개 간장을 담그고 나서 더워지기 전인 3~4월에 담근다.
어떤 곡물로 담그느냐에 따라 찹쌀고추장, 밀가루고추장, 보리고추장, 고구마고추장 등으로 나뉜다.
고추장용 메주 만들기
고추장용 메주는 콩으로만 만드는 된장용 메주와 달리 콩과 쌀가루를 섞어 만드는데 다른 메주보다 곰팡이가 덜 피게 말려야 퀴퀴한 냄새가 나지 않는다.
고추장용 메주는 쌀가루에 물을 대강 섞어 흰 무리떡으로 찐 다음 무르게 삶거나 쪄낸 콩과 함께 시루에 넣고 쳐서 주먹만 한 크기로 둥근 모양이나 도넛 모양 메주를 만들어 서늘한 곳에서 말린다.
순창에서는 삶은 콩을 시루에 깔고 쌀가루를 그 위에 층층으로 쌓아서 쪄낸 다음 절구에 쳐서 둥글게 빚어 고추장용 메주를 만든다.
메주를 한 달 가량 띄우면 고초균과 효모가 잘 자라면서 표면이 노랗게 되고 갈라보면 속은 노르스름하거나 하얗다.
고초균은 고추장의 전분질과 단백질을 분해하여 잘 익을 수 있게 하고, 효모는 탄수화물로부터 주정(ethanol)과 함께 향기성분을 만들어 낸다.
고추장용 메주가 잘 숙성되면 다시 작게 쪼개어 3~4일 정도 햇볕에 바짝 말려 가루로 빻은 뒤, 고운 체로 쳐서 다시 3~4일간 햇볕에 말린다.
이렇게 만들어진 메줏가루를 항아리에 넣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 두었다가 다음해 봄에 고추장을 담글 때에 사용한다.
고추장용 메주는 표면에 푸른곰팡이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고추장용 메주를 봄이나 가을에 만드는 것과 달리 순창에서는 여름에 만드는데, 이는 고추장의 단맛을 내는 곰팡이가 기온이 높을수록 더 많이 번식하기 때문이다.
순창고추장은 음력 7월에 메주를 띄워 음력 11월 중순에서 12월 중순 사이에 고추장을 만들어 저온에서 숙성시키기 때문에 다른 고추장에 비해 당화되는 속도가 느리고 젖산균의 생성이 더뎌, 신맛이 나지 않고 감칠맛이 난다.
고추장 담그기 재래식 고추장은 날이 더워지기 전인 3~4월에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담근다.
1) 찹쌀을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갔다가 건져 물기를 뺀 다음 가루로 빻는다.
2) 엿기름은 끓여서 식힌 물에 하룻밤 담가 불린 후에 고운 체에 걸러 웃물만 가라앉혀 사용한다.
3) 냄비에 엿기름의 웃물을 조심스럽게 따라 붓고 찹쌀가루를 곱게 풀어 약한 불에서 찹쌀 풀을 쑨 다음 불을 끄고 따뜻하게 두어 삭힌다.
찹쌀 풀 대신 찹쌀로 밥을 짓거나 익반죽한 찹쌀가루를 경단모양으로 빚어 삶은 후에 엿기름물에 잘 풀어지도록 나무주걱으로 조금씩 으깨어 만들기도 한다.
4) 넓은 그릇에 찹쌀 풀을 붓고 뜨거울 때에 메줏가루를 넣어 고루 섞은 다음, 한 김 나가면 고춧가루를 섞어준다.
고춧가루 양이 부족하면 고추장의 색이 검게 변할 수 있다.
5) 하루 정도 지난 후에 소금으로 약간 짜게 간을 맞춘다.
6) 장을 보관할 항아리는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고추장을 담고 그 위에 소금을 넉넉히 얹고 망으로 덮은 후에 양지 바른 곳에 두어 숙성시킨다.
이렇게 만든 고추장은 하루에 20번 정도 나무주걱으로 저으면서 삭히는데, 이런 과정을 한 달 정도 반복하면 고추장이 부풀어 끓어오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간을 고루 맞출 수 있으며, 고추장이 잘 숙성된다.
고추장이 부풀어 끓어오르는 이유는 효모가 주정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고추장용 항아리는 입구가 넓은 것이 햇볕을 많이 쬘 수 있어 좋다. 입구가 좁을수록 햇볕을 적게 쐬어 장의 색이 검고 맛이 나빠지며 흰색의 산막효모가 번식하여 백태가 낄 수 있기 때문이다.
고추장을 담은 항아리는 2~3일 간격으로 뚜껑을 열고 햇볕을 잘 쬐어주는 것이 좋다.
고추장은 해를 묵혀서 먹지 않고 매년 새로 담가 먹는데, 주로 묵은 고추장은 장아찌용으로 사용한다.
개량식 고추장 담그기 개량식 고추장은 재래식 고추장과 달리 주로 밀가루를 이용해서 만들고, 야생균으로 만든 고추장용 메주 대신에 황국균을 배양한 코지(Koji)를 사용하며, 엿기름에 의한 당화보다는 물엿을 이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개량식 고추장에 사용되는 코지는 당화력과 단백질 분해력이 강하고 숙성 조건에 따른 맛의 변화가 없어, 공장에서 만드는 고추장은 코지식 제법으로 만든 것이 많다.
코지는 쌀, 보리, 밀 등의 전분질을 가루로 만들어 증자(蒸煮, 수증기로 찌기)한 것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35℃에서 48시간 이상 제국(製麴)하여 만든 것이다.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추장은 코지에 고춧가루, 소금, 물 등을 섞어서 상온에서 30~60일 숙성한 것에 물엿을 섞어 85℃에서 10분간 살균한 뒤 냉각하는 과정을 거쳐 만든다.
예로부터 장맛이 좋아야 집안에 불길한 일이 없다고 하여 좋은 날(吉日)을 골라 장을 담그는 풍습이 있었다.
보통 고추장용 메주는 음력 11월 중순에서 12월 중순 사이에 길일을 택해 만들었고, 고추장으로 유명한 순창에서는 십이간지 중 말(馬)에 해당하는 날을 장 담그기에 좋은 날로 정했다.
장 담그기가 집안의 중요 행사인 만큼, 부정을 탈 수 있는 행동은 금하였으며 재료를 고르는 일부터 장을 담근 후에 관리하는 일까지 주의를 기울였다.
고추장을 담근 후에는 부정을 타지 않도록 금줄을 치고 버선본을 거꾸로 붙이는 등 액땜을 위해 신경을 썼다고 한다.
출산하거나 월경이 있는 여인이나 잡인 등은 집에 들이지 않았다고 한다.
냄새를 잘 흡수하는 메주의 특징 때문에 메주를 띄울 때에는 냄새가 나거나 더러운 것, 송장 등을 피하였다고 한다.
집 뒤꼍 외진 곳에 장독간을 만들고 목책으로 문을 잠그는 등 집안 사람 외에는 출입을 엄격히 금하였으며, 장을 담근 후 삼칠일 안에는 초상집에도 가지 않았다고 한다.
옛날에는 한 집에서 고추장을 두세 가지씩 담가 두고 음식에 따라 구별하여 쓰기도 하였다. 그중 찹쌀고추장을 가장 귀하게 여겨 초고추장을 만들거나 색을 곱게 낼 때 쓰고, 밀가루로 담근 고추장은 찌개나 토장국 끓일 때 또는 채소로 고추장장아찌를 만들 때 많이 쓰고, 보리고추장은 여름철 쌈장으로 먹었다.
고추장은 쓰임새가 많다.
된장과 마찬가지로 토장국이나 고추장찌개의 맛을 내고, 생채나 숙채, 조림, 구이 등의 조미료로 쓰인다.
볶아서 찬으로 먹거나 쌈장으로도 먹으며, 회나 강회 등을 찍어 먹는 초고추장이나 비빔밥·비빔국수의 양념 고추장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경상도와 전라도에는 메줏가루를 넣지 않고 조청을 고아서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한 엿고추장도 있다.
윤기가 나고 매끄러워 제일로 꼽는 찹쌀고추장은 찹쌀을 넣어 담근 것으로 예전에는 넉넉한 집에서만 담갔고 서민들은 보리나 밀가루로 담갔다.
메주 띄우기"
고추장은 재료나 간의 세기 그리고 보관 장소에 따라 숙성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으나 대개는 담가서 항아리에 담아 가끔 햇볕에 쪼이면서 숙성시켜 한 달쯤 지나면 먹을 수 있다.
해를 묵혀서 먹지 않으며 먹고 남은 고추장은 장아찌용으로 쓰면 좋다.
고추장에는 고춧가루, 메줏가루, 곡물의 전분질, 엿기름가루, 소금이 필요한데 무엇보다 고춧가루가 좋아야 한다.
고추장에 넣는 메주는 고추장 전용으로 주먹만한 크기의 떡 메주를 만들거나 집메주를 가루 내어 쓰기도 한다.
미리 잘 뜬 메주를 씻어 말려서 가루로 빻는다.
고추장용 메주는 콩만으로 빚은 큰 덩이의 메주로 담가서는 안 되고, 처음부터 전분질을 섞어서 작게 빚는다.
흰콩이 다섯 되이면 멥쌀은 한 되의 비율이 알맞다.
메주를 쑬 때는 콩과 쌀가루를 따로 익혀서 절구에 찧을 때 합한다.
쌀을 불려 가루로 빻아 물을 버물버물 섞어서 흰 무리로 쪄내고, 콩은 충분히 불려서 무르게 삶거나 쪄내어 절구에 쏟아 함께 찧어서 메주를 빚는다.
불린 콩과 불린 쌀을 시루에 번갈아 가며 켜켜로 안쳐서 쪄낸 다음 절구에 찧어서 빚는 방법도 있다.
일주일 정도 지나 메주에 하얗게 곰팡이가 피면 꺼내 볕에 말렸다가 도로 상자에 넣어 더 발효시켰다가 말린다.
이같이 두세 차례 반복하여 3주 정도 지나 다 뜨면 바싹 말린다.
고추장 메주는 간장 메주보다 덜 띄우는 편이 낫다.
너무 오래 띄워 곰팡이가 지나치게 많이 번식하면 퀴퀴한 냄새가 나서 오히려 맛이 없어진다.
메주는 솔로 먼지를 털어내고 물에 얼른 씻어 건져 잘게 쪼개서 채반에 건져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말린다.
메주가 마르면 곱게 가루를 내는데, 3~4일 밤이슬을 맞히면서 말리면 메주 특유의 냄새가 없어져서 좋다고 한다. 메줏가루는 구수한 향이 나고 노란빛을 띠어야 좋은 것이다.
고추장 담그기"
고추장용 고춧가루는 가을철에 미리 색이 곱고 매운 고추로 골라서 씨를 모두 털어내고 곱게 빻아 놓는다.
엿기름은 겉보리를 씻어서 물에 하룻밤 불렸다가 건져서 시루에 시루 밑을 깔고 펴서 위를 덮어 둔다. 며칠 있다가 싹이 나오면 콩나물 기르듯이 물을 주어서 싹이 원래 보리만큼 자라면 잘 비벼서 멍석에 펴서 말린다.
마른 엿기름을 맷돌에 갈아서 가루를 낸다.
요즘에는 직접 싹을 틔우지 않아도 쉽게 구입할 수 있다.
고추장 간을 맞출 때는 흰 꽃소금을 쓴다.
고추장이 되직하므로 굵은 호렴은 잘 녹지 않으며 쓴맛이 남으므로 적당하지 않고, 고운 정제염은 순도가 너무 높아서 간을 맞추기가 어렵다.
고추장 반죽에 들어간 소금은 잘 녹지 않으므로 고추장 버무릴 때 한꺼번에 넣지 않고 2~3일간에 걸쳐서 서너 차례로 나누어 간을 맞춘다.
고추장 반죽이 너무 되직하면 소금으로만 간을 하지 않고 간장을 섞기도 하는데 이때는 꼭 간장을 달여서 넣어야 한다.
고추장의 재료 배합을 살펴보면 찹쌀이나 전분 곡물가루가 소두 1말이면 메줏가루는 소두 1되(5컵), 고춧가루는 2되, 엿기름은 3~4컵, 소금은 6~8컵이 기준이다.
맵게 담그려면 매운 고춧가루를 많이 넣으면 되고, 묽게 하려면 엿기름이 많이 넣으면 된다. 또 전분질이 많으면 되직해지므로 기호에 따라 재료의 비율을 가감한다.
귀한 찹쌀고추장"
찹쌀고추장을 옛날 방법으로 담그려면 힘들고 번거롭기는 하나 맛이 좋고 되직하여 오래 두어도 변하지 않는다.
찹쌀을 불려서 빻아 뜨거운 물로 익반죽하여 도넛 모양으로 빚는데 이를 구멍떡이라고 한다.
솥에 물을 넉넉히 부어서 펄펄 끓을 때 구멍떡을 넣어 익어서 떠오르면 건져 큰 양푼에 담고 방망이로 힘껏 저어서 고르게 푼다.
떡 삶은 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멍울 없이 매끈하게 풀어서 메줏가루, 고춧가루, 소금의 순으로 넣는다.
이 방법으로 찹쌀고추장을 담글 때는 엿기름을 넣지 않는다.
요즘에는 찹쌀을 익반죽하여 치대서 만드는 찹쌀고추장은 거의 없어지고, 찹쌀가루를 엿기름 물에 풀어서 끓여 간단히 만든다.
엿기름가루에 물을 조금씩 넣고 주물러서 모아 가라앉혔다가 여기에 찹쌀가루를 풀어서 잠시 두었다가 끓이면 삭아서 말갛게 되는데 이 때 불을 줄이고 서서히 달이면 점차 검은빛이 된다.
자칫하면 끓어 넘치거나 바닥이 눌어붙기 쉬우니 나무 주걱으로 저으면서 오래 달인다.
찹쌀풀이 다 졸아들면 큰 그릇에 쏟아부어 한김 나가고 나서 메줏가루를 넣어 고루 섞고, 고춧가루를 넣어 고루 섞은 다음 끝으로 소금을 넣는다.
칼칼한 보리고추장"
보리고추장을 만들려면 예전에는 미리 보리쌀을 빻아 시루에 쪄내어 따뜻한 곳에 놓아 띄워서 다른 재료와 버무려야 했다.
푹 찐 보릿가루를 식혀서 소쿠리에 담아 따뜻한 곳에 두면 4~5일쯤 지나 노랗게 뜬다.
이것을 쏟아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넣고 싹싹 비비면서 섞어 소금 간을 하여 담근다.
요즘에는 보릿가루를 쪄서 엿기름 물로 풀어서 삭혀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넣고 버무려서 담근다.
다른 고추장보다 단맛이 적고 칼칼하고 구수해서 쌈장으로 많이 먹는다.
보관과 관리"
간장이나 된장은 담그고 바로 뚜껑을 덮어 두었다가 3~4일쯤 후에 날씨가 좋은 날을 택해 볕을 쪼이기 시작하지만 고추장은 하룻밤 김이 나가게 두었다가 다음날 뚜껑을 덮는다.
익힌 재료를 바로 버무린 것이어서 담그고 바로 뚜껑을 덮으면 더운 김이 완전히 빠지지 않아서 습기가 찬다.
고추장 항아리는 입이 좁은 것이 좋다.
고추장이 공기에 노출되면 그 면은 색이 검어지고 맛도 나빠지며, ‘곱’이라고 하는 흰색의 산막효모가 번식하므로 날씨 좋은 날에는 뚜껑을 열어 햇볕을 쪼여 주면 이를 방지 할 수 있다.
담근 지 얼마 안 되어 부글부글 끓어 넘치거나 흰 곰팡이가 피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여러 원인이 있다.
엿기름에 전분을 넣고 충분히 달이지 않았거나 너무 싱거운 경우, 고추장 항아리에 빗물이나 물이 들어갔을 경우 등이다.
이럴 때는 솥에 쏟아붓고 뭉근한 불에서 달여 주고 소금을 약간 더 넣는다.
고추장을 쏟고 더운 식혜를 넣어 서서히 끓이면 맛을 되살릴 수 있다.
고추장은 단지에 담은 후에도 얼마 동안 계속 저어 주어야 잘 익으며 끓어오르지 않고 간도 고루 든다.
특히 여름철에는 곰팡이가 피기 쉬우므로 망사나 거즈로 항아리를 덮어서 가끔 햇볕을 쬐어 주고 장마철에는 반드시 웃소금을 얹고 습기가 차지 않도록 주의한다.
조리법"
탄수화물의 가수분해로 생긴 단맛과 콩단백 아미노산의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이 조화를 이룬 복합 조미료이자 기호 식품이다.
재료"
찹쌀 10컵(소두 2되), 메줏가루 3컵, 고춧가루 7∼8컵(1.5되), 엿기름가루 5컵(1되), 소금 3컵, 물 3∼4되(15~20컵) * 계량 단위 1작은술 - 5ml(cc) / 1큰술 - 15ml(cc) / 1컵 - 200ml(cc) / 1되 - 5컵(1,000ml)
만드는 법"
1. 찹쌀은 깨끗이 씻어 물에 하룻밤 불려서 가루로 빻는다.
2. 엿기름은 물에 넣고 비벼서 체에 밭아 엿기름 물을 가라앉힌다.
3. 찹쌀가루를 더운물로 익반죽하여 손바닥만한 도우넛형으로 구멍떡을 만든다.
4. 끓는 물에 구멍떡을 삶아 건져서 큰 그릇에 쏟고 ②의 엿기름 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멍울이 없게 푼다.
5. 찹쌀풀에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고 고루 섞어서 하룻밤 둔다.
6. 고추장의 색깔이 곱게 되었으면 소금을 넣고 간을 맞추어 항아리에 담고 그 위에 덧소금을 뿌리고 망사나 거즈로 덮어서 햇볕을 쬐면서 1달쯤 숙성시킨다.
찹쌀고추장 담그기"
엿기름 물 가라앉히기, 찹쌀가루로 구멍떡 만들기, 삶은 찰떡을 엿기름물로 묽게 풀기, 찹쌀풀에 고춧가루와 메줏가루 넣기, 메줏가루에 질게 지은 밥이나 떡가루 또는 되게 쑨 죽을 버무리고 고춧가루와 소금물을 섞어서 간을 맞춘 뒤 발효시킨 검붉은 페이스트 상의 향신조미식품으로 우리나라 고유 장(醬)류의 일종이다. 간장이나 된장은 상고시대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측되나 고추장은 고추 수입 이후에 개발된 것으로 간장이나 된장보다는 늦게 우리 식생활에 들어왔다.
이수광(李粹光)의 『지봉유설』에는 고추가 일본에서 도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말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된 최초의 문헌은 1760년경에 간행된 『증보산림경제』이므로 고추의 재배파급은 급속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증보산림경제』에는 “메주를 가루로 만들어 체로 친 것, 한 말에 고춧가루 서 홉, 찹쌀가루 한 되를 넣고 좋은 간장으로 개어서 담근다”고 되어 있다.
이것은 대체로 오늘날과 같은 것이나 지금의 고추장보다 고춧가루를 훨씬 적게 쓰고 있고, 찹쌀이나 멥쌀 등 탄수화물 재료 대신 메줏가루가 주가 되어서 마치 막장과 같은 것을 연상하게 한다.
간장으로 고추장의 간을 맞춘 점도 지금과는 다른 점이다.
고추장과 참깨를 볶아서 넣거나 다른 제조방법으로 콩 한 말로 두부를 만들어 물기를 짠 다음 고춧가루, 소금물 등을 섞어서 담그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고, 또 말린 생선 조각이나 다시마, 미역을 넣어서 맛을 더욱 구수하게 하는 법, 콩 한 말을 볶은 다음 껍질을 벗겨 다시 끓여서 즙을 빼내고 더운 방에서 3일간 띄운 다음 볶은콩가루 세 말을 섞어 찧어서 고춧가루 세 홉과 소금물로 버무려 햇볕에 익혀 만드는 급조 고추장법 등이 기록되어 있어서 고추장 제조법이 다양하게 발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규합총서』에는 “삶은 콩 한 말과 쌀 두 되로 흰 무리를 쪄 함께 찧어 메주를 만든 다음 띄워서 가루를 내고, 여기에 소금 네 되를 좋은 물에 타서 버무린 다음 고춧가루 5~7홉을 섞고 찹쌀 두 되로 밥을 지어 한데 섞어 만든다”고 되어 있다.
『증보산림경제』에 수록된 제조법보다 고춧가루의 비례가 많아지고 메주를 만들 때부터 쌀을 보강하고 있어 제조법이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추장용 재료로는
고춧가루, 메줏가루 혹은 고오지, 곡류로 멥쌀, 찹쌀, 보리쌀을 사용하며 곡류는 익혀서 혼합한 후 적당량의 소금물을 넣고 일정기간 발효시킨다.
고추에서 오는 매운맛, 콩 단백질의 분해산물인 아미노산의 감칠맛, 전분의 분해물인 당류의 단맛과 소금의 짠맛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고추장은 크게 재래식 고추장과 개량식 고추장이 있으며 재래식 고추장은 대부분 가정에서 콩과 곡류를 6:4 비율로 섞어 만든 고추장 메주를 사용하고 개량식 고추장은 고추장 메주 대신에 고오지(국, 麴)를 사용하고 있다.
재래식고추장은 첨가하는 곡류에 따라 찹쌀고추장, 멥쌀고추장, 보리고추장, 밀가루고추장, 고구마고추장, 옥수수고추장이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식혜고추장, 떡고추장이 있다. 근래 과실류(복분자, 매실 등)를 넣은 고추장도 제조되고 있다.
개량식 고추장은 전분질 원료를 가열하여 호화하고 효소로 액화한 다음 여기에 고춧가루, 고오지, 곡류 전분, 소금 등을 넣어 발효 후 각종 조미료를 넣어 살균 후 포장하고 있다.
개량식 고추장 제조 공정도:
개량식 고추장도 전분질의 원료에 따라 찹쌀고추장, 쌀고추장 등이 제조되고 있으며 규모가 큰 공장에서 이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한국인의 힘은 바로 고추장.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
기본정보"
구입요령 :
손으로 찍어 보아 흐르지 않을 정도의 점도를 가지고 있으면서 고운 붉은색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은 것이다. 유사재료 : 약고추장 (찹쌀을 원료로 하여, 보통의 고추장보다 고춧가루를 많이 넣고 담근 고추장이다.) 보관온도 : 10~15℃ 보관일 : 1일 보관법 : 밀폐용기에 담아 통풍이 잘 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1. 손질법 :
특별한 손질법 없이 바로 섭취 가능하다.
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순창·진주·해남 지방의 고추장이 유명하다.
2. 섭취정보"
섭취방법 :
찌개나 양념의 조미료로 이용된다.
궁합음식정보 :
제육볶음 (돼지고기의 단백질과 비타민 B1에 고추의 비타민 C, 카로틴, 칼슘이 영양적 균형을 이루어 궁합이 맞다.)
다이어트 :
고추는 비타민 C가 풍부하고 지방대사를 원활히 해주는 캡사이신을 함유하고 있어 다이어트에 좋다.
효능 :
소화불량 치유(고추에 함유되어 있는 캡사이신은 위액 분비를 촉진하고 단백질의 소화를 돕는다,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from 55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The major free sugars in traditional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were glucose $(8.21{\pm}5.62%)$ and maltose $(6.95{\pm}7.27%)$ and the minors were fructose $(1.88{\pm}1.27%)$ and sucrose $(1.05{\pm}1.21%)$. Succinic $(901.83{\pm}826.23\;mg%)$, citric $(484.16{\pm}242.89\;mg%)$ and lactic $(381.63{\pm}367.88\;mg%)$ acids in traditional kochujang were found in large amounts and acetic, oxalic, and formic acids in smaller amounts. The traditional kochujang contained large amounts of proline $(10.66{\pm}6.27\;mg%)$, glutamic acid $(9.27{\pm}10.97\;mg%)$, aspartic acid $(9.14{\pm}5.84\;mg%)$, lysine $(6.19{\pm}6.66\;mg%)$, and serine $(5.72{\pm}3.79\;mg%)$, and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64.35mg%. Among th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traditional kochujang, CMP $(42.90{\pm}28.16\;mg%)$ were the most abundant major compounds and hypoxanthine $(6.86{\pm}3.45\;mg%)$, IMP $(5.59{\pm}5.84\;mg%)$, inosine $(4.58{\pm}6.91\;mg%)$ and GMP$(3.36{\pm}3.93\;mg%)$ were found in smaller amounts, and AMP and UMP were also found in mino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sensory acceptability of Gochujang dressing containing added Maesil (Prunus mune) concentrate. Gochujang dressing was blend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aesil concentrate (0%, 1%, 2%, 3%, 4%). Moisture contents, L, a, b values, pH level, and sugar contents decreased, whereas acidity and visco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Maesil contents. Salin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or attribute difference test, as Maesil concentration increased, color intensity, savory flavor, sour flavor, hot taste, and mouthfeel decreased, whereas glossiness decreased. The acceptance test showed that 2% Maesil concentrate was the most preferable for appearance, taste, texture, and overall quality.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 of 2% Maesil concentrate to Gochujang dressing is optimal and provides good properties as well as reasonably high overall acceptabilit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of Kochujang which is rapidly fermented by commercial enzymes, three kinds of Kochujang(KP-FA, KP-FN, and KP-BN) using commercial proteases and one Kochujang(KM) using Meju were prepared and their qualities investigated. There were only small differences in pH and acidity between each Kochujang. The moisture contents were high tendency in the three kinds of Kochujangs using the commercial proteases at 20 days of fermentation. Reducing sugars had a tendency to de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in the Kochujangs using the proteases. During the first half of fermentation, the Kochujangs made with proteases showed higher amino nitrogen contents than the Kochujang(KM) made using Meju. Acidic protease activity was high in KP-FA at 20 days of fermentation and neutral protease activity was high in KP-FN and KP-BN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he Kochujangs made using the proteases, through 20 days of fermentation, obtained high preference in the sensory evaluation for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However, the hot taste was stronger in these Kochujangs during the fermentation.
매운맛 등급화 고추장"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icy hot flavor rel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cumber salad prepared using spicy hot flavor graded gochujang that had been stored for 60 and 12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 of both the 60-day and 120-day fermented gochuja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p-200 sample
고추장은 제조방법에 따라 재래식과 개량식으로 구분된다.
재래식 고추장은 발효과정에서 누룩곰팡이(Aspergillus)·거미줄곰팡이(Rhizopus)·털곰팡이(Mucor) 등의 야생곰팡이와 고초균(Bacillus subtillis) 등의 야생세균을 이용하며, 개량식 고추장은 황국균(黃麴菌, Aspergillus oryzae)을 순수 배양한 코지(Koji)를 이용해서 만든다.
메줏가루에 질게 지은 밥이나 떡가루, 또는 되게 쑨 죽을 버무리고 고춧가루와 소금을 섞어서 만든 장.
내용"
우리나라 고유의 특수한 장(醬) 제품으로 간장이나 된장보다는 늦게 개발되었다.
간장이나 된장은 상고시대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측되나, 고추장은 고추의 도입 이후에 개발된 것이다.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에는 고추가 일본에서 도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 말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된 최초의 문헌은
1760년경에 간행된 『증보산림경제』이므로 고추의 재배파급은 급속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증보산림경제』에는 메주를 가루로 만들어 체로 친 것 1말, 고춧가루 3홉, 찹쌀가루 1되를 넣고 좋은 간장으로 개어서 담근다고 되어 있다.
이것은 대체로 오늘날과 같은 것이다.
지금의 고추장보다 고춧가루를 훨씬 적게 쓰고 있다.
찹쌀이나 멥쌀 등 탄수화물 식품이 주가 되는 대신 메줏가루가 주가 되어서 마치 막장과 같은 것을 연상하게 한다.
간장으로 고추장의 간을 맞춘 점도 지금과는 다른 점이다.
고추장에 참깨를 볶아서 넣거나 별법으로 콩 1말로 두부를 만들어 물기를 짠 다음에 고춧가루·소금물 등을 섞어서 담그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고, 말린 생선 조각이나 다시마·미역을 넣어서 맛을 더욱 구수하게 하는 법, 콩 1말을 볶은 다음 껍질을 벗겨 다시 끓여서 즙을 빼내고 더운 방에서 3일간 띄운 다음 볶은 콩가루 3말을 섞어 찧어서 고춧가루 3홉과 소금물로 버무려 햇볕에 익혀 만드는 급조 고추장법 등이 기록되어 있어서, 고추장 제조법이 다양하게 발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규합총서』에는 삶은 콩 1말과 쌀 2되로 흰무리를 쪄서 함께 찧어 메주를 만든 다음에 띄워서 가루를 내고, 여기에 소금 4되를 좋은 물에 타서 버무린다.
그 다음에 고춧가루 5∼7홉을 섞고 찹쌀 2되로 밥을 지어 한데 섞어 만든다고 되어 있다.
『증보산림경제』에 수록된 제조법보다 고춧가루의 비례가 많아지고 메주를 만들 때부터 탄수화물 식품인 쌀을 보강하고 있어 제조법이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보통 찹쌀 5되를 가루로 내어 경단처럼 반죽하여 큼직하고 얄팍하게 빚어 끓는 물에 삶아내고, 2되 정도의 메줏가루와 2홉의 엿기름을 체에 밭인 물을 붓고 농도를 맞추어 잘 으깬다. 이 둘을 함께 섞은 다음 고춧가루 3되를 넣어 색을 조절하고 소금으로 간을 하여 만든다. 고추장은 재료와 만드는 법이 지방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재료나 만드는 법에 따라서는 보리고추장· 수수고추장· 무거리고추장· 약고추장· 팥고추장· 고구마고추장이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해남· 순창· 진주의 고추장이 유명하다.
특히 순창의 고추장이 유명하다.
보리고추장은
충청도지방에서 많이 담근다.
보리쌀을 깨끗이 씻어 가루로 빻아 시루에 찐 다음에 끓여서 식힌 물을 이것에 섞고 다시 시루에 넣어 더운 방에 놓고 띄운다.
하얗게 곰팡이가 폈을 때에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하여 항아리에 담는다. 분량은 보리 2말에 고추 10근 정도이다.
보리고추장은 엿기름을 쓰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수수고추장은
소금물과 수숫가루로 죽을 쑤고 여기에 메줏가루·엿기름가루·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담근다.
팥고추장은
멥쌀을 흰무리 찌고, 콩과 팥은 푹 삶아 절구에서 응어리가 없도록 찧어 반대기를 만들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고추장을 담근다.
무거리고추장은
메줏가루를 만들고 남은 무거리와 보릿가루·엿기름가루·고춧가루를 섞어 담그는 것으로, 주로 찌개고추장으로 쓰인다.
맛이 새큼하고 달다.
약고추장은
고기를 곱게 다져 갖은 양념을 하여 번철에 기름을 두르고 볶다가 고추장·파·생강·설탕을 넣고 볶아 만든다.
식은 뒤에 잣을 섞으면 더욱 좋다.
고구마고추장은
삶은 고구마에 엿기름을 넣어 삭힌 것을 삼베자루에 넣어 짜서, 이 물을 엿 달이듯이 졸여서 고춧가루·메줏가루·소금을 넣고 만든다.
주로 경상도지방의 화전민이 담근다.
고추장은 찹쌀·누룩·고춧가루로 만든다.
누룩은 멥쌀 1말에 콩 8되의 비율로 만들고, 쌀은 가루로 만들며 콩은 2일간 찬물에 담갔다가 시루에 콩과 쌀가루를 켜켜로 놓아 쪄낸다.
이것을 절구에 찧어 주먹만하게 빚고 가운데 구멍을 내어 바람이 잘 통하는 응달에 1개월간 매달아 둔다.
10여 일이 지나면 노랗게 곰팡이가 피었다가 20일쯤 지나면 자연히 본색으로 된다.
이것을 잘게 쪼개어 밤이슬을 맞히면서 말려 가루로 만들고, 다시 5일 동안 건조시킨다.
찹쌀에 고춧가루, 엿기름, 메줏가루, 소금 등을 섞어 만드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발효식품으로 영양이 풍부하며,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capsaicin)이 식욕을 돋우고 소화를 촉진한다.
고추장은
쌀의 전분질이 분해되어 생긴 단맛, 콩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생긴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 등이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생성된 유기산의 신맛과 미량의 알코올이 생성하는 에스테르(ester)의 향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복합 조미료이다.
고추장은
대개 날씨가 더워지기 전인 3~4월경에 담그게 되는데,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찹쌀고추장· 멥쌀고추장· 보리고추장· 밀가루고추장· 고구마고추장· 수수고추장· 팥고추장 등으로 나누어진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음식의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고추장을 이용하였는데, 찹쌀고추장은 초고추장이나 음식의 색을 내는 용도로 이용하였고, 밀가루고추장은 찌개나 국을 끓일 때에, 보리고추장은 여름에 쌈장용으로 만들어 먹었다.
현대에는 재래식 고추장보다는 밀가루에 황국균을 배양한 코지(Koji)에 고춧가루·소금·물엿 등을 섞어 만드는 개량식 고추장을 주로 이용한다.
고추장을 만들기 하루 전날에 냉수에 풀었다가 다음날 찹쌀떡과 고춧가루를 넣어 버무린다. 분량은 찹쌀 1말에 누룩 2되반, 고춧가루 4되, 간장 5홉, 소금 2홉의 비율이다. 보통 가을에 메주를 만들어 저장하였다가 봄에 담근다.
고추장은
찌개·매운탕·생채·조림의 양념이나 회·강회의 양념으로 쓰인다.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주므로 생선조림이나 찌개에서는 필수적인 양념이다.
뿐만 아니라, 약고추장과 같이 고기를 넣고 볶은 것은 밑반찬으로도 애용된다.
여러 맛을 내는 복합 조미료" 고추장은 간장·된장과 함께 우리 고유의 발효 식품으로, 탄수화물의 가수분해로 생긴 단맛과 콩단백 아미노산의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이 잘 조화를 이룬 복합 조미료이자 기호 식품이다.
우리나라에서 고추장을 담그기 시작한 것은 1700년대 후반으로, 1800년대 초의 『규합총서』에는 순창 고추장과 천안 고추장이 팔도의 명물 중 하나로 소개되어 있다.
『월여농가』(1861년)에서는 고추장을 ‘번초장’이라 하였다.
『증보산림경제』(1765년)에는 “콩으로 담근 말장(末醬)가루 한 말에 고춧가루 세 홉, 찹쌀가루 한 되의 세 가지 맛을 취하여 좋은 청장(재래식 간장(국간장))으로 침장한 뒤 햇볕에 숙성시킨다”고 씌어 있어 지금과 비슷한 고추장을 담가 먹었음을 알 수 있다.
재래식 고추장의 원료는 메줏가루, 고춧가루, 곡물가루, 소금이다.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쪄서 메줏가루를 섞어 당화되어 묽어지면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숙성시킨다.
지방에 따라 찹쌀 대신 멥쌀, 밀, 보리로 담그기도 했다.
재래식 고추장 만들기"
고추장을 만드는 방법은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재래식 고추장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만든다. 대개 간장을 담그고 나서 더워지기 전인 3~4월에 담근다.
어떤 곡물로 담그느냐에 따라 찹쌀고추장, 밀가루고추장, 보리고추장, 고구마고추장 등으로 나뉜다.
고추장용 메주 만들기
고추장용 메주는 콩으로만 만드는 된장용 메주와 달리 콩과 쌀가루를 섞어 만드는데 다른 메주보다 곰팡이가 덜 피게 말려야 퀴퀴한 냄새가 나지 않는다.
고추장용 메주는 쌀가루에 물을 대강 섞어 흰 무리떡으로 찐 다음 무르게 삶거나 쪄낸 콩과 함께 시루에 넣고 쳐서 주먹만 한 크기로 둥근 모양이나 도넛 모양 메주를 만들어 서늘한 곳에서 말린다.
순창에서는 삶은 콩을 시루에 깔고 쌀가루를 그 위에 층층으로 쌓아서 쪄낸 다음 절구에 쳐서 둥글게 빚어 고추장용 메주를 만든다.
메주를 한 달 가량 띄우면 고초균과 효모가 잘 자라면서 표면이 노랗게 되고 갈라보면 속은 노르스름하거나 하얗다.
고초균은 고추장의 전분질과 단백질을 분해하여 잘 익을 수 있게 하고, 효모는 탄수화물로부터 주정(ethanol)과 함께 향기성분을 만들어 낸다.
고추장용 메주가 잘 숙성되면 다시 작게 쪼개어 3~4일 정도 햇볕에 바짝 말려 가루로 빻은 뒤, 고운 체로 쳐서 다시 3~4일간 햇볕에 말린다.
이렇게 만들어진 메줏가루를 항아리에 넣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 두었다가 다음해 봄에 고추장을 담글 때에 사용한다.
고추장용 메주는 표면에 푸른곰팡이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고추장용 메주를 봄이나 가을에 만드는 것과 달리 순창에서는 여름에 만드는데, 이는 고추장의 단맛을 내는 곰팡이가 기온이 높을수록 더 많이 번식하기 때문이다.
순창고추장은 음력 7월에 메주를 띄워 음력 11월 중순에서 12월 중순 사이에 고추장을 만들어 저온에서 숙성시키기 때문에 다른 고추장에 비해 당화되는 속도가 느리고 젖산균의 생성이 더뎌, 신맛이 나지 않고 감칠맛이 난다.
고추장 담그기 재래식 고추장은 날이 더워지기 전인 3~4월에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담근다.
1) 찹쌀을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갔다가 건져 물기를 뺀 다음 가루로 빻는다.
2) 엿기름은 끓여서 식힌 물에 하룻밤 담가 불린 후에 고운 체에 걸러 웃물만 가라앉혀 사용한다.
3) 냄비에 엿기름의 웃물을 조심스럽게 따라 붓고 찹쌀가루를 곱게 풀어 약한 불에서 찹쌀 풀을 쑨 다음 불을 끄고 따뜻하게 두어 삭힌다.
찹쌀 풀 대신 찹쌀로 밥을 짓거나 익반죽한 찹쌀가루를 경단모양으로 빚어 삶은 후에 엿기름물에 잘 풀어지도록 나무주걱으로 조금씩 으깨어 만들기도 한다.
4) 넓은 그릇에 찹쌀 풀을 붓고 뜨거울 때에 메줏가루를 넣어 고루 섞은 다음, 한 김 나가면 고춧가루를 섞어준다.
고춧가루 양이 부족하면 고추장의 색이 검게 변할 수 있다.
5) 하루 정도 지난 후에 소금으로 약간 짜게 간을 맞춘다.
6) 장을 보관할 항아리는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고추장을 담고 그 위에 소금을 넉넉히 얹고 망으로 덮은 후에 양지 바른 곳에 두어 숙성시킨다.
이렇게 만든 고추장은 하루에 20번 정도 나무주걱으로 저으면서 삭히는데, 이런 과정을 한 달 정도 반복하면 고추장이 부풀어 끓어오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간을 고루 맞출 수 있으며, 고추장이 잘 숙성된다.
고추장이 부풀어 끓어오르는 이유는 효모가 주정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고추장용 항아리는 입구가 넓은 것이 햇볕을 많이 쬘 수 있어 좋다. 입구가 좁을수록 햇볕을 적게 쐬어 장의 색이 검고 맛이 나빠지며 흰색의 산막효모가 번식하여 백태가 낄 수 있기 때문이다.
고추장을 담은 항아리는 2~3일 간격으로 뚜껑을 열고 햇볕을 잘 쬐어주는 것이 좋다.
고추장은 해를 묵혀서 먹지 않고 매년 새로 담가 먹는데, 주로 묵은 고추장은 장아찌용으로 사용한다.
개량식 고추장 담그기 개량식 고추장은 재래식 고추장과 달리 주로 밀가루를 이용해서 만들고, 야생균으로 만든 고추장용 메주 대신에 황국균을 배양한 코지(Koji)를 사용하며, 엿기름에 의한 당화보다는 물엿을 이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개량식 고추장에 사용되는 코지는 당화력과 단백질 분해력이 강하고 숙성 조건에 따른 맛의 변화가 없어, 공장에서 만드는 고추장은 코지식 제법으로 만든 것이 많다.
코지는 쌀, 보리, 밀 등의 전분질을 가루로 만들어 증자(蒸煮, 수증기로 찌기)한 것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35℃에서 48시간 이상 제국(製麴)하여 만든 것이다.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추장은 코지에 고춧가루, 소금, 물 등을 섞어서 상온에서 30~60일 숙성한 것에 물엿을 섞어 85℃에서 10분간 살균한 뒤 냉각하는 과정을 거쳐 만든다.
예로부터 장맛이 좋아야 집안에 불길한 일이 없다고 하여 좋은 날(吉日)을 골라 장을 담그는 풍습이 있었다.
보통 고추장용 메주는 음력 11월 중순에서 12월 중순 사이에 길일을 택해 만들었고, 고추장으로 유명한 순창에서는 십이간지 중 말(馬)에 해당하는 날을 장 담그기에 좋은 날로 정했다.
장 담그기가 집안의 중요 행사인 만큼, 부정을 탈 수 있는 행동은 금하였으며 재료를 고르는 일부터 장을 담근 후에 관리하는 일까지 주의를 기울였다.
고추장을 담근 후에는 부정을 타지 않도록 금줄을 치고 버선본을 거꾸로 붙이는 등 액땜을 위해 신경을 썼다고 한다.
출산하거나 월경이 있는 여인이나 잡인 등은 집에 들이지 않았다고 한다.
냄새를 잘 흡수하는 메주의 특징 때문에 메주를 띄울 때에는 냄새가 나거나 더러운 것, 송장 등을 피하였다고 한다.
집 뒤꼍 외진 곳에 장독간을 만들고 목책으로 문을 잠그는 등 집안 사람 외에는 출입을 엄격히 금하였으며, 장을 담근 후 삼칠일 안에는 초상집에도 가지 않았다고 한다.
옛날에는 한 집에서 고추장을 두세 가지씩 담가 두고 음식에 따라 구별하여 쓰기도 하였다. 그중 찹쌀고추장을 가장 귀하게 여겨 초고추장을 만들거나 색을 곱게 낼 때 쓰고, 밀가루로 담근 고추장은 찌개나 토장국 끓일 때 또는 채소로 고추장장아찌를 만들 때 많이 쓰고, 보리고추장은 여름철 쌈장으로 먹었다.
고추장은 쓰임새가 많다.
된장과 마찬가지로 토장국이나 고추장찌개의 맛을 내고, 생채나 숙채, 조림, 구이 등의 조미료로 쓰인다.
볶아서 찬으로 먹거나 쌈장으로도 먹으며, 회나 강회 등을 찍어 먹는 초고추장이나 비빔밥·비빔국수의 양념 고추장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경상도와 전라도에는 메줏가루를 넣지 않고 조청을 고아서 고춧가루를 섞고 소금으로 간을 한 엿고추장도 있다.
윤기가 나고 매끄러워 제일로 꼽는 찹쌀고추장은 찹쌀을 넣어 담근 것으로 예전에는 넉넉한 집에서만 담갔고 서민들은 보리나 밀가루로 담갔다.
메주 띄우기"
고추장은 재료나 간의 세기 그리고 보관 장소에 따라 숙성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으나 대개는 담가서 항아리에 담아 가끔 햇볕에 쪼이면서 숙성시켜 한 달쯤 지나면 먹을 수 있다.
해를 묵혀서 먹지 않으며 먹고 남은 고추장은 장아찌용으로 쓰면 좋다.
고추장에는 고춧가루, 메줏가루, 곡물의 전분질, 엿기름가루, 소금이 필요한데 무엇보다 고춧가루가 좋아야 한다.
고추장에 넣는 메주는 고추장 전용으로 주먹만한 크기의 떡 메주를 만들거나 집메주를 가루 내어 쓰기도 한다.
미리 잘 뜬 메주를 씻어 말려서 가루로 빻는다.
고추장용 메주는 콩만으로 빚은 큰 덩이의 메주로 담가서는 안 되고, 처음부터 전분질을 섞어서 작게 빚는다.
흰콩이 다섯 되이면 멥쌀은 한 되의 비율이 알맞다.
메주를 쑬 때는 콩과 쌀가루를 따로 익혀서 절구에 찧을 때 합한다.
쌀을 불려 가루로 빻아 물을 버물버물 섞어서 흰 무리로 쪄내고, 콩은 충분히 불려서 무르게 삶거나 쪄내어 절구에 쏟아 함께 찧어서 메주를 빚는다.
불린 콩과 불린 쌀을 시루에 번갈아 가며 켜켜로 안쳐서 쪄낸 다음 절구에 찧어서 빚는 방법도 있다.
일주일 정도 지나 메주에 하얗게 곰팡이가 피면 꺼내 볕에 말렸다가 도로 상자에 넣어 더 발효시켰다가 말린다.
이같이 두세 차례 반복하여 3주 정도 지나 다 뜨면 바싹 말린다.
고추장 메주는 간장 메주보다 덜 띄우는 편이 낫다.
너무 오래 띄워 곰팡이가 지나치게 많이 번식하면 퀴퀴한 냄새가 나서 오히려 맛이 없어진다.
메주는 솔로 먼지를 털어내고 물에 얼른 씻어 건져 잘게 쪼개서 채반에 건져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말린다.
메주가 마르면 곱게 가루를 내는데, 3~4일 밤이슬을 맞히면서 말리면 메주 특유의 냄새가 없어져서 좋다고 한다. 메줏가루는 구수한 향이 나고 노란빛을 띠어야 좋은 것이다.
고추장 담그기"
고추장용 고춧가루는 가을철에 미리 색이 곱고 매운 고추로 골라서 씨를 모두 털어내고 곱게 빻아 놓는다.
엿기름은 겉보리를 씻어서 물에 하룻밤 불렸다가 건져서 시루에 시루 밑을 깔고 펴서 위를 덮어 둔다. 며칠 있다가 싹이 나오면 콩나물 기르듯이 물을 주어서 싹이 원래 보리만큼 자라면 잘 비벼서 멍석에 펴서 말린다.
마른 엿기름을 맷돌에 갈아서 가루를 낸다.
요즘에는 직접 싹을 틔우지 않아도 쉽게 구입할 수 있다.
고추장 간을 맞출 때는 흰 꽃소금을 쓴다.
고추장이 되직하므로 굵은 호렴은 잘 녹지 않으며 쓴맛이 남으므로 적당하지 않고, 고운 정제염은 순도가 너무 높아서 간을 맞추기가 어렵다.
고추장 반죽에 들어간 소금은 잘 녹지 않으므로 고추장 버무릴 때 한꺼번에 넣지 않고 2~3일간에 걸쳐서 서너 차례로 나누어 간을 맞춘다.
고추장 반죽이 너무 되직하면 소금으로만 간을 하지 않고 간장을 섞기도 하는데 이때는 꼭 간장을 달여서 넣어야 한다.
고추장의 재료 배합을 살펴보면 찹쌀이나 전분 곡물가루가 소두 1말이면 메줏가루는 소두 1되(5컵), 고춧가루는 2되, 엿기름은 3~4컵, 소금은 6~8컵이 기준이다.
맵게 담그려면 매운 고춧가루를 많이 넣으면 되고, 묽게 하려면 엿기름이 많이 넣으면 된다. 또 전분질이 많으면 되직해지므로 기호에 따라 재료의 비율을 가감한다.
귀한 찹쌀고추장"
찹쌀고추장을 옛날 방법으로 담그려면 힘들고 번거롭기는 하나 맛이 좋고 되직하여 오래 두어도 변하지 않는다.
찹쌀을 불려서 빻아 뜨거운 물로 익반죽하여 도넛 모양으로 빚는데 이를 구멍떡이라고 한다.
솥에 물을 넉넉히 부어서 펄펄 끓을 때 구멍떡을 넣어 익어서 떠오르면 건져 큰 양푼에 담고 방망이로 힘껏 저어서 고르게 푼다.
떡 삶은 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멍울 없이 매끈하게 풀어서 메줏가루, 고춧가루, 소금의 순으로 넣는다.
이 방법으로 찹쌀고추장을 담글 때는 엿기름을 넣지 않는다.
요즘에는 찹쌀을 익반죽하여 치대서 만드는 찹쌀고추장은 거의 없어지고, 찹쌀가루를 엿기름 물에 풀어서 끓여 간단히 만든다.
엿기름가루에 물을 조금씩 넣고 주물러서 모아 가라앉혔다가 여기에 찹쌀가루를 풀어서 잠시 두었다가 끓이면 삭아서 말갛게 되는데 이 때 불을 줄이고 서서히 달이면 점차 검은빛이 된다.
자칫하면 끓어 넘치거나 바닥이 눌어붙기 쉬우니 나무 주걱으로 저으면서 오래 달인다.
찹쌀풀이 다 졸아들면 큰 그릇에 쏟아부어 한김 나가고 나서 메줏가루를 넣어 고루 섞고, 고춧가루를 넣어 고루 섞은 다음 끝으로 소금을 넣는다.
칼칼한 보리고추장"
보리고추장을 만들려면 예전에는 미리 보리쌀을 빻아 시루에 쪄내어 따뜻한 곳에 놓아 띄워서 다른 재료와 버무려야 했다.
푹 찐 보릿가루를 식혀서 소쿠리에 담아 따뜻한 곳에 두면 4~5일쯤 지나 노랗게 뜬다.
이것을 쏟아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넣고 싹싹 비비면서 섞어 소금 간을 하여 담근다.
요즘에는 보릿가루를 쪄서 엿기름 물로 풀어서 삭혀 고춧가루와 메줏가루를 넣고 버무려서 담근다.
다른 고추장보다 단맛이 적고 칼칼하고 구수해서 쌈장으로 많이 먹는다.
보관과 관리"
간장이나 된장은 담그고 바로 뚜껑을 덮어 두었다가 3~4일쯤 후에 날씨가 좋은 날을 택해 볕을 쪼이기 시작하지만 고추장은 하룻밤 김이 나가게 두었다가 다음날 뚜껑을 덮는다.
익힌 재료를 바로 버무린 것이어서 담그고 바로 뚜껑을 덮으면 더운 김이 완전히 빠지지 않아서 습기가 찬다.
고추장 항아리는 입이 좁은 것이 좋다.
고추장이 공기에 노출되면 그 면은 색이 검어지고 맛도 나빠지며, ‘곱’이라고 하는 흰색의 산막효모가 번식하므로 날씨 좋은 날에는 뚜껑을 열어 햇볕을 쪼여 주면 이를 방지 할 수 있다.
담근 지 얼마 안 되어 부글부글 끓어 넘치거나 흰 곰팡이가 피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여러 원인이 있다.
엿기름에 전분을 넣고 충분히 달이지 않았거나 너무 싱거운 경우, 고추장 항아리에 빗물이나 물이 들어갔을 경우 등이다.
이럴 때는 솥에 쏟아붓고 뭉근한 불에서 달여 주고 소금을 약간 더 넣는다.
고추장을 쏟고 더운 식혜를 넣어 서서히 끓이면 맛을 되살릴 수 있다.
고추장은 단지에 담은 후에도 얼마 동안 계속 저어 주어야 잘 익으며 끓어오르지 않고 간도 고루 든다.
특히 여름철에는 곰팡이가 피기 쉬우므로 망사나 거즈로 항아리를 덮어서 가끔 햇볕을 쬐어 주고 장마철에는 반드시 웃소금을 얹고 습기가 차지 않도록 주의한다.
조리법"
탄수화물의 가수분해로 생긴 단맛과 콩단백 아미노산의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이 조화를 이룬 복합 조미료이자 기호 식품이다.
재료"
찹쌀 10컵(소두 2되), 메줏가루 3컵, 고춧가루 7∼8컵(1.5되), 엿기름가루 5컵(1되), 소금 3컵, 물 3∼4되(15~20컵) * 계량 단위 1작은술 - 5ml(cc) / 1큰술 - 15ml(cc) / 1컵 - 200ml(cc) / 1되 - 5컵(1,000ml)
만드는 법"
1. 찹쌀은 깨끗이 씻어 물에 하룻밤 불려서 가루로 빻는다.
2. 엿기름은 물에 넣고 비벼서 체에 밭아 엿기름 물을 가라앉힌다.
3. 찹쌀가루를 더운물로 익반죽하여 손바닥만한 도우넛형으로 구멍떡을 만든다.
4. 끓는 물에 구멍떡을 삶아 건져서 큰 그릇에 쏟고 ②의 엿기름 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멍울이 없게 푼다.
5. 찹쌀풀에 메줏가루와 고춧가루를 넣고 고루 섞어서 하룻밤 둔다.
6. 고추장의 색깔이 곱게 되었으면 소금을 넣고 간을 맞추어 항아리에 담고 그 위에 덧소금을 뿌리고 망사나 거즈로 덮어서 햇볕을 쬐면서 1달쯤 숙성시킨다.
찹쌀고추장 담그기"
엿기름 물 가라앉히기, 찹쌀가루로 구멍떡 만들기, 삶은 찰떡을 엿기름물로 묽게 풀기, 찹쌀풀에 고춧가루와 메줏가루 넣기, 메줏가루에 질게 지은 밥이나 떡가루 또는 되게 쑨 죽을 버무리고 고춧가루와 소금물을 섞어서 간을 맞춘 뒤 발효시킨 검붉은 페이스트 상의 향신조미식품으로 우리나라 고유 장(醬)류의 일종이다. 간장이나 된장은 상고시대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측되나 고추장은 고추 수입 이후에 개발된 것으로 간장이나 된장보다는 늦게 우리 식생활에 들어왔다.
이수광(李粹光)의 『지봉유설』에는 고추가 일본에서 도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말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된 최초의 문헌은 1760년경에 간행된 『증보산림경제』이므로 고추의 재배파급은 급속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증보산림경제』에는 “메주를 가루로 만들어 체로 친 것, 한 말에 고춧가루 서 홉, 찹쌀가루 한 되를 넣고 좋은 간장으로 개어서 담근다”고 되어 있다.
이것은 대체로 오늘날과 같은 것이나 지금의 고추장보다 고춧가루를 훨씬 적게 쓰고 있고, 찹쌀이나 멥쌀 등 탄수화물 재료 대신 메줏가루가 주가 되어서 마치 막장과 같은 것을 연상하게 한다.
간장으로 고추장의 간을 맞춘 점도 지금과는 다른 점이다.
고추장과 참깨를 볶아서 넣거나 다른 제조방법으로 콩 한 말로 두부를 만들어 물기를 짠 다음 고춧가루, 소금물 등을 섞어서 담그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고, 또 말린 생선 조각이나 다시마, 미역을 넣어서 맛을 더욱 구수하게 하는 법, 콩 한 말을 볶은 다음 껍질을 벗겨 다시 끓여서 즙을 빼내고 더운 방에서 3일간 띄운 다음 볶은콩가루 세 말을 섞어 찧어서 고춧가루 세 홉과 소금물로 버무려 햇볕에 익혀 만드는 급조 고추장법 등이 기록되어 있어서 고추장 제조법이 다양하게 발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규합총서』에는 “삶은 콩 한 말과 쌀 두 되로 흰 무리를 쪄 함께 찧어 메주를 만든 다음 띄워서 가루를 내고, 여기에 소금 네 되를 좋은 물에 타서 버무린 다음 고춧가루 5~7홉을 섞고 찹쌀 두 되로 밥을 지어 한데 섞어 만든다”고 되어 있다.
『증보산림경제』에 수록된 제조법보다 고춧가루의 비례가 많아지고 메주를 만들 때부터 쌀을 보강하고 있어 제조법이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추장용 재료로는
고춧가루, 메줏가루 혹은 고오지, 곡류로 멥쌀, 찹쌀, 보리쌀을 사용하며 곡류는 익혀서 혼합한 후 적당량의 소금물을 넣고 일정기간 발효시킨다.
고추에서 오는 매운맛, 콩 단백질의 분해산물인 아미노산의 감칠맛, 전분의 분해물인 당류의 단맛과 소금의 짠맛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고추장은 크게 재래식 고추장과 개량식 고추장이 있으며 재래식 고추장은 대부분 가정에서 콩과 곡류를 6:4 비율로 섞어 만든 고추장 메주를 사용하고 개량식 고추장은 고추장 메주 대신에 고오지(국, 麴)를 사용하고 있다.
재래식고추장은 첨가하는 곡류에 따라 찹쌀고추장, 멥쌀고추장, 보리고추장, 밀가루고추장, 고구마고추장, 옥수수고추장이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식혜고추장, 떡고추장이 있다. 근래 과실류(복분자, 매실 등)를 넣은 고추장도 제조되고 있다.
개량식 고추장은 전분질 원료를 가열하여 호화하고 효소로 액화한 다음 여기에 고춧가루, 고오지, 곡류 전분, 소금 등을 넣어 발효 후 각종 조미료를 넣어 살균 후 포장하고 있다.
개량식 고추장 제조 공정도:
개량식 고추장도 전분질의 원료에 따라 찹쌀고추장, 쌀고추장 등이 제조되고 있으며 규모가 큰 공장에서 이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한국인의 힘은 바로 고추장.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
기본정보"
구입요령 :
손으로 찍어 보아 흐르지 않을 정도의 점도를 가지고 있으면서 고운 붉은색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은 것이다. 유사재료 : 약고추장 (찹쌀을 원료로 하여, 보통의 고추장보다 고춧가루를 많이 넣고 담근 고추장이다.) 보관온도 : 10~15℃ 보관일 : 1일 보관법 : 밀폐용기에 담아 통풍이 잘 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1. 손질법 :
특별한 손질법 없이 바로 섭취 가능하다.
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순창·진주·해남 지방의 고추장이 유명하다.
2. 섭취정보"
섭취방법 :
찌개나 양념의 조미료로 이용된다.
궁합음식정보 :
제육볶음 (돼지고기의 단백질과 비타민 B1에 고추의 비타민 C, 카로틴, 칼슘이 영양적 균형을 이루어 궁합이 맞다.)
다이어트 :
고추는 비타민 C가 풍부하고 지방대사를 원활히 해주는 캡사이신을 함유하고 있어 다이어트에 좋다.
효능 :
소화불량 치유(고추에 함유되어 있는 캡사이신은 위액 분비를 촉진하고 단백질의 소화를 돕는다,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from 55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The major free sugars in traditional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were glucose $(8.21{\pm}5.62%)$ and maltose $(6.95{\pm}7.27%)$ and the minors were fructose $(1.88{\pm}1.27%)$ and sucrose $(1.05{\pm}1.21%)$. Succinic $(901.83{\pm}826.23\;mg%)$, citric $(484.16{\pm}242.89\;mg%)$ and lactic $(381.63{\pm}367.88\;mg%)$ acids in traditional kochujang were found in large amounts and acetic, oxalic, and formic acids in smaller amounts. The traditional kochujang contained large amounts of proline $(10.66{\pm}6.27\;mg%)$, glutamic acid $(9.27{\pm}10.97\;mg%)$, aspartic acid $(9.14{\pm}5.84\;mg%)$, lysine $(6.19{\pm}6.66\;mg%)$, and serine $(5.72{\pm}3.79\;mg%)$, and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64.35mg%. Among th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traditional kochujang, CMP $(42.90{\pm}28.16\;mg%)$ were the most abundant major compounds and hypoxanthine $(6.86{\pm}3.45\;mg%)$, IMP $(5.59{\pm}5.84\;mg%)$, inosine $(4.58{\pm}6.91\;mg%)$ and GMP$(3.36{\pm}3.93\;mg%)$ were found in smaller amounts, and AMP and UMP were also found in mino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sensory acceptability of Gochujang dressing containing added Maesil (Prunus mune) concentrate. Gochujang dressing was blend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aesil concentrate (0%, 1%, 2%, 3%, 4%). Moisture contents, L, a, b values, pH level, and sugar contents decreased, whereas acidity and visco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Maesil contents. Salin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or attribute difference test, as Maesil concentration increased, color intensity, savory flavor, sour flavor, hot taste, and mouthfeel decreased, whereas glossiness decreased. The acceptance test showed that 2% Maesil concentrate was the most preferable for appearance, taste, texture, and overall quality.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 of 2% Maesil concentrate to Gochujang dressing is optimal and provides good properties as well as reasonably high overall acceptabilit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of Kochujang which is rapidly fermented by commercial enzymes, three kinds of Kochujang(KP-FA, KP-FN, and KP-BN) using commercial proteases and one Kochujang(KM) using Meju were prepared and their qualities investigated. There were only small differences in pH and acidity between each Kochujang. The moisture contents were high tendency in the three kinds of Kochujangs using the commercial proteases at 20 days of fermentation. Reducing sugars had a tendency to de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in the Kochujangs using the proteases. During the first half of fermentation, the Kochujangs made with proteases showed higher amino nitrogen contents than the Kochujang(KM) made using Meju. Acidic protease activity was high in KP-FA at 20 days of fermentation and neutral protease activity was high in KP-FN and KP-BN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he Kochujangs made using the proteases, through 20 days of fermentation, obtained high preference in the sensory evaluation for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However, the hot taste was stronger in these Kochujangs during the fermentation.
매운맛 등급화 고추장"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icy hot flavor rel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cumber salad prepared using spicy hot flavor graded gochujang that had been stored for 60 and 12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 of both the 60-day and 120-day fermented gochuja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p-200 sample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