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12일 일요일

권율장군.權慄

조선 중기의 명장. 금산군 이치(梨峙)싸움, 수원 독왕산성 전투, 행주대첩 등에서 승리했다. 임진왜란 7년 간 군대를 총지휘한 장군으로 전공을 세웠다. 1537(중종 32)∼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문신, 명장. 임진왜란 당시 행주산성 전투에서 왜군을 대패시켰다.
본관 안동. 자 언신(). 호 만취당() ·모악(). 시호 충장(). 1582년(선조 1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정자()가 되고, 전적()을 거쳐 1587년 전라도도사, 이듬해 예조정랑 ·호조정랑 ·경성판관()에 이어, 1591년 의주목사(使)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수도가 함락된 후 전라도순찰사 이광()과 방어사(使) 곽영()이 4만여 명의 군사를 모집할 때, 광주목사로서 곽영의 휘하에 들어가 중위장()이 되어 북진하다가 용인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나 패하였다. 그 뒤 남원에 주둔하여 1,000여 명의 의용군을 모집, 금산군 이치()싸움에서 왜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정예부대를 대파하고 전라도순찰사로 승진하였다.
북진 중에 수원의 독왕산성(禿)에 주둔하면서 견고한 진지를 구축하여 지구전()과 유격전()을 전개하다 우키타 히데이에[]가 거느리는 대부대의 공격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하였다. 1593년에는 병력을 나누어 부사령관 선거이()에게 시흥 금주산()에 진을 치게 한 후 28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한강을 건너 행주산성()에 주둔하여, 3만 명의 대군으로 공격해온 고바야카와의 일본군을 맞아 2만 4000여 명의 사상자를 내게 하며 격퇴하였다. 그 전공으로 도원수에 올랐다가 도망병을 즉결처분한 죄로 해직되었으나, 한성부판윤으로 재기용되어 비변사당상()을 겸직하였고, 1596년 충청도순찰사에 이어 다시 도원수가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적군의 북상을 막기 위해 명나라 제독(마귀()와 함께 울산에서 대진했으나, 명나라 사령관 양호()의 돌연한 퇴각령으로 철수하였다.
순천예교()에 주둔한 일본군을 공격하려고 했으나, 전쟁의 확대를 꺼리던 명나라 장수들의 비협조로 실패하였다. 임진왜란 7년 간 군대를 총지휘한 장군으로 바다의 이순신과 더불어 역사에 남을 전공을 세웠다. 1599년 노환으로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에 돌아갔다. 영의정에 추증되고,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 1등에 영가부원군()으로 추봉되었으며, 충장사()에 배향되었다.
정의
1537(중종 32)∼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문신·명장.
개설
본관은 안동(). 자는 언신(), 호는 만취당()·모악(). 도첨의() 권보()의 9세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화부사 권적(), 아버지는 영의정 권철(), 어머니는 적순부위() 조승현()의 딸이다. 이항복()의 장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2년(선조 1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이어 전적·감찰·예조좌랑·호조정랑·전라도도사·경성판관을 지냈다. 1591년에 재차 호조정랑이 되었다가 바로 의주목사로 발탁되었으나, 이듬해 해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에 제수되어 바로 임지로 떠났다. 왜병에 의해 수도가 함락된 뒤 전라도관찰사 이광()과 방어사 곽영()이 4만여 명의 군사를 모집할 때 광주목사로서 곽영의 휘하에서 중위장()이 되어 서울의 수복을 위해 함께 북진했다.
이광이 수원과 용인 경내에 이르러 이곳에 진을 친 소규모의 적들을 공격하려 하자 극력 반대하면서 자중책을 말하기도 했다.
즉, 서울이 멀지 않고 대적이 눈앞에 있는 상황에서 적은 적과의 싸움에서 도내의 병력을 모두 소모할 것이 아니라, 조강()을 건너 임진강을 막아서 서로(西)를 튼튼히 하여 군량미를 운반할 수 있는 도로를 보장한 다음에 적의 틈을 살피면서 조정의 명을 기다리는 것이 옳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장인 이광이 듣지 않고 무모한 공격을 취해 대패하고 선봉장 이시지()·백광언() 등 여러 장수들이 전사했다. 오직 혼자만이 휘하의 군사를 이끌고 광주로 퇴각해 후사를 계획했다.
한편, 남원에서 1,000여 명의 의군을 모집해 다시 북진, 금산군에서 전주로 들어오려는 고바야카와[]의 정예 부대를 맞아 동복현감() 황진()과 함께 이치()에서 싸웠다.
이 싸움에서 황진이 총을 맞아 사기가 저하되었으나 굴하지 않고 군사들을 독려해 왜병을 격퇴시켜 호남을 보존하였다. 그해 가을 이치싸움의 공으로 곧 전라감사에 승진하였다.
12월 도성 수복을 위해 1만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북진 길에 올라 직산에 이르러 잠시 머물다가, 체찰사 정철()이 군량미 마련 등에 어려움이 있으니 돌아가 관내()를 지키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이에 잠시 주저했으나 북상하라는 행재소의 전갈을 받고 북진을 계속했다.
그러나 앞서 용인에서 크게 패한 전철을 다시 밟지 않기 위해 바로 북상하는 것을 피하고, 수원독성산성(禿)에 들어가 진지를 구축했다.
대병이 그곳에 와 있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왜병의 총사령관 우키타[]는 후방의 연락이 단절될 것을 염려한 나머지 도성에 주둔한 왜병을 풀어 삼진()을 만들고 오산 등 여러 곳에 진을 친 다음 서로 오가게 하며 독성산성의 아군을 밖으로 유인하려 했다.
그러나 성책을 굳게 해 지구전()과 유격전을 펴가면서 그들에게 타격을 가하자 몇 날이 지난 다음 영책()을 불사르고 도성으로 물러났다. 적이 퇴각할 때 정예 기병 1,000명을 풀어 적의 퇴로를 기습해 많은 왜병을 베었다.
그 뒤 명나라 원군과 호응해 도성을 수복하기 위해 독성산성으로부터 서울 근교 서쪽 가까이로 옮기기로 하고 먼저 조방장 조경()을 보내 마땅한 곳을 물색하도록 해 행주산성을 택했다.
조경에게 명해 2일간에 걸쳐 목책()을 완성하게 하고 이어 독성산성으로부터 군사를 옮기는 작업을 개시했다. 대군의 행렬을 위해서 독성산성에 소수의 군사만을 남겨 많은 군사가 계속 남아 있는 것 같이 위장한 뒤 불시에 행주산성으로 옮겼다.
행군 중 휘하 병 가운데 4,000명을 뽑아 전라병사 선거이()로 하여금 금천(: 지금의 시흥)에 주둔하게 하고 도성의 적을 견제하도록 하였다.
이때 휴정의 고제() 처영()이 의승병() 1,000명을 이끌고 당도하였으나, 행주산성에 포진한 총 병력은 수천 명에 불과했다.
그 뒤 정예병을 뽑아 도성에 보내어 도전하니 적장들은 이치싸움에서 대패한 경험이 있고, 또 독성산성에서의 치욕을 경험한 탓으로 일거에 침공해 멸하지 않는 이상 큰 위협을 배제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리하여 도성에 모인 전군을 총출동시켜 행주산성을 공격하겠다는 결의를 제장()의 중론으로 정하고 조선 침입에서 한번도 진두에 나서본 일이 없었던 총대장 우키타를 위시해서 본진장령()들까지 3만의 병력으로 행주산성을 공격했다.
왜병은 7대로 나누어 계속해 맹렬한 공격을 가해 성이 함락될 위기에까지 직면했으나, 일사불란한 통솔력과 관군과 의승병이 사력을 다해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대패한 적은 물러가기에 앞서 사방에 흩어져 있는 시체를 모아 불을 질렀으나, 그밖에도 유기된 시체가 200구에 달했고 타다 남은 시체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
권율의 군대는 그들이 버리고 간 기치()와 갑주()·도창() 등 많은 군수물을 노획했다. 이것이 1593년 2월 12일에 있었던 행주대첩이다.
그 뒤 권율은 왜병의 재침을 경계해 행주산성은 오래 견디어내기 어려운 곳으로 판단, 파주산성()으로 옮겨가서 도원수 김명원(), 부원수 이빈() 등과 성을 지키면서 정세를 관망했다.
그 뒤 명나라와 일본 간에 강화 회담이 진행되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휴전 상태로 들어가자, 군사를 이끌고 전라도로 복귀했다.
그해 6월 행주대첩의 공으로 도원수로 승진되어 영남에 주둔했는데, 1596년 도망병을 즉결한 죄로 해직되었으나 바로 한성부판윤에 기용되었으며, 호조판서·충청도관찰사를 거쳐 재차 도원수가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적군의 북상을 막기 위해 명나라 제독 마귀()와 함께 울산에 대진했으나 도어사 양호()의 돌연한 퇴각령으로 철수했다.
이어 순천 예교()에 주둔한 왜병을 공격하려 했으나, 전쟁의 확대를 꺼리던 명장()들의 비협조로 실패했다.
1599년 노환으로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7월에 죽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 1등에 영가부원군()으로 추봉되었다.
1841년 행주에 기공사()를 건립, 그해 사액되었으며, 그곳에 향사되었다. 임진왜란 때 활약한 공훈을 중심으로 기록된 사적이 『권원수실적()』이란 책명으로 1권이 전한다. 시호는 충장()이다.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 『백사집(白沙集)』
  • 『상촌집(象村集)』
  • 『이계집(耳溪集)』
  • 『송자대전(宋子大全)』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임진전란사』(이경석, 신현실사, 197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