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월 28일 목요일

칠천량해전,漆川梁海戰.

칠천량해전,戰.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7월 15일 원균()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칠천량에서 일본 수군과 벌인 해전.
칠천량()해전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중 일본은 명나라와의 화의가 결렬되자 1597년 조선을 재차 침략하기 시작했다. 같은해 7월 일본은 앞서 조선 수군에게 패배하였던 한산도를 다시 공격하기 위하여 먼저 정탐으로 가나메 도키쓰라[]를 밀파하여 조선군을 유혹하니 도원수(권율()은 원균을 불러 일본군에 대한 공격을 명령하였다.
이에 원균은 전병력을 동원하여 7월 7일 다대포()에서 일본군의 빈 군함 8척을 불사르고 서생포(西)에 이르러 적의 주력함대를 만나 패전하고 일부 군사는 풍랑으로 표류하는 지경이 되었다. 간신히 가덕도()에 당도한 원균은 다시 일본군의 복병을 만나 막대한 손해를 입고 거제도 앞 칠천에 정박하고 말았다. 
이 전투의 패전으로 사기가 떨어진 원균은 도원수 권율에게 패전의 책임을 추궁당하여 태형()까지 받게 되었는데, 이에 원균은 불만과 실의에 빠져 군사를 돌보지 않고 전략상 해전에 불리한 칠천에서 이진()도 않고 그대로 있다가 다시 일본군 함대의 공격을 받게 되었다.
일본군은 도도 다카토라[]와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전함 수백 척을 이끌고 부산에서 출진()하고, 고니시 유키나가[西], 시마즈 다다유타[] 등의 육군도 칠천으로 향하였으며 가토 요시아키[]의 수군까지 합세하여 공격하였다. 
결국 원균은 일본군의 수륙양면공격을 받아 대패하고 자신도 육지로 탈출하다가 전사하였다. 이 해전의 승리로 일본군은 한때 제해권을 장악하게 되었고, 조선군은 전라우수사 이억기(), 충청수사 최호() 등의 용사가 전사하고 경상우수사 배설()만이 생존하여 12척의 전함을 이끌고 한산도로 후퇴하였다.
임진왜란·정유재란 가운데 조선 수군이 유일하게 패배한 해전이다. 
임진왜란 중 명나라와의 화의가 결렬되자, 일본은 1597년 1월 다시 조선을 침범했다. 일본은 지난번 조선 침범이 실패한 것은 바다를 제패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해 먼저 수군통제사 이순신()을 제거하려는 이간책을 꾸몄다.
당시 조정에서는 중신들이 당쟁에 휘말려 이순신을 하옥하고 원균을 수군통제사로 임명한 상태였다. 일본군은 조선 수군을 부산 근해로 유인해 섬멸하려고 일본의 이중첩자인 요시라()를 시켜 유혹했다.
이에 도원수 권율()은 도체찰사 이원익()과 상의해 원균에게 출전명령을 내렸다. 원균은 무모하게 출전해 보성군수 안홍국() 등을 잃고 되돌아왔다. 그리고 한산도의 본영()에 앉아서 경상우수사 배설()이 웅천()을 급습하도록 하였다.
배설이 전선() 수십 척을 잃고 패하자, 권율은 이에 대한 책임을 물어 원균을 태형()에 처한 뒤 다시 출전하라고 명하였다.
원균은 부산의 적 본진()을 급습하려고 삼도 수군 160여 척을 이끌고 한산도를 출발하였다. 7월 14일 원균은 부산 근해에 이르러, 이 사실을 미리 탐지한 적들의 교란작전에 말려들어 고전하였다.
더욱이 되돌아오던 중 가덕도에서 복병한 적의 기습을 받아 400여 명을 잃었다. 원균이 칠천량(지금의 거제시 하청면)으로 이동하여 무방비 휴식 상태에 있을 때 적은 조선 수군을 기습할 계획을 세웠다.
도도()·와키사카()·가토() 등 수군 장수들이 7월 14일 거제도 북쪽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15일 달밤을 이용해 일제히 수륙양면 기습작전을 개시하였다.
이에 당황한 원균과 여러 장수들은 응전했으나 적을 당해낼 수 없어 대부분의 전선들이 불타고 부서졌다. 전라우수사 이억기()와 충청수사 최호() 등 수군 장수들이 전사하였다. 원균도 선전관 김식()과 함께 육지로 탈출하였다.
그러나 원균은 일본군의 추격을 받아 전사하였다. 경상우수사 배설만이 12척의 전선을 이끌고 남해 쪽으로 후퇴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로써 삼도 수군은 일시에 무너지고 적군은 남해 일원의 제해권을 장악해 서해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우키타()·고니시(西)·모리() 등은 쉽게 남원 및 진주 등지로 침범하게 되었다.
조정에서는 7월 21일 원균과 함께 탈출하다가 원균은 죽고 겨우 살아 나온 김식에게서 패전 보고를 듣고 크게 놀라 백의종군()하고 있던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해 수군을 수습하게 하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