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을수록 조은, 전통 장.
전통장, 발효 식품.(콩으로만든발효식품)
콩을 발효시켜 만든 장은 우리나라 음식의 제 맛을 내는 대표적인 조미료예요. 그래서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음식 맛은 장맛’이라고 할 만큼 장을 중요하게 여겼고, 장 담그는 데도 남다른 정성을 기울였어요.
음식 맛은 장맛이다.’라는 속담이 있어요. 이 속담은 장이 음식 맛을 결정할 만큼 중요하다는 뜻이지요. 간장, 된장, 고추장은 우리나라의 전통 조미료라고 할 수 있어요. 국을 끓이거나 나물을 무칠 때 장을 넣어 음식 맛을 내었지요. 그리고 한 집안의 음식 솜씨를 장맛으로 판단하였어요. 우리 조상들은 장맛이 바뀌면 집안에 나쁜 일이 생긴다고 생각하여 장을 소중하게 보관했어요.
바람이 잘 통하고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장독대를 만들고 날마다 장의 상태를 살폈지요. 또한 금줄이나 하얀 종이로 만든 버선을 거꾸로 붙여 놓으면 장맛을 망치는 잡신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장을 만드는 기본 재료는 콩과 소금이에요. 예로부터 ‘밭에서 나는 고기’로 여겨진 콩은 단백질이 풍부한, 몸에 좋은 식품이지요. 콩을 발효시켜 만든 간장, 된장, 고추장은 오래 묵을수록 맛이 더욱 좋고 건강에도 좋아요.
음식 맛은 장맛이다.’라는 속담이 있어요. 이 속담은 장이 음식 맛을 결정할 만큼 중요하다는 뜻이지요. 간장, 된장, 고추장은 우리나라의 전통 조미료라고 할 수 있어요. 국을 끓이거나 나물을 무칠 때 장을 넣어 음식 맛을 내었지요. 그리고 한 집안의 음식 솜씨를 장맛으로 판단하였어요. 우리 조상들은 장맛이 바뀌면 집안에 나쁜 일이 생긴다고 생각하여 장을 소중하게 보관했어요.
장
간장과 된장은 삼국 시대 이전부터 우리의 식탁에 올랐고, 고추장은 임진왜란 때 고추가 들어온 다음부터 먹기 시작했어요.
간장과 된장
장 담그는 일은 집안의 중요한 행사였어요. 그래서 장을 담그기 전에는 몸을 깨끗하게 하고 행동도 조심하고합니다. 시골에 가면 처마에 매달린 메주를 본 적이 있을 겁니다. 예) 촌 이나, 팔공산갓바위 약사암 에도 아직 이런방식 을선호하곤하며 된장을 약 일년을 두고 먹곤 합니다. 메주는 콩을 삶아 찧은 다음 네모나게 뭉쳐서 말린 것으로 간장, 된장, 고추장을 만드는 데 기본 재료가 됩니다. 겨울에 메주를 만들어 처마 밑에 한 달쯤 매달아 두면, 바람을 맞고 햇볕을 쬔 메주에 곰팡이가 피기 시작합니다. 메주에 핀 곰팡이는 장맛을 좋게 하고 영양을 높이는 구실을 해요.
잘 익은 메주를 씻어서 말린 후 항아리에 넣고 소금물을 부어요. 그런 다음 숯, 고추를 띄워 놓아요. 장을 담근 지 40일 정도가 지나면 소금물이 까맣게 되는데, 그 물을 걸러 내서 끓이면 간장이 돼요. 그리고 항아리에 남아 있는 메주를 으깨어 소금을 넣고 한 달쯤 두면 된장이 되는 겁니다. 오래 묵힐수록 맛이 좋아지는 간장과 된장은 모두 콩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암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는 훌륭한 음식입니다.
잘 익은 메주를 씻어서 말린 후 항아리에 넣고 소금물을 부어요. 그런 다음 숯, 고추를 띄워 놓아요. 장을 담근 지 40일 정도가 지나면 소금물이 까맣게 되는데, 그 물을 걸러 내서 끓이면 간장이 돼요. 그리고 항아리에 남아 있는 메주를 으깨어 소금을 넣고 한 달쯤 두면 된장이 되는 겁니다. 오래 묵힐수록 맛이 좋아지는 간장과 된장은 모두 콩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암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는 훌륭한 음식입니다.
곰팡이·세균·효모 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성분을 합성하는 발효라는 작용을 이용해 만든 식품의 총칭.
미생물의 종류 식품의 재료에 따라 발효식품의 종류는 다양해지며, 복잡한 반응의 결과로 원료에 함유되어 있지 않던 성분들이 생겨나면서 영양가·기호성·저장성이 향상된다. 알콜발효, 젖산발효, 초산발효, 아미노산발효 등 발효균의 종류와 발효조건에 따라 생성물이 달라지므로 식품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주류, 식초, 치즈·요구르트·버터와 같은 유제품, 콩발효식품, 채소 절임류 등이 대표적인 발효식품에 해당되며 발효차, 발효두부, 발효조미료, 발효빵 등 식품의 가공과정에 응용되기도 한다.
된장, 춘장,
된장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도 있다. 중국에서는 ‘춘장’, 일본에서는 ‘미소’ 또는 ‘고려장’이라고 해요. 미소가 고려장이 된 것은 고려 때 우리나라의 된장이 일본으로 전해졌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된장은 100% 콩으로 만들어 발효를 시키지만, 춘장과 미소는 쌀가루나 보릿가루를 섞어서 만들었다.
된장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도 있다. 중국에서는 ‘춘장’, 일본에서는 ‘미소’ 또는 ‘고려장’이라고 해요. 미소가 고려장이 된 것은 고려 때 우리나라의 된장이 일본으로 전해졌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된장은 100% 콩으로 만들어 발효를 시키지만, 춘장과 미소는 쌀가루나 보릿가루를 섞어서 만들었다.
변천 과정.
여러 가지 발효식품 유형 중 농경 문화권이었던 한국의 발효식품은 된장·간장·고추장·식초와 같은 조미 양념류, 김치·젓갈 등의 찬류, 그리고 곡물발효주를 위주로 발달하였다. 그 중 장·젓갈·술 등의 발효식품에 관한 내용은『삼국지(三國志)』「위지(魏志)」의 고구려조와『삼국사기(三國史記)』의「신라본기(新羅本紀)」신문왕(神文王) 3년(683년) 기록에서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기록만으로 당시 발효식품 문화를 단정할 수는 없으나 그 존재 사실만큼은 확인시켜 준다.
한국인 주부에게 있어 장과 김치 담그기는 1년 치 식생활을 준비하는 가장 기초적인 임무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일이었다. 또한, 제사와 손님접대를 위해 집집마다 가양주를 담아두었다가 그때그때 쓰임에 대비하는 것도 주부의 막중한 책임 중 하나였다. 1909년 일본에 의해 주세법(酒稅法)이 제정되어 집에서 술을 빚는 것이 금지되면서 가양주 문화는 급속히 쇠퇴하게 된다.
한국 장류의 공업화는 한국 거주 일본인과 일본 국내의 군수품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1890년경 인천에 소규모 장류제조공장이 설립된 후 점차 발전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이들 공장 중 일부를 한국인이 인수하여 운영함으로써 성장시켜 갔다. 일제강점기에는 장류 담그기와 김장에 들어가는 것에 대한 막대한 노동력과 시간, 비용의 집중을 해소하려는 차원에서 관련 산업을 공업화하여 시장체제로 편입시키려 한 움직임이 있었으나 성공적이지 못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주거 및 생활환경의 변화와 산업화의 가속으로 점차 집에서 제조하는 비율은 줄어들고 시판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 주요 발효식품으로는 전통장류인 간장·된장·고추장·청국장 등과 채소류 발효식품이 있고 김치·절임류, 수산물 발효식품인 젓갈류, 그리고 주류와 식초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발효식품은 식품을 오래 보존하기 위한 방편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유용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소화되기 쉬운 상태로 변화한 것이다. 발효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은 맛도 향상시키고 장내 미생물의 항상성을 유지하며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정장작용을 한다.
발효식품이 미생물에 의한 식품성분 변화라는 제조 원리를 알지 못했던 전통사회에서는 발효식품의 맛이 변하는 것은 귀신의 장난이라 여겨 장과 관련된 각종 금기가 많았고 장맛이 변하면 집안에 우환이 생긴다고 믿었다. 그렇지만 최근의 발효산업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연발효에서 방식에서 관리·통제하는 방식으로까지 발전해 있다. 원하는 최종 제품이 무엇인지에 따라 미생물을 선택하거나 발효조건을 관리하여 목적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게다가 발효식품의 기능성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청국장 환제품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으로 가공하는 산업도 발전하고 있으며, 발효식품에서 기능성물질을 추출하여 신소재로 개발하는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발효& 과정.
발효는 효모의 작용에 의해 알코올이 생기는 현상으로 처음 그 실체가 밝혀진 것은 1857년, 프랑스의 생물학자인 파스퇴르에 의해서였다. 파스퇴르는 산소의 공급이 충분할 때는 효모의 번식이 강화되어 균체가 많이 생기므로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발효력이 좋아진다는 것도 밝혀냈다.
일반적으로 발효는 '산소가 부족한 혐기 상태에서 일어나는 유기물 분해 현상'을 일컫는다.
발효는 인간에게 좋은 면을 주는 미생물 작용이므로 비슷한 과정을 겪는 부패와는 구분된다. 발효가 일정한 온도, 습도, 산도, 영양 성분을 조절하여 원하는 미생물을 다량 자라게 하는 과정에서 일어난다면, 부패는 위의 환경 조건이 잘 맞지 않을 때 원하지 않는 미생물이 자라서 발효 과정을 방해한다든가 병원성 미생물이 오염되어 발효 미생물이 생육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발효는 인간에게 좋은 면을 주는 미생물 작용이므로 비슷한 과정을 겪는 부패와는 구분된다. 발효가 일정한 온도, 습도, 산도, 영양 성분을 조절하여 원하는 미생물을 다량 자라게 하는 과정에서 일어난다면, 부패는 위의 환경 조건이 잘 맞지 않을 때 원하지 않는 미생물이 자라서 발효 과정을 방해한다든가 병원성 미생물이 오염되어 발효 미생물이 생육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한국 고유의 발효식품은 한국 식단에서 단일 식품으로서도 큰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다른 반찬류의 맛을 좌우하는 조미료로 광범위하게 쓰임으로써 전통적인 맛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대표 발효식품인 김치와 된장은 발효 과정에서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들을 생성해 내 성인병 예방과 항암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어 한국 음식문화의 우수성이 주목받게 되었다.
예를 들면, 곡류가 효모나 세균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발효되면, 전분은 포도당으로 분해되고 포도당은 여러 가지 중간 물질을 거쳐서 에탄올로 발효되어 술이 된다. 우유의 경우도 단백질을 응고시켜 만든 치즈가 세균이나 곰팡이에 의해 발효되면 향기 좋은 숙성된 치즈를 만들 수 있다. 밀가루 반죽을 효모를 사용해 발효시키면 반죽 사이에 이산화탄소가 발생해 밀가루 반죽 중 전분이 분해되어 부드러운 조직의 빵이 된다.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발효 과정은 그 방법에 있어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수소 에너지 발생을 비롯하여, 메탄 발효, 석유 화학 공업을 대치할 수 있는 원료 물질 아세트산, 젖산, 숙신산 등 많은 화합물을 만들어 내는 데 발효 과정이 이용되고 있다.
산이나 알칼리 분해에 비해 발효는 여러 가지 효소가 복합적으로 유기물에 작용해 발효 과정 중 향미를 갖게 하거나 발효 음식을 씹는 느낌을 부드럽게 만드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김치나 치즈, 빵과 같은 발효 음식에 대한 기호는 이와 같은 데서 오는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미생물 자체가 이러한 유기물의 단단한 화학 결합을 자르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이 자라면서 외부로 분비하는 효소가 분해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이 밝혀진 것은 1897년 생물학자인 뷰흐너(Buchner)에 의해서였다.
미생물은 말 그대로 아주 작은 생명체로 세균, 효모, 곰팡이로 구분되는데 이에 속하는 일부의 미생물이 발효를 할 수 있다. 유기물은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물질이다.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곡식의 주요 성분인 탄수화물은 일종의 유기물로 여러 개의 포도당(C6H12O6)이 화학적으로 단단하게 결합하고 있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학적 결합은 산이나 알칼리에 의해서도 분해될 수 있지만, 미생물이 만드는 효소에 의해서도 분해되는데 이러한 작용을 '발효'라고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