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2월 13일 수요일

탈무드Talmud. 1


탈무드Talmud.


탈무드를 읽기 위해서는 탈무드에 나오는 많은 현자와 현자 간의 관계를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성전 멸망 이후부터 예후다 하 - 나(약 220 C.E.) 시대까지 살았던 현자들을 타나임(tannaim)이라고 한다. 아람어로 타나(teni 또는 tena)는 가르친다는 뜻으로 타나임은 가르치는 사람들(선생)이라는 뜻이다. 타나임 이후(즉, 예후다 하 - 나시 이후)부터 바빌로니아 탈무드가 완성되기까지(약 500 C.E.) 활동한 현자들을 아모라임(amoraim)이라 부르는데, 이는 '말하다'라는 뜻의 아마르(amar)에서 파생되어, '말하는 사람' 또는 '해석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지리적으로는 타나임은 팔레스타인에서만 활동하였고, 아모라임은 팔레스타인과 바빌로니아에서 각각 활동하였다. 아래 도표는 주목할 만한 타나임과 아모라임을 발췌한 것이다.

유대교인들도 조상들의 전통을 지키는 데 열심이었다. 조상들의 전통이라는 것은 랍비가 말하면 제자들이 듣고, 그 제자들이 다시 그들의 제자들에게 전하는 일련의 연결고리를 통해 전달되는 조상들의 법과 전통이다. 이것은 이슬람의 전통과 비슷한 성격을 띤다. 무함마드 사후 그와 동시대에 있었던 사람들과 이들에게서 구전을 받은 제1세대, 그리고 제1세대에게서 전해들은 제2세대 사람들이 구전의 연결고리가 되었다.

유대교의 탈무드는 미쉬나(Mishna)와 게마라(Gemara, 설명을 한 각주, 주후 300~400)로 구성되어 있다. 미쉬나는 글로 된 율법이나 구전 율법에 근거하고 있는 반면, 게마라는 다른 여러 의견들의 분석을 통해 율례가 된 것을 의미한다. 탈무드는 모세 율법에서 시작하였으며, 크게 바벨론 탈무드(500~700)와 팔레스타인 탈무드(500)로 나누어진다. 하지만 이 중 대체로 바벨론 탈무드가 더 정확하고 폭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무드는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사법(종자, 과일, 풀, 나무 등과 관련), 절기(안식일, 유월절, 장막절, 금식 등 명절 및 종교일과 관련), 여성(형제의 부인, 서원, 간통, 이혼법 등 약혼, 혼인, 이혼과 관련), 손해(보상, 태형, 맹세, 우상 숭배 등 민사와 형사법과 관련), 성별(제물, 헌물, 첫 출생 등 제사법과 관련), 정결(옷과 집, 가구, 한센씨병 등 정결법) 등을 다룬다. 이처럼 탈무드는 유대인들이 매일매일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를 규정해주고 있다. 또한 탈무드는 전통과 관례와 법규, 판결 그리고 모세법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다. 유대의 구전법(Oral Law)은 대개는 모세 오경을 해설한 미드라쉬(Midrash)와 랍비 율법의 판례인 할라카(Halakah), 그리고 속담이나 비유, 이야기들을 구약에 비추어 해설한 학가다(Haggadah)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쉬나가 집대성된 이후 약 2세기 반에 걸쳐 미쉬나에 대한 주석 작업이 진행되었는데, 미쉬나에 대한 주석을 게마라(Gemara)라고 한다. 게마라의 어원인 게마르(gemar)는 아람어로 '완성한다' 또는 '배운다'라는 뜻으로, '전통을 배우는 것' 또는 '전통적인 가르침' 정도로 번역이 가능하다. 어원에서 볼 수 있듯이, 구전 토라를 가르치는 것이 성문화된 토라의 '완성'으로 볼 수 있다. 미쉬나와 미쉬나에 대한 주석인 게마라를 합쳐 탈무드라고 부른다(미쉬나+게마라=탈무드). 탈무드라 하면 '행하는 것'(maase)과 비교된 개념으로 '공부하는 것' 혹은 '가르치는 것'이라는 뜻이다. 탈무드는 5세기 초에 팔레스타인에서 집대성된 예루살렘 탈무드〔Talmud Yerushalmi, 예루살렘에서 집대성되지 않았으므로 팔레스타인 탈무드(PalestineTalmud)가 더 적당한 표현이다.〕와 6세기 초에 바빌로니아에서 집대성된 바빌로니아 탈무드(talmud Bavli)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탈무드'라고 하면 바빌로니아 탈무드를 가리킨다. 바빌로니아 탈무드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난이하다.

rabbi/랍비"
 유대교의 율법교사에 대한 경칭.
‘나의 선생님’ ‘나의 주인님’(요한 9:2)이라는 뜻의 헤브라이어로, 라보니(rabboni)라고도 한다(요한 20:16). 이 용어는 1세기에 이르러 보편화되었고, 이후 유대교의 지도자제도로 정착되었다. 랍비가 될 사람은 구약성서와 탈무드에 대한 연구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현대의 랍비교육과정에는 다양하고 총체적인 지도력 배양을 위한 과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 기능은 유대교 내의 다양한 분파들에 따라 서로 다르다. 유대인들 사이에도 정통파 ·보수파 ·개혁파가 있어 분파마다 랍비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따로 있다.
일반적인 기능과 역할은 종교행사와 각종 의식을 주재하며, 각종 교육활동에 폭넓게 참여한다. 또한 지역사회를 위한 구제와 봉사활동에도 관여하며, 여러 형태의 공동체 사업을 지원하기도 한다. 일부 랍비는 생계를 위한 직업을 가지면서 시간제 봉사직으로 랍비의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공식으로 임명받은 랍비가 없는 경우 공동체 내에 의식을 행할 만한 경건함과 인격을 구비한 사람이 랍비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14세기 이후 랍비들에게 봉급이 지급되었는데, 이는 생활에 구애받을 경우 그 직책수행에 차질을 빚기 때문이었다. 신약성서에서 예수는 제자들이 랍비라는 경칭으로 부르는 것을 경고하였는데, 이는 하나님이 그들의 참교사이며 그들은 모두 ‘형제들’이기 때문이었다(마태 23:7~8).
Ben Judah Gershom/ 게르솜"
유대인 교육자. 독일 마인츠에서 랍비 학교의 교사로 있으면서 《탈무드》교수법을 처음으로 유럽에 도입하여 학생들을 가르쳤다.
라베누 게르숌이라고도 한다. 독일 마인츠에서 랍비 학교의 교사로 있으면서 독일과 프랑스에 사는 유대인들의 정신적 지도자로서 그들의 사회문제에 대해 진력하였다. 교사로서는 바빌로니아와 팔레스티나의 회당에서 쓰는 《탈무드》 교수법을 처음으로 유럽에 도입하여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탈무드 평주()》를 많이 남겼다. 그를 따르는 사람들로부터 ‘유배된 자들의 빛’이라고 불렸다.

탈무드를 읽기 위해서는 탈무드에 나오는 많은 현자와 현자 간의 관계를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성전 멸망 이후부터 예후다 하 - 나(약 220 C.E.) 시대까지 살았던 현자들을 타나임(tannaim)이라고 한다. 아람어로 타나(teni 또는 tena)는 가르친다는 뜻으로 타나임은 가르치는 사람들(선생)이라는 뜻이다. 타나임 이후(즉, 예후다 하 - 나시 이후)부터 바빌로니아 탈무드가 완성되기까지(약 500 C.E.) 활동한 현자들을 아모라임(amoraim)이라 부르는데, 이는 '말하다'라는 뜻의 아마르(amar)에서 파생되어, '말하는 사람' 또는 '해석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지리적으로는 타나임은 팔레스타인에서만 활동하였고, 아모라임은 팔레스타인과 바빌로니아에서 각각 활동하였다. 아래 도표는 주목할 만한 타나임과 아모라임을 발췌한 것이다.

타나임 의 현자.

타나임
세대현자기타
나시현자들
0

시몬 하짜딕

안티고누스 쏘코
요시 벤 요에제르
요시 벤 요하난
여호수아 벤 페라히야
니타이 하 - 아르발리
예후다 벤 타바이
시몬 벤 쉐탁
쉐마이야
아브탈리온
힐렐 하자켄
샤마이 하자켄
1
라반 가말리엘 하자켄 = 라반 가말리엘 1세
라반 시몬 벤 가말리엘(라반 가말리엘 2세)
힐렐학파와 샤마이 학파
예루살렘+야브네(약 10~90 C.E.)
아카비야 벤 마할랄렐
하니나 세간 하 - 코하님
랍비 네훈야 벤 하 - 카나
나훔 하마데
랍비 짜독
라반 요하난 벤 자카이
랍비 엘리에제르 벤 야콥
랍비 하니나 벤 도사
하나니아 벤 히즈키아 벤 가론
나훔 이쉬 김조
아키바 벤 메할렐
랍비 하니나 싸간 하코하님
2
라반 가말리엘 2세
랍피 파피아스
야브네(약 90~130 C.E.)
랍비 도사 벤 하르키나스
랍비 엘리에제르 벤 힐카누스 = 랍비 엘리에제르(미쉬나에서)
랍비 여호수아 벤 하나니아 = 랍비 여호수아(미쉬나에서)
랍비 요시 하 - 코헨
시몬 벤 나타나엘
엘아자르 벤 아라크
랍비 엘리에제르 벤 아자리아
랍비 엘아잘 벤 짜독
아바 사울 벤 바트닛
슈무엘 하 - 카탄
시몬 하파콜리
벤 파투리
랍비 엘라자르 하모다이
랍비 레비타스 이쉬 야브네
랍비 이스마엘 벤 엘리샤 = 랍비 이스마엘
랍비 아키바 벤 요셉 = 랍비 아키바
랍비 타르폰
랍비 일라이
아퀼라스
랍비 요하난 벤 토르타
파포스 = 파포스 벤 예후다
랍비 요하난 벤 누리
랍비 요시 하 - 겔릴리
랍비 엘아자르 히스마
랍비 요하난 벤 베로카
랍비 시몬 벤 나노스
랍비 요시 벤 도르마스킷
랍비 하니나 벤 테라디온
랍비 엘아자르 벤 파르타
라브 예후다 바르 바바
랍비 요시 벤 키스마
시몬 벤 아자이
시몬 벤 조마
엘리샤 벤 아부야
랍비 하니나 벤 가말리엘
랍비 하나니아 벤 예후다
랍비 시몬 벤 타르폰
랍비 엘아자르 벤 예후다
시몬 하팀니
하나니아 벤 하키나이
랍비 히드카
랍비 예후다 벤 바티라(베테라)
랍비 하나니아
3
라반 시몬 벤 가말리엘 2세
랍비 요시야
바르 코크바 반란 이후 예루살렘 바깥 지역으로 옮김.
[예] 우샤, 베이트 쉐아림, 지포리, 티베리아
아바 하닌(혹은 하난)
랍비 메이르
랍비 시몬 바르 요하이(혹은 벤 요하이)
랍비 요시 벤 할라프타
랍비 예후다 일라이
랍비 느헤미야
랍비 엘아자르 벤 샤무아
랍비 엘리에제르 벤 야콥
랍비 요하난 하 - 산데라르
랍비 엘리에제르(혹은 엘아자르) 벤 랍비 요시하 - 겔릴리
랍비 여호수아 벤 카르하(또는 코르하)
랍비 엘아자르 벤 짜독 2세
랍비 요시 벤 야시안
랍비 이스마엘 바노 쉘 랍비 요하난 벤 베로카 아바 사울
랍비 하나니아 벤 아카비아
랍비 하나니아 벤 아카시야
이시 벤 아카비아
랍비 네호라이
르우벤 벤 이스트로벨리
아바 요시 벤 도스타이
4
랍비 예후다 하 - 나시( = 라비)
랍비 도스타이 바르 야나이

랍비 시몬 벤 예후다
아하이 바르 요쉬아
랍비 야콥
솜쿠스(벤 요셉)
랍비 이쯔학
랍비 요시 벤 키페르
랍비 도사
도스타이 바르 예후다
랍비 엘아자르 벤 라쉬비
랍비 핀하스 벤 야이르
랍비 이스마엘 바르 요시(혹은 요셉) 벤 할라프타
랍비 이스마엘 베라비 요시
랍비 메나켐 바르 요시 벤 할라프타
랍비 요시 벤 예후다(벤 일라이)
랍비 예후다 벤 라키쉬
랍비 엘아자르 벤 예후다
랍비 시몬 벤 엘아자르(벤 샤무아)
랍비 요시 벤 메슐람
랍비 나탄 바블리
랍비 엘아잘 하카팔
아바 엘아자르 벤 감라
랍비 시몬 바르 요시 벤 라콘야
랍비 시몬 벤 메나시아
랍비 마나
랍비 예후다 벤 테마
5
랍비 가말리엘 3세
랍비 히야

바르 카파라
랍비 시몬 벤 할라프타
레비 바르 시시
랍비 시마이
랍비 바나(바나이야 혹은 베나이야)
랍비 요나탄 벤 암람
랍비 요시 벤 사울
랍비 예후다 벤 나코사
라브 후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