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2월 24일 일요일

반하사심탕 . 半夏瀉心湯.

반하사심탕 . 半夏瀉心湯.

정의

담()이 위장에 정체되어 일어난 팽만감과 딸꾹질·메스꺼움·구토·설사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위허(胃虛)로 인한 기역(氣逆)과 딱딱하지 않고 통증이 없는 심하비만(心下痞滿), 음식이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
상한(傷寒) 삼음병(三陰病)으로 심하비민(心下痞悶)하고 구역질을 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
내용
반하(: 법제한 것) 8g, 황금() · 인삼() · 감초() 각 6g, 건강() 4g, 황련() 2g, 생강() 3쪽, 대조() 2개. [《동의보감()》] 명치 밑이 막힌 것 같은 감이 있으면서 식욕이 부진하고 메슥메슥하거나 토하며 때로 배가 끓고 물소리가 나며 설사하는 데 쓴다. 주로 급 · 만성 위염, 위확장증, 위십이지장 궤양, 위장염 등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원래 중국에서 전해졌으나 『동의보감』에도 실려 있다. 처방은 반하() 7.5g, 황금()·인삼·감초() 각 5.62g, 건강() 3.75g, 황련() 1.875g, 생강() 3쪽, 대추 2개로 구성되었고, 물에 달여 복용한다.
반하·건강은 오심구토를 억제하고 특히 건강의 온중산한()시키는 효능으로 한랭을 제거하며, 인삼은 상복부의 비만(滿: 가슴과 배에 기가 통하지 못하여 팽만감을 느끼는 것)을 완화하면서 소화 흡수를 촉진, 전신의 기능 상태를 개선한다.
감초와 대추는 평활근 긴장을 완해()하여 연동항진을 가라앉히며 건강과 함께 복명하리(: 뱃속에서 소리가 나며 설사하는 것)를 치료한다. 수양성하리()일 때는 이수()시키는 복령()을, 황금·황련은 소염·진정·해열 작용과 함께 진위정장작용을 하며 팽만감·비만·하리를 완해시킨다.
급성위염·만성위염·십이지장궤양·소화불량증·위장신경증·임신구토 혹은 감기 등의 감염증에서 비위불화()를 나타내는 병증을 치료한다. 이 처방을 사용함에 있어서 조성()이 심하므로 위음허()의 오심구토에는 응용하여서는 안 된다.



기제()의 대표적인 방제()이다. 인후, 식도에 무엇이 걸려 있고 막힌 것 같아 늘 불안하고 답답하여 우울한 나날을 보내며, 어지러움과 심계항진 ·위아토니( atony) ·위하수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 쓰인다. 

복진()해 보면 심하부()가 팽만하고 물 흐르는 소리가 느껴진다. 적용 환자는 특히 부인이 많고, 신체가 마른 신경형은 물론 비습다육()한 여성에게도 쓰이는 처방이다. 

응용되는 증세는 신경통 ·노이로제 ·신경쇠약 ·기울증() ·히스테리 ·신경성 식도협착 ·인후염 ·심계항진증 ·바제도병 ·기관지천식 ·위아토니 ·기관지염 ·오조() ·백일해 등이다. 

처방은 반하() 20.0g, 후박() 6.0g, 복령() 8.0g, 생강 10.0g, 소엽() 4.0g을 달여서 마신다.
처방
가미귤피죽여탕(加味橘皮竹茹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麥門冬,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橘皮,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半夏,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枇杷葉,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人參,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赤茯苓,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竹茹,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薑, 분량 : 적당량

가감삼기탕(加减三奇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桑白皮,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薑, 분량 : 적당량
본초명 : 靑皮,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桔梗,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半夏,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人參,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陳皮,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杏仁,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紫蘇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五味子, 분량 : 0.5, 단위 :錢

금기 ; 烏頭에 反한다. 陰虛燥咳, 血證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산지 ; 서산
효능 ; 降逆止嘔, 消痞散結, 燥濕化痰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본경(本經)>: 한사(寒邪)의 침범으로 인한 한열왕래(寒熱往來), 명치 부위가 팽팽하고 아픈 것,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하는 증상,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캄캄한 증상, 인후가 붓고 아픈 증상, 장명(腸鳴)을 치료하고 하기(下氣)시키며 땀을 그치게 한다.
<별록(別錄)>: 가슴과 명치 부위에 담열(痰熱)이 뭉쳐져서 그득하고 답답하며 기침하고 상기(上氣)되는 증상, 명치 부위가 팽팽하고 결리는 증상, 전염병으로 인하여 구토하는 증상을 치료하며 종기의 붓기를 없애고 황달(黃疸)을 치료하며 안색(顔色)을 좋게 한다. 태아를 유산시킬 수 있다.
견권(甄權): 담(痰)을 없애고 폐기(肺氣)를 아래로 내리고 위(胃)가 잘 소통되게 하고 소화를 도와 구토를 그치게 하며 가슴 부위에 담(痰)을 없앤다. 날 것은 종기로 부은 부위를 문지르면 좋고 혹을 없애기도 한다.
지대명(池大明): 음식을 토하고 넘기지 못하는 증상, 심한 구토와 설사를 동반한 근육경련, 배가 찬 증상, 학질(瘧疾)을 치료한다.
장원소(張元素): 한담(寒痰)을 없애고 추위와 차가운 음식으로 인하여 폐가 손생되어 발생하는 해소를 치료하며 가슴이 답답한 것과 횡격막 윗부분의 담(痰)을 없앤다. 흉부(胸部)가 차가운 증상을 치료하고 위기(胃氣)를 조절하며 비(脾)가 습(濕)한 것을 치료한다. 담(痰)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두통을 치료하고 부기를 빼고 기가 뭉쳐진 것을 해소시킨다.
주진형(朱震亨): 앞쪽 이마 부위의 통증을 치료한다.
왕호고(王好古): 간(肝)이 허해서 발생하는 중풍(中風)을 치료한다.
이시진(李時珍): 배가 빵빵하게 붓는 것을 없애고 눈을 감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남자의 유정(遺精) 및 몽정(夢精)을 치료하며 여성의 대하(帶下)를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수전(守田), 수옥(水玉), 지문(地文), 화고(和姑)가 있다.
이시진(李時珍): <예기월령(禮記月令)>에 의하면 5월에 반하(半夏)가 생산된다고 하였다. 이때는 대략 여름의 한중간이 되므로 반하(半夏)라는 명칭이 생겼다. 수전(守田)이라는 명칭은 회의(會意)로 만들어진 명칭(이병욱: 강력한 하기(下氣) 작용으로 단전(丹田)에 기를 모을 수 있도록 한다는 뜻으로 해석했다.)이고, 수옥(水玉)이라는 명칭은 모양 때문에 생긴 명칭이다

반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끼무릇이라고도 합니다. 둥근 뿌리줄기는 지름이 1㎝이며, 한두개의 잎이 나오고, 작은 잎은 3개입니다. 꽃은 6월과 7월경에 피고, 수꽃은 대가 없이 꽃밥만으로 이루어지며, 장과는 녹색이고 크기가 작습니다. 중국, 일본, 한국 등 동남아 전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재배하고 있으나, 서울, 수원, 제주도, 울릉도 산이 유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하는 거담작용이 있어서 호흡중추를 진정하며 기관지의 경련을 제거하여 해수를 경미케 하고 기관의 분비...

다른이름 (지문), (양안반하), (시고), (수전), (수옥)
약맛 고() 신()
귀경 비() 폐() 위()
주치 
약용부위 덩이줄기
식물
천남성과
학명Pinellia ternata TENORE
생약명반하(), 수옥(), 화고(), 지문(), 야우두(), 천락성()
개화기6~7월
분포전국

특징

여러해살이풀이며 독성식물의 하나이다. 땅 속에 지름이 1~2cm쯤 되는 알줄기()를 가지고 있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잎이 알줄기로부터 자라나며 잎 몸이 세 개로 갈라져 있다. 잎 조각의 생김새는 계란 꼴에 가까운 타원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가늘고 긴 잎자루의 중간부에 하나의 주아()가 생겨나 어느 정도 굵어지면 땅에 떨어져 새로운 식물체로 자라난다.

알줄기로부터 하나의 꽃대가 자라나 통과 같은 길쭉한 꽃이 한 송이 핀다. 이 통 속에 살찐 막대기와 같은 조직이 자리하는데 그 위쪽에는 작은 수꽃들이 자리하고 아래쪽에는 암꽃이 위치한다. 통을 구성하는 조직의 일부가 회초리 모양으로 길게 자라난다. 꽃의 길이는 10cm안팎이고 초록빛을 띤 흰색의 꽃이 핀다.
불염포 밖으로 길어져 빠져나온 긴 꼬리는 수꽃의 부속체이며, 그 한참 아래에 암꽃이 감추어졌다

분포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논두렁이나 풀밭 또는 밝은 나무 그늘 등에 난다.

약용법

생약명

반하(). 수옥(), 화고(), 지문(), 야우두(), 천락성()이라고도 부른다.

사용부위

땅 속에 묻혀 있는 둥근 덩이줄기()를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7~9월에 채취하여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린다. 쓸 때에는 그대로 잘게 썬다.

성분

덩이줄기 속에 향기 나는 기름과 지방유를 함유하며 그밖에 코니인(Koniin)과 니코틴(Nicotin)에 흡사한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다. 또한 진해작용을 하는 피토스테린(phytosterin)이라는 성분이 있다.

약효

토하는 것을 가라앉히고 기침을 머물게 한다. 그밖에 거담 작용과 음식이 가슴에 걸려 내려가지 않는 증세 등을 다스려준다. 속이 더부룩할 때, 구토, 구역질이 날 때 기침, 가래 끓을 때, 가슴이 뛸 때, 급성위염 등의 치료약으로 쓴다.

용법

말려서 썬 것을 1회에 1.3~3g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형태분류

줄기, 뿌리: 여러해살이로 3, 4월에 발아하며, 둥근 알줄기()가 있으며, 여기에서 잎이 1, 2장 난다.

잎: 보통 3출복엽(드물게 5출)으로 쪽잎() 모양에 변이가 심한 편이다. 잎자루()가 아주 길며, 잎자루 하부에 육아()가 있다.

꽃: 5~7월에 살진대꽃차례()로 피며, 횃불모양꽃싼잎()은 녹색 또는 자색이다. 꽃차례()는 밑에서 받침잎()이 유합하고 아래쪽에 암꽃이 밀생한다. 약간 떨어진 위쪽에 수꽃이 있고, 수꽃의 부속체()는 긴 꼬리형으로 불염포()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 7~9월에 물열매()로 익으며, 녹색이다.

염색체수: 2n=28, 42, 54, 72, 78, 90, 91, 104, 108, 117, 128, 130

생태분류

서식처: 밭 경작지, 과수원, 밭둑, 밭이랑 등, 양지~반음지, 적습()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구릉지대 이하
식생지리: 냉온대~난온대, 일본(고귀화식물), 대만, 만주, 중국 등 (유럽, 북미, 호주 등에 귀화)
식생형: 농지식생(밭)
종보존등급: [V] 비감시대상종


반하는 밭 경작지의 잡초군락을 대표하는 반하-땅빈대군집이라는 식물사회를 특징짓는 종으로, 경작이 진행되는 밭의 이랑이나 밭둑 언저리에서 주로 산다. 반하는 잎자루 아래에 달린 육아()나 알줄기()로 번식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육아()와 알줄기는 농약이나 제초제에 취약하다.

밭 가운데에서도 과수원이나 묘포장()처럼 약간 그늘이 드리워지는 양지쪽에 살며, 건조한 곳에서는 살지 않는다. 적절히 습윤해 뽀송뽀송한 흙에 오염되지 않은 밭이 반하의 최적 생육입지이고, 온난한 기후지역이라면 더욱 출현빈도가 높다.

반하(끼무릇)는 여름의 반() 또는 여름의 한가운데라는 의미의 한자명()에서 유래하고, 약한 독이 있는 뿌리는 한방 약재다. 여름이 반 정도, 즉 한여름에 캔 둥근 알줄기가 약재로 이용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실제로 3월부터 시작해서 10월까지 생육하는데 여름 중간인 7월 중순이면 충분히 굵어진다.

한글명 반하의 기재는 일제강점기 때의 일로, 방언으로는 끼무릇, imagefont무릇, 끼무릇덩이, 땅구슬, 메누리목쟁이, 꿩의무릇 따위가 기재되었다. 이들 토속어를 한자 명칭 반하()의 방언이라 하지만, 기실은 오래된 우리의 이름들이다. 15세기 초 『향약구급방()』에서는 반하에 대해 한자를 차자()해 (치의모립) 또는 (치의모노읍)이라는 속운()을 기록했다. 오늘날 꿩을 뜻하는 ‘끼’에 대해 꿩 치() 자가 들어가 있고, 오늘날 무릇이라는 발음에 잇닿아 있는 소리에 대응하는 한자를 빌어다 썼다.

15세기 말 『구급간이방()』에서는 imagefont모롭으로, 16세기 초 『촌가구급방()』에서는 향명 (치모노읍)에 대해 imagefont의모릅이라 기재했다. 아마도 오늘날 꿩의무릇이라는 방언은 이 속운()에 잇닿아 있는 이름이며, 사실상 매우 오래된 우리 이름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덩이뿌리가 있는 종 가운데, 들판 초지에 사는 무릇이 있다면, 밭 경작지에는 꿩의무릇이 있는 것이다. 무릇(물웃)은 동그란 알줄기을 지칭한다.
속명 피넬리아(Pinellia)는 이탈리아 식물학자 이름에서 유래하고, 종소명 테르나타(ternata)는 잎이 3장으로 갈라진 것으로부터 유래하는 라틴어다. 반하의 일본명 카라수-비샤꾸()는 불염포()의 모양이 긴 국자같이 생긴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반하속(Pinellia)은 동아시아의 특산속(endemicgenus)이며, 이 가운데 반하가 가장 널리 분포하는 광역 분포종이다. 그것을 말해주듯 염색체수(2n)가 28개에서 130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반하 Pinellia ternata Breitenbach (천남성과 Araceae)의 덩이줄기로서 주피를 완전히 제거한 것이다.「 」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지역에 따라 Pinellia 속에 속하는 호장(), 적수주(), 순엽반하(), 대반하(), 오엽반하(), Arisaema 속에 속하는 산주남성(), 은남성(), 하곡남성(), 고원남성(), 보타남성(), 상남성() 그리고 Typonium속에 속하는 이두첨(), 삼엽이두첨(), 편첨이두첨(), 마제이두첨(), 독각련() 등이 반하로 거래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재배되어 유통되는 것으로는 호장남성, 산주남성, 상남성, 독각련, 수반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CP에는 반하의 포제품으로 법반하를 수제하고 있으나 유통되는 법반하는 그 기원식물이 반하가 아닐 때가 많다.

주피를 완전히 제거한 덩이줄기로 약간 눌려져 있는 구형이거나 불규칙한 구형이며, 지름 0.7~2.5cm, 높이 0.7~1.5cm이다. 바깥 면은 흰색~회황백색이고 위쪽에는 줄기 자국이 오목하게 남아 있으며 그 주변은 수염뿌리자국이 작은 점으로 촘촘하게 덮고 있다. 질은 충실하고 자르기 어렵다. 횡단면은 흰색이고 가루의 성질을 띤다.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처음에는 담담하고 약간 점액성이지만 후에 몹시 아리다.

생육특성

반하는 우리나라 각처의 밭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풀이 많고 물 빠짐이 좋은 반음지 혹은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20~40㎝이고, 잎은 작은 잎은 3개이고 길이가 3~12㎝, 폭이 1~5㎝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한 긴 타원형이고, 잎자루는 길이가 10~20㎝이고 밑부분 안쪽에 1개의 눈이 달리며 위 끝에 달릴 수도 있다. 뿌리는 땅속에 지름 1㎝의 구근이 있고 1~2개의 잎이 나온다. 꽃은 녹색이고 길이는 6~7㎝이며 통부는 길이가 1.5~2㎝이다. 꽃줄기 밑부분에 암꽃이 달리며 윗부분에는 약 1㎝ 정도의 수꽃이 달리는데 수꽃은 대가 없는 꽃밥만으로 되며 연한 황백색이다. 열매는 8~10월경에 녹색으로 달리는데 크기가 작다. 덩이줄기는 약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10월에 받은 종자를 바로 뿌리거나 종이에 싸서 냉장고에 보관한 후 이듬해 봄에 뿌린다. 종자가 딱딱하기 때문에 물에 2~3일 정도 불린 후 뿌리면 발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을에 잎이 없어진 후 뿌리를 꺼내어 보면 옆에 작은 구근들이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을 떼어 내 각각의 화분으로 옮겨 심으면 된다.

관리법 : 화분이나 화단에 심으면 좋다. 화분에 심을 때는 물 빠짐이 좋게 하기 위해 아래에 큰 돌을 넣고 그 위에 작은 돌들을 넣은 후 흙을 채우면 된다. 또한 화단에 심을 때는 물 빠짐이 좋은 곳을 택하고 퇴비를 조금 넣으며 화단의 앞줄에 심는다. 물은 2~3일 간격으로 준다.



대반하"
반하보다 커서 대반하다. 전체에 반질반질 윤기가 난다. 잎이 깊게 세 갈래로 갈라지는데, 어린잎은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다. 반하는 잎자루에 씨가 아니면서 싹이 나 자손을 퍼뜨리는 구슬눈이 달리는데, 대반하는 달리지 않는다. 약으로 쓰지만, 독이 강해 나물로 먹으면 안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